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양품의 생각과 말
양품계획 지음, 민경욱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인양품 제품을 잘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무인양품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상표 없는 (無印) 양품(良品) 즉, 좋은 제품을 지향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인 무인양품은 하얀 색 바탕의 깔끔한 디자인을 연상하게 한다. 1980년 세이유 자체브랜드에서 시작하여 독립 후 확고한 미니멀리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은 한 기업의 말을 통해 '무인양품'이 지금까지 올 수 있었던 그들의 사상과 본질을 알 수 있는 책 《무인양품의 생각과 말》이 출간되었다.

먼저 무인양품을 지탱하게 하는 기둥, 즉 사상이 무엇일까? 그들은 이 사상을 '대전략'이라고도 부르며 모든 회사의 운영 방침은 이 대전략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무인양품'을 운영하게 하는 그들의 대전략은 바로 '도움이 되자'이다.

'도움이 되자'를 대전략으로 정한 것은,

결과여야 할 판매와 이익이

도리어 목적이 되어버린 회사가

너무나 많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무인양품의 생각과 말> 27p


무인양품은 먼저 직원과 회사, 회사와 직원이 도움이 되어야 하며 회사와 사회, 더 나아가 회사와 세계에 도움이 되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함을 사상, 즉 대전략으로 경영한다. 판매와 이익은 이 도움이 되는 관계에서 파생하는 결과물이다. 목적과 결과가 전도되지 않도록 그들은 항상 '도움이 되자'라는 대전략 아래 수단과 방법을 펼쳐나간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그 중 하나는 고급화로 인간의 숨겨진 욕망을 노출시킨다. 신제품을 출시하지만 더 목마르도록 소비자의 욕구를 자극한다. '무인양품'은 이 자본주의의 논리에 그들의 논리로 맞받아친다.


이것으로 충분하다


더 많은 제품을 사도록 욕구를 자극하는 게 아닌 한 가지 제품에 만족감을 주어 "이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게 하는 제품. 바로 무인양품이 추구하는 심플함. 간결함이다. 과한 디자인이 아닌 제품 자체의 기능에 최우선하며 더 이상 불필요한 소비를 지양하는 무인양품의 전략은 바로 '도움이 되자'라는 그들의 대전략 아래 운영되어진 제작 방침이었다. 사회와 지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인양품의 사상은 포장의 간략화, 재생지 사용 등의 제작방법을 고집하게 했다.

한 회사의 사상이 아무리 훌륭해도 결국 적자가 계속되면 오래 존립할 수 없다. '무인양품' 역시 회사의 사상이 훌륭하다해도 싼 가격으로 소비자를 공략하는 자본주의의 논리에 고전을 면치 못할 때가 있었다. 38억 엔의 적자를 기록하며 많은 직원들이 떠나기도 했던 그 때 '무인양품'은 시 기본으로 돌아간다. 작은 물고기들이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본능 속에 움직이듯이 회사 또한 '사상'을 제시하며 직원들간의 의사소통에 앞장서며 역경을 헤쳐나간다.

"생활이 아름다워지면 사회는 좋아집니다."

<무인양품의 생각과 말> 257p


'기분 좋은 생활'과 '기분 좋은 사회'에 도움이 되도록

'되풀이되는 원점, 되풀이되는 미래'

<무인양품의 생각과 말> 260p


도움이 되기 위해 무인양품은 끊임없이 원점으로 돌아오고 다시 앞으로 나아간다. 아름다운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생활을 아름답고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데 최선을 다한다. 불필요한 물건은 만들지 않으며 그 자체로 충분한 제품을 만드는 회사 무인양품. 한 회사의 사상이 큰 그림이 되어 아름다운 제품을 만들어나가고 소비자의 신뢰를 쌓아간다.

이 책을 읽으며 한 공동체의 사상이 끼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 결과를 만들어내는 지 되돌아보게 한다. 개개인이 퍼스널브랜딩으로 자리잡고 있는 이 때 나의 사상은 무엇인지, 어떤 모토로 살아가고 있는지 생각하게 해 준다. 올바른 사상이 올바른 제품을 만들어내듯, 올바른 모토가 올바른 삶을 만들어준다. 지금 우리 사회에, 이 공동체에 먼저 올바른 사상이 재정립되어야 함을 가르쳐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