그냥 좋으니까 좋아 - 지금 이 순간의 내 행복
조유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여인이 "나 어디가 좋아?"라고 묻는다면 최고의 대답은 뭘까?

나는 '그냥, 네 존재가 좋아"가 최고의 대답이라고 생각한다. 사랑에는 이유가 없다.

사랑은 그냥 좋기 때문에, 그냥 그 사람만으로 만족하기 때문에 좋은 것이다.

우리의 행복도 그래야 한다. 승진해서, 살이 빠져서가 아닌 '그냥 좋으니까' 행복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그냥 행복한 법을 잃어버렸다. 『그냥 좋으니까 좋아』라는 말은 그래서 더욱 소중하다.

그렇게 이 책은 우리가 그냥 이 상태로도 행복해질 수 있는 이야기들을 소개한다.

그러니 가장 예쁠 나이라는 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이다.

지금이 가장 예쁠 나이다.

나의 오늘은 내 인생에서 가장 신선한 시간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나는 남 앞에서 나이를 말하기가 조심스러워진다. 특히 마흔이 넘어가며 나는 자꾸 묻는다.

내가 이대로 Go On 해도 되는지. 내가 지금처럼 꿈을 꿔도 되는 나이인지. 너무 늦은 건 아닌지.

자꾸만 자신이 없어진다. 하지만 저자는 지금이 내게 가장 소중한 때임을 말해준다.

지금 이 순간이 바로 내가 가장 젊고 예쁠 때다고. 지난 2,30대가 아닌 바로 지금의 소중함을 말해준다.

지나간 세월은 이미 존재하지 않다. 하지만 왜 지나간 세월을 안타까워 하는지 나를 일으켜준다.

『그냥 좋으니까 좋아』라고 말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유가 없어야 한다.

바로 지금이 행복해야 한다. 지금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바로 나 자신을 인정하고 사랑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저자는 바로 우리가 남이 아닌 지금의 '나'를 사랑해 줄 것을 강조한다.

내 안에 아무것도 없는 게 아니다.

내 안에는 소중한 장점도 있고 소중한 단점도 있다.

그렇게 소중한 것들로 이루어진 소중한 사람이 바로 '나'이다.

저자의 글을 읽노라면 '파랑새'가 떠오른다. 파랑새를 찾아 떠났지만 결국 자신들이 키우던 새가 파랑새임을 알게 되듯 이 책 또한 자신이 행복하기 위한 비밀은 바로 '나'자신에게 있음을 말해준다. 자신을 싫어하는데 어떻게 행복할 수 있을까. 내가 나를 싫어하는데 어떻게 자신을 소중히 할 수 있겠는가. 나의 파랑새는 내 안에 있다.

이제 2020년이 막바지에 이르렀고 새로운 해가 시작되며 나는 중압감에 시달린다. 더욱 의기소침해진다.

나이가 들어가며 여러 가지 시도를 하는 게 더욱 조심스러워진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나에게 안성맞춤인 조언을 해 준다.

출구에 도달하기까지

어떤 고민을 갖고 어떻게 해결해갔는지

나의 발자취를 남기는 게 중요하다.

그러면 다음 단계의 미로에서는 덜 헤맬 수 있다.

이길보라씨의 『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어서』라는 제목이 떠오른다. 뭔가를 해보고 난 이후 우리는 결정할 수 있다. 결과는 그 때 이후로 고민하면 된다. 먼저 우리는 그 문턱을 넘어야 한다. 지금 할 수 있는 기회는 이 때 뿐일지도 모른다. 다음은 없다라는 마음가짐으로 뭔가 발자취를 남길 때 우리는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다.

삶이란 결국 나로 시작해서 나로 끝나는 게 아닐까. 어떤 게 잘 사는 것일까라고 묻는다면 저자는 이렇게 대답할 것 같다.

"내가 행복한 게 잘 사는 거예요."

맞다. 돈이 없어도, 모태솔로여도, 얼굴이 못생겼어도 내가 행복하면 그걸로 충분하다.

이유는 없다. 내가 지금에 만족해하고 행복해하면 된다. 그래서 이 책은 딱 지금 이 순간에 행복해지는 법을 충실히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 책을 읽노라면 " 어! 그럼 나도 행복할 수 있겠네" 라고 생각하게 한다.

2021년 새해, 나는 이 책을 읽으며 한 가지 다짐을 해 본다.

덜도 더도 말고 딱 지금만 행복해지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