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여기에 있어 - 2020 볼로냐 라가치상 픽션 부문 스페셜 멘션 수상작 웅진 모두의 그림책 35
아드리앵 파를랑주 지음, 이세진 옮김 / 웅진주니어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 『내가 여기에 있어』는 2020 볼로냐 라가치상 스페셜 멘션 수상작인 아드리앵 파를랑주의 작품입니다.

'아동 문학상'의 최고 권위있는 상으로 이탈리아의 볼로냐에서 개최되는 이 수상은 어린이 도서 분야의 노벨상에 해당할 정도로 높은 권위를 자랑합니다.


『내가 여기에 있어』의 표지를 보면 뭐가 떠오르나요? 맞습니다. 꼬리가 긴 뱀이 보입니다.

뱀과 함께 몸통 사이 사이 별과 달 그리고 새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그림이 인상적입니다.



누군가 소년의 몸을 깨웁니다. "톡톡" 소리에 놀란 소년은 고개를 들어 쳐다봅니다.

뱀의 꼬리가 소년을 향해 살랑입니다. 자신을 깨운 뱀의 꼬리를 찾아 방문을 연 소년은 커다란 뱀의 몸통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기다랗고 커다란 뱀의 정체를 찾아 소년은 길을 떠납니다.


뱀을 찾기 위한 소년의 모험은 계속됩니다. 담장을 넘어 마을을 넘어 도시를 벗어납니다.

무섭기도 하지만 뱀을 찾아 숲으로 향해 갑니다. 소년은 뱀을 찾아 가는 여정 중 많은 사람들과 동물들을 발견합니다. 누군가는 뱀의 몸통에 기대어 잠이 들고 동물에게는 뱀의 몸통이 따뜻한 휴식처가 되어 주기도 합니다.



그렇게 먼 길을 돌고 돌아 드디어 뱀의 얼굴과 만난 소년에게 뱀은 말합니다.


괜찮아.

이렇게 널 보니 참 반가워. 아무도 여기까지 온 적 없거든.

친구도 없이 혼자 너무 오래 있었나 봐.



뱀의 커다란 몸통 주위에는 항상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었지만 정작 그 몸통의 주인인 뱀은 외롭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찾아오는 이 하나 없이 자신이 타인에게 어떤 존재인지 말해 주는 사람 없어 알지 못합니다. 사람들도, 동물들도 뱀의 몸으로 여러 도움을 받지만 의식하지 않은 채 살아가죠.

이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존재는 홀로 있을 때가 아닌 함께 있을 때 의미를 찾아갑니다. 하지만 이젠 개인주의와 함께 내 이웃이 누구인지 알지 못하고 각자 살아가기 바쁩니다. 뱀의 몸통과 함꼐 살아가지만 전혀 의식하지 않고 살아가는 이웃들처럼요.


널 다시 보게 되면,

네 몸에 손가락으로 꾹꾹 눌러 선 두 개를 그려 줄게.

그건 우리 둘만의 신호야.

'내가 여기에 있어.'

라는 뜻으로 말이야.


우리 주변엔 늘 함께 있다고 말해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한 이웃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로 언택트 시대에는 외로움과 무관심이 늘어나는 이 때 우리는 소외된 누군가에게 우리가 바로 여기 있다고 손짓이라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언택트 시대에 다정한 손길과 따뜻한 표현이 더욱 절실해진 이 시대를 생각하게 해 줍니다.

사람들이 무관심 속에 뱀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했지만 소년은 끝까지 뱀을 찾아 나섰습니다. 어쩌면 우리 또한 뱀과 같이 항상 우리 곁에 있지만 모른 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더 늦기 전에 우리는 온기를 나누며 '내가 여기에 있어'라고 손짓을 보내 줄 상대를 찾아야 합니다. 보이나요?

뱀은 우리의 가족이 될 수 있고 이웃이 될 수 있습니다. 때로는 길가에 버려진 고양이가 될 수도 있어요. 우리는 혼자 살아가는 듯 하지만 함께 살아가고 영향력을 받는 존재이니까요. 그들에게 함께 있다는 마음을 안다는 것만으로 우리는 큰 변화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림책 『내가 여기에 있어』의 소년의 작은 신호만으로 뱀이 혼자라는 외로움을 벗어날 수 있듯, 우리의 작은 마음만으로도 다른 누군가의 외로움을 함께 나눌 수 있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