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가게에서 진심을 배우다 - 한 번 오면 단골이 되는 고기리막국수의 비결
김윤정 지음 / 다산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당은 무엇보다 상권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입지가 중요하다. 하지만 차를 타고 들어가야 하는 위치와 계절음식인 막국수만으로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과연 그걸로 만족할까?

『작은 가게에서 진심을 배우다』의 저자이자 '고기리 막국수'집의 공동대표인 김윤정씨는 자신있게 '네'라고 답한다.

불편한 위치와 막국수 메뉴라는 한계를 딛고 하루 1000그릇을 판매할 수 있었던 스토리를 이야기한다.

'고기리막국수'의 공동대표인 김윤정 유수창 부부는 10년 전 일식당 '이자카야'를 운영하다 실패를 한 아픈 경험이 있다. 부부가 막국수를 좋아하기도 했지만 억대의 빚이 있는 상황에서 절박함에 시작한 김윤정 대표부부에게는 이 막국수집의 식당이 마지막 도화선이 될 수 밖에 없었다.

월세도 없을 정도로 외딴 곳에 위치한 곳에 식당을 잡고 막국수집을 시작한 부부에게 무엇보다 홍보가 가장 큰 관건이었다. 버스광고는 너무 부담이 되었고 블로그를 이용했지만 단지 '맛있어요'라는 광고성 홍보문구만으로는 결코 눈길을 끌 수 없었다. 그 때 고기리막국수집이 택한 방법은 바로 '홍보'가 아닌 '소통'이었다. 자신의 식당을 홍보하기보다 막국수 자체를 이야기하고 자신들이 방문한 여러 식당들에 관해 이야기하고 나누는 장으로 블로그를 나누었다. 그 소통은 여러 이웃들과의 만남으로 이어졌고 자연스레 '고기리막국수'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일방적으로 우리 음식이 맛있다는 주장을 쏟아내는 대신,

상대방이 관심을 가질

'사람들의 이야기'를 풀어내기로 했습니다.

그때부터일 거예요.

블로그에 가치를 담기 시작했던 것이.


고기리막국수'집은 홍보부터 자신의 말을 앞세우지 않는다. 대신 손님들과 함께 나누고 소통할 수 있는 데 주력한다. 막국수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함으로 자신의 진심을 전달한다. 그 때 우리는 알 수 있다. 장사가 아닌 정말 막국수를 좋아해서 일을 하는 그 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식당 앞을 지나게 되면 '단체 손님 환영'이라는 문구를 자주 보게 된다. 회식 등 한 번에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의 식당에는 단체 손님이 없다. 많은 사람들은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단체 손님이 있으면 식당에서는 개인 손님보다 단체 손님에게 더 집중될 수 밖에 없다. 또한 단체 손님이 내는 소음등으로 식사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즐거워야 할 식사자리가 빨리 떠나고 싶은 자리가 된다. 김윤정 대표의 원칙은 간단하다.

'지금 바로 자신의 눈 앞에 있는 한 명의 손님에게 정성을 다한다'

많은 고객을 이끌기보다 단 한 명의 손님이 또 오게 만들고 싶은 공간. 그래서 고기리막국수는 지금까지 단체손님을 받지 않는다.



『작은 가게에서 진심을 배우다』 에는 실제 이 '고기리막국수' 식당의 대표 메뉴인 '들기름막국수'의 탄생이야기, '수요미식회'에 출연하기 전과 준비하면서 겪은 이야기, 그리고 식당 이름인 '고기리막국수'라고 불리우게 된 여러 일화들이 소개되어 있다. 이 모든 이야기들 속에 공통점은 바로 '손님'을 자세히 관찰한다는 점이다.

저자부부만 즐겨먹던 '들기름막국수'가 단골 손님에게 나눠주며 확신을 갖고 판매를 할 수 있었고 '고기리막국수'라는 식당 이름도 손님들이 자신을 '고기리막국수'라고 애정을 지어 부르자 식당명을 바꿀 수 있었다. 매일 막국수를 먹고 연구하지만 손님들이 막국수를 먹는 방법을 유심히 보며 그 방법을 또 다른 손님에게 나눠준다. 단지 음식을 판매하는 것이 아닌 음식을 먹고 나누는 기쁨을 이야기하는 데 집중한다.

책을 읽으며 TV 프로그램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다. 실제 백종원씨가 골목식당에서 강조한 여러 항목등을 저자 부부는 실전에서 이미 행하고 있었다. 위생은 기본으로 차치하고 여러 막국수집을 다니며 음식을 맛보고, 평균적인 맛을 내기 위한 연구와 손님 입장에서 먹어보고 관찰하고 있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고기리막국수'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바로 '진심'이라는 바탕과 흔들리지 않는 '원칙'이 있었다.

어떤 작업을 묵묵히 반복하다 보면

근육 하나하나가 자동으로 반응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렇게 몸에 밸 정도가 되었을 때

비로소 진정한 습득이 이루어져

자기만의 것을 만드는 경지에 이릅니다.

하찮고 단순해 보이는 반복적인 노동이 무수히 쌓인 결과였지요.

이 사람이 보여준 진심의 힘이었습니다.


사소하고 지루한 것의 반복으로 진심을 담는다


『작은 가게에서 진심을 배우다』는 식당 경영자 스토리다. 하지만 읽다보면 바로 퍼스널 브랜딩과 관련된 인사이트를 얻게 된다. '고기리막국수'하면 '들기름막국수'가 떠오르듯이 어떻게 하면 나를 타인에게 알릴 수 있을까에 관한 기본과 어떻게 성장해야 하는가를 '고기리막국수'를 통해서 알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나의 경우 블로그를 통한 '인터넷 글쓰기'에 대한 본질적인 가치가 중요함을 알 수 있어서 큰 수확이었다.

'고기리막국수'는 결코 큰 것을 말하지 않는다. 바로 작은 것에 충실한다. 그 작은 것이 쌓이고 쌓여 큰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걸 김윤경 대표는 강조한다. 작은 것. 코로나로 '고기리막국수' 또한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이 어려움 가운데서도 식당의 원칙과 진심으로 헤쳐나갈 수 있으리라 믿는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협찬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