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자들의 집
래티샤 콜롱바니 지음, 임미경 옮김 / 밝은세상 / 2020년 10월
평점 :

최근 유럽의 여자 앵커가 팔찌에 찬 글귀가 화제였다. 코로나로 외출이 어려워진 집콕 시대에 집에 거주하는 시간이 많아지자 가정 폭력이 증가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여자 앵커는 폭력을 반대하는 글귀였다. 이 영상은 많은 네티즌들에게 호응을 받았다. 재난의 시대, 전염병의 시대, 가정 폭력과 이혼율이 증가했다. 또한 최근 실업률 또한 여성 실업률이 남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재난은 여성에게 무자비함을 깨우쳐주는 각종 수치가 발표되었다.
『여자들의 집』은 사는 곳은 다르지만 동시대에 사는 세 명의 여자들의 이야기를 그린 『세 갈래의 길』로 감동을 선사한 래티샤 콜롱바니의 신작 소설이다. 전작에 이어 이 『여자들의 집』 에서는 재난에 쉽게 노출된 여성의 현실과 이들과 함께하며 나아가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그려낸다.
소설은 잘 나가는 변호사 솔렌이 절친한 지인 생클레르의 변호를 했지만 최악의 결과와 함께 생클레르의 투신으로 모든 게 무너져버린 모습으로 시작한다. 생각지 못한 생클레르의 죽음으로 충격 받은 솔렌은 쓰러지고 의사로부터 '번아웃' 증후군 진단을 받는다. 모범생, 명문대, 유명 로펌, 능력있는 변호사, 넓은 아파트 등 남부러울 것 없는 삶이었던 솔렌은 갑자기 모든 것이 허무해진다. 휴일도 없이 일만 하며 바쁘게 살았던 일들이 무의미해지고 넓은 아파트는 생각만해도 외롭다. 일상으로 돌아가기 두려운 솔렌에게 의사는 남을 위한 봉사활동을 제안한다.
로펌 사직 후 의사의 제안에 따라 봉사활동을 알아보던 솔렌은 '펜연대'라는 협회를 알게 된다. 어렸을 적 작가가 꿈이었던 솔렌은 글을 써 주는 직업이라는 설명에 봉사활동을 신청하고 '여성들의 궁전'이라는 쉼터에서 편지를 써 주는 일을 시작한다.
소설은 솔렌이 '여성들의 궁전'에서 생활하는 여성들을 알아가며 변화해가는 이야기와 '여성들의 궁전'을 지은 구세군 블랑슈가 이 쉼터를 만들게 되기까지의 과거 이야기가 교차되며 전개된다. 이 쉼터에는 각국에서 온 여성들 뿐만 아니라 갈 곳이 없어 이 곳에 잠시 거처를 마련한 불우한 환경의 여성들이 쉬고 있다. 그들 중 어떤 사람은 배낭으로 테두리를 정한 후 잠을 자고 어떤 사람은 신경질적으로 소리치며 화를 내는 여성도 있다. 솔렌의 눈에는 그들이 이상한 여자들로만 보이며 거부감을 갖는다.
이해할 수 없는 여성들이 솔렌에게 다가오고 솔렌은 그들의 사연을 듣고 편지를 써 주며 뉴스에서 보았던 재난과 전쟁들을 비로소 체험하게 된다. 이방인으로 멀리서 그들을 보았을 때 가난, 전쟁, 재난 등이 추상적으로 다가오지만 이 재난들이 쉼터에 거하는 여자들의 이름으로 다가올 때 비로소 그 실체가 명확해진다. 이 단어들이 결코 추상명사가 아닌 동사로 다가오며 그들의 사연에 분노하게 되는 솔렌의 모습이 그려진다.
가령 이 '여성들의 궁전'에서 일하기 전에는 잘 알지 못했던 바느질 용품이 노력에 비해 얼마나 헐값을 받는지, 아프리카에서 딸에게는 할례라는 고통을 주기 싫어 아들을 두고 몰래 딸과 함께 프랑스로 피난 온 수메야를 통해 할례의 의미가 선명하게 다가온다. 정부 지원금을 받고도 빈곤에 허덕이는 여자들에게 단 돈 2유로 거스름마저도 얼마나 절실한 돈인지를 알게 되며 가난, 빈곤의 이름이 생생하게 다가온다.
'나에게 일종의 신고식을 치르게 할 심산일까?
고작 2유로를 돌려받기 위해 편지를 써 달라니 …….
그 돈을 돌려받아 봤자 우편 요금과 봉투 값을 빼면 남는 게 없는데.'
여자의 요청을 거절하려는 찰나
그가 솔렌의 마음을 읽기라도 했는지 말을 덧붙였다.
"내 앞으로 한 달에 50유로가 나와요.
그걸로 이곳의 원룸 임대료를 내고 공과금 고지서며 청구서들을
메우다 보면 식비가 빠듯해요."
재난과 빈곤으로 '여성들의 궁전'에 와서 숙식해야 하는 여성들의 이야기는 점점 파리 중심가의 빈곤에 처한 여성들로 이야기가 옮겨진다. 화려한 파리 시내, 부유한 솔렌의 마을에 빵집 앞에서 구걸하는 한 소녀에게로 초점이 옮겨진다. 솔렌이 이 쉼터에 오기 전까지는 전혀 관심 없었던 빈곤의 실체가 이제 이웃의 이름으로 '릴리'라는 이름으로 다가온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있었다.
접근하지 말라는 경계선, 일종의 폴리스 라인이었다.
완충지대, 무인 지대라고,
아무도 들어가서는 안 된다고 막아서는 바리케이드였다.
그들 대부분은 여자에게 눈길도 주지 않았다.
그저 요령 있게 피해 가는 것으로 만족했다.
그들에게 여자는 하나의 걸림돌, 그저 길을 가로막은 어떤 물체였다.
소설을 읽으면 김춘수의 시가 떠오른다. "내가 그의 이름을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라는 이 유명한 구절을 이 소설에 대입해본다. 솔렌이 가난,재난,빈곤을 남의 일이라고만 생각했을 때 이 단어들은 하나의 추상명사에 불과했다. 하지만 쉼터에서 만난 여성들, 이웃들의 이야기가 될 때 가난, 재난은 추상명사가 아닌 하나의 실체가 되었다. 이웃의 이름으로 그 단어들이 다가왔다. 솔렌을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솔렌이 이들을 만나 변화하며 함께 연대할 때 조금씩 변화가 이루어짐을 보여준다. 책 표지의 "우리만이 우리를 구원할 수 있다"라는 문장은 바로 서로가 서로에게 희망이 될 때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고통을 함께 나눔으로 그 고통은 혼자의 것이 아닌 모두의 고통이 된다. 마음을 나누는 것만으로 우리는 서로에게 구원이 될 수 있다. 남의 이야기가 아닌 바로 이웃의 이름으로 다가올 때 우리는 움직일 수 있다.
우리가 상처를 치유하는 첫 걸음은 바로 그들의 고통을 나의 문제로 받아들이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남의 이야기가 아닌 바로 내 이웃, 가족의 이야기로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 남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의 이야기가 될 때 우리는 그들을 구원할 수 있다.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