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
안토니오 G. 이투르베 지음, 장여정 옮김 / 북레시피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엄마가 된 후 책을 읽게 되었다. 쌍둥이를 키우면서 여행이 힘들어졌고 취미생활을 할 여유도 없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유일한 활동이 독서였다. 책을 읽으며 고단한 시간을 버텨나갔고 위로를 받았다. 책은 그렇게 힘든 시간을 버텨나가게 해 주는 약 같은 존재였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 또한 생애 가장 위험한 시기를 책으로 버틴 사람이 있다. 나에겐 그저 한 순간이였다면 이들은 당장 죽을 지도 모르는 2차 세계대전의 악명 높은 아우슈비스 수용소에서의 도서관을 지킨 디타 에 관한 이야기이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의 저자 안토니오 이투르베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있던 도서관 사서 디타 크라우스의 이야기를 듣고 다큐 형식으로 된 글을 기획한다. 하지만 역사 그 자체만 쓰기에 부족함을 느꼈다고 고백한다. 안토니오 이투르베는 수용소 안의 분위기와 공포 등을 함께 이야기하고 싶었다. 작가의 바램은 결국 디타 크라우스를 직접 만나 인터뷰하며 작가가 수집한 여러 자료에 기초한 이 실화 소설로 출간되었다.
아우슈비츠 수용소는 히틀러가 유대인을 말살시키기 위해 세운 악명 높은 수용소이다. 몇 만명의 유대인을 감금하여 가스실로 보내 학살하는 이 거대한 범죄가 매일 일어나던 곳, 죽음이 가까이 있는 그 곳에서 학교가 있었다. 유대인이자 구역장인 알프레드 허쉬는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제안하고 뜻밖에 그의 제안이 받아들여져 학교가 운영된다. 단 교육은 허용되지 않으며 단순한 놀이만 가능하다. 당연히 책은 이 수용소 안에 존재할 수 없다.
아이가 이 민족의 미래라고 생각한 알프레드 허쉬는 나치의 눈을 피해 아이들 교육을 가르친다. 책이 들어올 수 없는 공간에 비밀리에 입수한 단 여덟 권의 책을 보관하기 위해 허쉬는 14살 소녀 디타에게 사서가 되어줄 것을 제안한다. 책을 들키는 순간 목숨이 위험한 이 수용소에서 디타는 위험을 끌어안고 사서의 임무를 수행해나간다.
소설의 중심 인물은 이 여덟 권의 책을 빌려주고 보관하는 사서 디타 크라우스의 이야기지만 디타를 중심으로 수용소의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가 다양하게 그려진다. 나치 장교와 유대인 수용소의 사랑, 유대인의 생체 실험을 진행하는 멩겔르 박사, 나치를 공격하는 비밀조직 레지스탕스, 레지스탕스를 색출하기 위한 나치의 비밀첩자 등 한 수용소에 벌어지는 여러 이야기들은 같은 아픔을 겪었던 우리의 역사의 모습을 생각하게 한다.
당장 지금 죽어도 이상할 것 없는 수용소에서 사람들은 묻는다. 이렇게 배우는 게 무슨 소용이냐고. 특히 정신적 지주였던 알프레드 허쉬가 죽고 함께 지냈던 사람들이 가스실에서 죽음을 당하고 난 후 디타를 포함한 많은 유대인들은 회의에 빠진다. 과연 이렇게 배움을 이어나가는 게 옳은 것인지 확신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이 학교마저도 세계의 눈을 피하기 위한 가림막 장치였음을 알게 된 디타는 모든 의욕을 상실하고 만다. 자포자기한 디타에게 사람들은 말한다.
"네가 31구역의 사서잖니."
사서. 죽음의 공포 속에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말아야 함을 그들은 알고 있었다. 비록 친구들이 죽어 나갔지만 생을 포기하지 않는 것이 나치에게 할 수 있는 최선의 저항임을 그들은 깨우쳐나간다. 공포를 무릎쓰고 책을 읽고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줌으로 상황에 굴복하지 않도록 해 준다. 어떤 희망도 없던 디타와 학교 아이들에게 책은 이 불행의 도피처이자 위로였다. 단 여덟 권의 파손이 심한 책이지만 책이 지닌 의미를 알기에 디타는 끊임없이 책을 보수해가며 책을 빌려주고 이야기를 들려주며 책을 지켜나간다.
도서관은 이제 디타의 구급상자고, 디타는 자신이 웃음을 영원히 잃었다고 생각했을 때
자신에게 웃음을 되찾아준 그 약을 아이들에게 나눠 줄 것이다.
소설은 디타가족이 나치 점령 후 아유슈비츠에 오기까지의 여정과 수용소에서의 생활을 자세하게 그려놓는다. 특히 어렴풋이 알고 있던 유대인 학살 전모가 실제 인물들의 이야기들에 대입하여 수용소의 현장을 생생하게 재현한다. 쌍둥이 생체실험을 하는 장면에서는 같은 쌍둥이 아이를 둔 엄마의 입장으로 공감하게 되고 유대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스파이와 암거래등은 일제 시대의 밀정들을 떠올리며 공감하게된다.
인간성이 사라지고 공포와 이기심이 난무하던 그 때 끝까지 희망을 잃지 않으려 책을 지키고 읽고 배운 그들의 이야기는 책 한 권의 무게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흔하디 흔한 이 책들이 어떻게 희망이 될 수 있었는지 그리고 그 가운데 책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 소녀 디타 크라우스가 있었음을 감동적으로 그려낸다.
책은 내게 외로운 시간을 견뎌낼 수 있는 존재였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은 나의 책에 대한 존재를 뛰어넘어 그들의 희망이었다. 가장 작은 권수를 보유한 가장 작은 도서관이었지만 그들에게는 무엇보다 가장 큰 도서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