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지않아 이별입니다
나가쓰키 아마네 지음, 이선희 옮김 / 해냄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소설을 읽다 보면 독특한 소재를 많이 접하게 된다. 현실을 그린 한국 문학에 비해 일본 소설은 상상력과 작가가 중심 인물에에게 부여하는 특별한 능력으로 현실을 더 깊게 보도록 만들어낸다. 《머지않아 이별입니다》는 죽은 고인의 영을 느낄 수 있는 주인공 시미즈 미소라의 능력을 통해 죽음과 삶을 따뜻하게 그려낸 소설이다.

《머지않아 이별입니다》의 저자 나가쓰키 아마네는 데뷔작인 이 소설로 제19회 소학관문고 소설상을 수상함으로 문단에 등단했다. 저자 역시 이 소설의 시미즈 미소라처럼 장례식장에서 2년간 아르바이트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남편의 간병을 위해 파트타임으로 일하며 남편이 잠든 시간을 이용해 글을 써왔던 작가는 남편의 간병 생활의 경험을 살려 이 소설을 썼다고 한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시미즈 미소라는 졸업을 앞둔 대학생이자 취업 준비생이다. 부동산 회사로 취업을 하고 싶지만 취업의 문턱 앞에서 매번 고배를 마신다. 막연히 취업을 기다릴 수만 없는 미소라는 잠시 쉬었던 반도회관 장례식장의 홀서빙 아르바이트를 다시 시작한다. 죽음의 실체를 들여다보는 곳, 인생의 마지막을 장식해 주는 곳, 산자와 죽은자가 이별하는 장례식장에서 시미즈 미소라는 고인의 영을 볼 수 있는 스님 사토미씨와 사토미씨의 절친한 친구이자 장례 디렉터인 우루시바리와 함께 하며 고인의 장례를 준비한다.

《머지않아 이별입니다》에서는 다양한 고인들의 사연이 그려진다. 자살로 생을 마감한 고인, 병으로 어린 자녀가 하늘나라로 이별하는 부모, 끝없는 슬픔에 끝내 잠식되어버린 여인 등등.. 그들 모두에게 슬픈 이야기가 있다. 쉽게 이별하지 못하는 부모, 그리고 쉽게 떠나지 못하는 영혼, 곧 태어날 아기에 대한 희망을 꿈꾸었으나 계단 추락사로 순식간에 아내와 아이를 잃은 남편.. 모두의 슬픈 사연들 속에 저자는 남겨진 자들에 대한 위로를 그려낸다.

자신과 아이를 마음 편히 보내주라는 아내의 부탁, 그리고 혼자 하늘나라로 가기 힘들어하는 어린 영혼을 위해 함께 하늘나라 길동무가 되어주던 시미즈 미소라의 언니 등.. 산자와 고인 모두 서로가 위로해주며 마지막 길을 향한다.

유족들에게는 이 마지막이 결코 끝이 아니며 계속하여 살아가야함을, 고인에게는 웃으며 작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우루시바라를 위시한 사토미와 미소라는 끝까지 최선을 다한다.

책 속에 그려진 죽음 중 가장 인상깊었던 장면은 바로 어린 자녀를 떠나보낸 장례식이였다. 그토록 애타게 기다렸던 아이였건만 병으로 딸을 먼저 하늘나라에 보내야만 했던 부모의 마음과 부모를 두고 떠나기 싫어 맴돌던 어린 아이의 마음이 더욱 절실하게 다가왔다. 무엇보다 자신의 슬픔보다 아내의 슬픔을 먼저 챙기며 함께 이겨나가자고 위로해주는 부부의 모습은 이들이 결코 슬픔에 매몰되지 않을 것임을 알려주며 감동을 안겨준다.

하루에도 몇 십 건의 시신이 안치되는 장례식장. 이 죽음들이 결코 남의 이야기만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이 죽음은 또한 삶이다. 죽음을 인지하며 준비하는 삶은 결코 후회를 마련하지 않는다. 죽음을 생각할 때 우리는 비로소 현실을 충실하게 살아갈 수 있다.


사람을 보내는 일을 하는 사이에 깨달은 게 있다.

죽음은 특별한 게 아니라

나의 가까운 사람에게도 반드시 찾아온다는 걸.

아무리 붙잡고 싶어도

손가락 사이를 스윽 빠져나간다는 걸.


이 소설을 읽으며 예전에 즐겨보던 드라마 <판타스틱>의 한 대사가 떠올랐다.

"유언을 써보면 어떻게 살아야 할지 알겠더라고요. 웰빙 웰빙 하는데 웰다잉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라며 "어떻게 죽을까 생각하다보면 어떻게 살지 답이 나오거든요"라고 말한다.

고인의 시신을 보며 고인의 삶을 추리하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을 보며 내 마지막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를 상상해본다. 과연 잘 살았다는 말을 들을 수 있을까? 후회 없는 인생을 살 수 있을까?


《머지않아 이별입니다》는 우리에게 죽음 앞에 더욱 겸손해지고 지금을 더욱 충실하게 사랑하도록 말해준다. 더욱 사랑하고 더욱 잘 살아갈 때 우리가판타스틱의 대사처럼 웰다잉을 할 수 있음을 가르쳐준다.


이 소설을 읽으며 근래 이 세상을 떠난 많지 않은 지인들이 떠올랐다. 장례식장에서 짧은 생을 살다간 그들의 모습을 애도하며 다시 한 번 열심히 살겠다고 다짐을 하지만 일상 속에 돌아오면 빛의 속도로 죽음을 잊게 된다. 하지만 죽음은 항상 우리 곁에 있다. 《머지않아 이별입니다》는 죽음이 결코 슬프기만 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소설이다. 이 죽음 앞에서 더욱 인생을 껴안으며 행복해질 수 있게 붙잡도록 해 준다. 죽음 또한 삶의 한 부분임을 인지하며 내게 남겨진 삶을 끝까지 사랑할 것을 다짐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