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간을 건너는 집 ㅣ 특서 청소년문학 17
김하연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만약 시간을 이동할 수 있다면 나는 대학시절로 돌아가고 싶다. 공부만 해야 하는 고등학교 시절은 자신이 없지만 대학시절로 돌아간다면 열심히 공부해서 더 좋은 기회를 만들고 싶다. 많은 경험도 쌓고 공부도 열심히 하며 내 인생을 방치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내가 돌아갈 수 있다면 말이다.
여기, 선택할 수 있는 문이 있다. 특이한 건 과거만이 아닌 현재 또는 미래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 『시간을 건너는 집』은 어느 날 네 명의 아이들이 하얀 운동화를 신은 후 시간의 집의 초대를 받으면서 시작된다.
시한부 인생을 사시는 엄마로 인해 힘든 시기를 보내는 선미, 매사 날카로우며 불만기 있는 이수, 학교 왕따 자영, 그리고 비밀을 간직한 강민. 이 네 명은 할머니의 초대를 받고 시간의 집에 오게 된다.
과거, 현재, 미래를 선택하여 시간을 건널 수 있지만 이들에게는 규칙이 있다. 바로 당장이 아닌 일주일에 세 번 이상 이 집에 와야 하며 멤버 넷이 모두 모이면 시간이 정지된다. 그리고 12월 31일 오후 5시에 비로소 시간을 선택하여 건널 수 있다. 반신반의했던 이들은 시간을 건너기 위해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날을 꿈꾸며 이 집에서 서로를 알아나간다.
『시간을 건너는 집』은 네 명의 아이들의 아픈 사연이 조금씩 소개된다. 엄마의 마지막을 지켜보며 심적으로 힘든 시기를 보내는 선미, 친했던 친구들로부터 폭력을 당하게 되는 자영, 엄마의 무관심에 방치된 이수 등등 이들은 빨리 현실을 벗어나고 싶다. 그래서 선미는 이 시간의 집 주인 아저씨에게 한 달 빨리 시간을 건너는 문을 선택하게 해 달라고 요청하기까지 한다. 자영 또한 학교 폭력으로부터 빨리 벗어나서 대학생이 되고만 싶다. 이들에게 현실은 달갑지 않다.
현실에서 벗어나고픈 이 네 명의 아이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하나가 되어간다. 서로의 아픔을 알게 되고 위로를 해 나간다. 현실은 달라지지 않는다. 자영은 끊임없이 왕따로 괴로워하고 선미 또한 엄마의 상태는 악화된다. 하지만 이들은 함께함으로 자신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걸 느끼게 된다. 현실은 바뀌지 않지만 함께라는 사실이 이들에게 현실을 바라보는 태도를 조금씩 바뀌어 나간다. 혼자였다면 절대 느낄 수 없었던 것들을 바라보게 해 준다.
순탄한 인생은 없다. 누구에게나 인생살이는 쉽지 않다. 자기만의 문제가 있다. 하지만 우리가 인생을 살아갈 수 있는 건 누군가가 바로 함께 있기 때문이다. 혼자라면 헤쳐나갈 수 없지만 우리 곁에 함께 있는 누군가 있다면 우리는 인생을 살아갈 수 있다. 함께 나누고 함께 기뻐할 누군가가 있다면.
무심해 보이는 듯한 이 네 명의 아이들 또한 달라진 게 없는 것 같지만 그들은 어느덧 서로 변해간다. 그건 함께이기 떄문이다.
소설 속의 네 명의 아이들은 자기만의 상처로 현재를 떠나 과거 혹은 미래로 가고 싶어했다. 혼자였기 때문에 외로웠고 버거웠다. 하지만 이 네 명이 시간의 집에서 함께 모이며 현재를 견딜 수 있는 쉼터가 되어준다. 그래서 이 중 가장 상처많은 자영이 시간의 문에서 더 많이 고뇌하는 것 또한 함께라는 감정을 처음 느껴 보았기 때문이었다.
『시간을 건너는 집』을 읽으며 우리 주변을 돌아본다. 함께 해 줄 수 있는 지인에게 손을 내밀라고 권한다. 함께라면 우리는 이 힘든 삶을 이겨나갈 수 있다. 인생이라는 여정에 혼자가 아닌 함께 손 잡고 걸어가도록 권하는 따뜻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