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라와 모라
김선재 지음 / 다산책방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인이 되기까지 우리는 누군가와 함께 살아간 기억이 있다. 어릴 적에는 가족과 살다가 빠르면 고등학교 또는 대학교에 이르러 부모로부터 독립해 친구와 함께 살곤 한다. 내게도 그런 추억이 있다. 그리고 누군가와 함께 살던 그 추억이 때론 힘든 삶 가운데서 틈틈이 찾아와 위로가 되어주기도 한다. 김선재의 소설 『노라와 모라』는 바로 그 한 순간의 추억을 가지고 사는 두 여자 노라와 모라의 이야기다.

노라와 모라는 엄마 아빠의 재혼으로 만난 사이다. 혈연관계가 없는 이들이 부모의 재혼으로 만나면서 얼떨결에 가족이 된다. 노라와 모라 두 소녀는 공통점이 있다.

노라에겐 자녀인 자신에게 관심 없이 엄마의 인생을 위해 살아가는 엄마로부터 받은 외로움이.

모라에겐 여섯 살 가족을 버리고 집을 나간 엄마에게 받은 버림받은 상처가 있다.

이 둘은 한 가족이 되었지만 서로 보이지 않는 벽이 있었다. 그리고 모라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노라와 모라는 가족에서 다시 남이 되었다. 그 후 세월이 흘렀고 노라는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모라의 갑작스런 전화를 받는다.

깨질지 모르는 불안한 가족이였기에 이 둘에겐 언제나 거리가 있었지만 그럼에도 이 둘에게는 따뜻한 추억이 있다. 7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들이 서로의 존재로 위안을 받을 수 있었던 많지 않은 한 순간.

고요 속에 우는 새소리가 들리는 한밤, 모라가 노라가 있는 이불 밑으로 들어와 잠이 들며 속삭이던 한 마디.

"이젠 안심이야."



모라에게는 아버지이지만 노라에게는 한때 가족이었던 그 아버지의 임종 앞에 두 사람은 낯선 재회를 한다.

20년이 흘러 만난 노라와 모라에게 재회의 감정은 극히 무덤덤하기만 하다. 그래서 소설을 읽으면서 덤덤한 이들의 감정이 낯설다. 어느 반전도 없이, 옛날 서로 느꼈던 감정 그대로 이 둘은 긴 하루를 치룬다.

노라와 모라는 어려서부터 외로움에 둘러싸인 인물들이다. 하지만 소설을 읽어가다보면 외롭다고 생각했던 이들이 마냥 외롭기만 한 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다. 특히 모라에게는 엄마가 떠난 후 맡겨진 할아버지 댁에서 할아버지와 함께 떨어지는 감을 바라보던 한 순간의 추억, 이웃집 김용지와 함께 음식을 나눠 먹는 한 순간들...

그 순간들이 비록 찰나이지만 삶을 살아가는 데 힘이 되어 줄 수 있다.노라와 모라 두 사람이 기억하는 그 온기는 잠깐 그 깜깜한 한밤중 그 때뿐이였지만 이들에게는 커서도 그 온기가 남아있다. 자의든 타의든 누군가와 함께 나눈 온기는 성인이 되어서도 오래 기억된다.

이제 없는 세계는 아예 없는 것일까.

나는 여전히 그것들에 대해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다.

앞으로도 내내 그럴 거 같다.

다만 나는 한때 하나였던 어떤 시간을

되풀이 생각하며 지내고 있다.

누군가 다녀갔다고 여기면

마음이 한결 좋아진다.


『노라와 모라』를 읽으며 나와 함께 지내던 지인들을 기억 속에 꺼내본다. 그들과 지내면서 느꼈던 온기. 그리고 내가 그들에게 남겼을 어떤 온기도. 그리고 지금 나와 함께 살고 있는 내 가족들에게 어떤 마음을 주고 있는지... 읽으면서 자꾸 곱씹게 된다. 그리고 나도 누군가에게 따뜻함을 주는 그런 추억을 많이 만들자고 생각해본다. 그 기억만으로도 인생은 버틸 수 있다고, 비록 찰나라도 우리는 그 기억으로 잠시나마 따뜻해질 수 있다고 말하는 소설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