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너였을 때
민카 켄트 지음, 공보경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가 나의 신분을 이용해 살고 있다면이란 생각은 더 이상 상상에서만 존재하지 않다. 디지털 기술 발달은 신분증 및 여권 위조 등을 감쪽같이 해 주고 해킹, 다크 웹 등은 거짓 정보로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 스릴러 소설 《내가 너였을 때》는 부유한 한 여성이 누군가 자신의 이름으로 살고 있음을 발견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내가 너였을 때》의 저자 민카 켄트는 전작 『훔쳐보는 여자』에서 지켜보는 여자와 관찰당하는 여자의 비밀을 그린 스릴러로 이름을 알렸다. 《내가 너였을 때》는 브리엔 두그레이가 강도에게 습격을 당하고 가까스로 살아남은 후 벌어지면서 시작된다. 갑작스런 강도 사건 후 브리엔은 그녀의 사무실 보험 대리점도 철수한 후 트라우마로 약에 의지하며 정상적인 사회 활동을 하지 못한다. 사고 후 연락하던 친구들도 무슨 연유인지 연락을 끊고 이제 브리엔에게 남은 건 그녀의 집에 세입자로 있는 의사 나이얼이다. 2층에서 생활하는 나이얼은 항상 친절하며 그녀의 공포를 이해해준다. 브리엔은 나이얼에게 심적으로 의지하며 그가 마음을 열고 다가오기를 기다린다.


그럭저럭 버텨나가는 브리엔의 일상에 균열이 온 건 그녀 앞으로 온 아파트 열쇠였다. 자신의 이름으로 계약이 된 아파트에 혼란이 온 브리엔은 직접 찾아간 그 곳에서 자신의 이름으로 자신과 같은 향수와 물건을 사용하고 있는 한 여성을 발견한다. 그녀의 정체에 혼란스러워진 그녀는 그 여성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팔로우하며 그녀를 추정해간다. 가짜 브리엔의 정체에 가까워질수록 밝혀지는 사건의 진실은 점점 그녀를 옥죄어온다.


1부 브리엔의 관점에서 혼란을 가중시켰다면 2부는 역시나 라고 다소의 실망을 할 수도 있다. 1부에서 주어진 단서로 브리엔과 나이얼의 관계를 예상할 수 있지만 3부에서 저자는 그런 나의 반응을 예상이라도 했다는 듯 급반전을 선사한다. 브리엔과 나이얼 양자의 입장에서 교차로 사건이 진행되는 이 소설은 공격하는 자와 막는 자의 심리를 더욱 극대화함으로 긴장감을 배가시킨다.


《내가 너였을 때》는 강도 사건 이후 힘들어하는 브리엔의 심리를 이용하여 그녀를 조종하고 거짓 진실을 믿게끔 유도하는 가스라이팅 수법을 이용한다. 브리엔이 갖고 있는 과거의 기억까지 모두 거짓으로 몰며 상대의 말에 조종당하는 심리를 세밀하게 보여준다. 사건의 진실을 알기 전까지 읽는 나조차도 나이얼의 거짓말을 진심으로 믿게 하는 영리함이 돋보인다. 가짜 브리엔과 진짜 브리엔이 만나 급반전되는 부분도 꽤 흥미롭다.


다만 다소 아쉬웠던 건 브리엔이 모든 진실을 알게 되는 계기가 다른 사건이였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은 남는다. 그 계기의 개연성이 더 촘촘했다면 강렬한 인상을 주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그럼에도 이 소설은 강력한 페이지터너이다. 이 책을 읽는 순간 독자까지 조종하는 나이얼의 가스라이팅에 속고 있는 당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