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희
박유리 지음 / 한겨레출판 / 2020년 5월
평점 :

소설 《은희》는 12년의 기간 동안 513명의 사람들을 죽음에 이르게 했던 국가와 기관의 합동 말살 정책인 "형제복지원 사건"을 재구성한 소설이다. 유대인을 청소하기 위해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내몰았던 나치 정책과 같이 국가는 사회를 깨끗하게 하며 걸인들에게 복지를 조성한다는 목표 아래 거리의 걸인, 깡패, 고아, 술 취한 자를 막론하고 실적을 올리기 위해 어느 누구나 잡아 감금하여 폭행과 구타를 일삼았던 최악의 인권 유린 사건이다. 소설 《은희》는 바르 그 중심에 죽음이 조작된 사건의 주인공 , 강간으로 아이 '준'을 낳고 구타로 목숨을 잃은 은희가 있다.
《은희》는 한국에서 미국으로 입양되어 부모님을 따라 폴란드에서 살고 있는 청년 '준'이 한 통의 편지를 받으면서부터 시작된다. 입양 서류와 어머니의 검안서, 어머니의 죽음에 관련된 수사 요약 보고서와 그 중심에 있는 형제의집 사건, 그리고 어머니 죽음을 알고 있는 사람이 학생들과 함께 견학을 올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한 통의 편지로부터 알게 된 자신의 출생의 비밀. 축복 받은 탄생이 아닌 강간에 의해 태어난 자신의 출생 사실은 그에게 더욱 큰 혼란을 가져다 준다. 그리고 풀리지 않는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죽음을 알고 있는 사람이 온다는 박물관을 찾고 그 곳에서 미연을 만나게 된다.
미연은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딸 재희를 사고로 잃었다. 남편의 요청으로 재희의 생일에 남편 지훈과 함께 딸이 있는 추모관으로 향한다. 매일 메마른 마음으로 살아가던 미연은 올해도 지훈과 함께 추모관에 가 딸의 죽음을 애도한다. 살아간다는 것보다 버티어 간다는 말이 어울리는 미연은 자신이 외면해 온 형제의 집 감금사건이 준이 자신의 엄마 김은희를 아냐는 질문 앞에 애쓰게 봉인해 온 자신의 불행했던 형제의집을 직면한다.
《은희》는 은희의 죽음과 관련된 인물들의 회고와 함께 사건을 재구성해가지만 작가는 사실이 존재했던 과거가 아닌 이 생존자들이 살고 있는 현재에 더 집중한다. 진상규명위원회인 병호는 형제의집 생존자 중 가장 반듯한 삶이라고 여겨지는 미연에게 증언해 줄 것을 부탁하며 질문을 던진다.
형제의집에서 나온 사람들, 다 어렵고 불행하게 살아요.
배우지 못했고 괜찮은 직업 가진 사람도 없고요,
매일 죽지 못해 살아가고 있죠.
당신을 제외하면요.
병호는 대학을 졸업하고 명문 한국외고 영어교사이자 결혼까지 한 미연이 버젓한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한다. 미연은 이 형제의집 사건에서 벗어났다고 말한다. 하지만 작가는 그들이 가장 버젓하게 살고 있다던 미연의 삶이 결코 1987년에서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했음을 강조하고 있다. 미연 뿐만 아닌 다른 피해자들 모두 그들의 삶이 형제의집 감금 시절에서 멈춰 있음을 강조한다. 단 한 사람만 제외하고...
세월은 그들에게 다른 벌을 주었다.
한 사람에게는 잊어가는 벌은, 또 한 사람에게는 잊을 수 없는 벌을.
형제의집 원장이자 이 사건의 원흉인 방인곤 원장은 치매 질환으로 자신의 과거를 잊어간다. 미연과 다른 인물들에게는 잊혀지지 않는 고통을 선사했다면 방인곤 원장은 자신의 기억을 지워나가는 축복을 선사받았다. 자신의 악업도, 자신에게 가해진 비난도, 손가락질도 모두 지워지는 걸 저자는 세월이 주는 벌이라고 하지만 이 책에서는 신이 이 죄인 방인곤 원장에게 준 하나의 축복처럼 느껴지며 남겨진 자들의 비참함을 더욱 가중시킨다.
이제 가해자인 방인곤의 치매 앞에 그에게 지난 잘못을 사죄하라고 외칠 수도 없는 이 현실은 영화 <밀양>을 떠올리게 한다. 아들을 죽인 살인범을 용서하기 위해 교도소를 찾은 여주인공에게 살인범은 자신은 이미 하나님으로부터 죄를 용서받았다고 말한다. 자신의 구원을 말하며 평온한 얼굴을 짓는 살인범의 표정 앞에 여주인공은 소리친다. 피해자인 자신이 용서하지 않는데 어떻게 하나님이 그 사람을 용서할 수 있냐고 외치는 영화 속 모습과 치매로 현재를 충실히 살아가는 원장의 모습과 과거의 고통으로 현재를 살아가지 못하는 미연의 절규의 모습이 겹쳐진다.
인간이 아닌 바퀴벌레보다 못한 취급 속에서 강간에 의한 임신은 결코 상상할 수 없이 비참하다. 하지만 이 소설은 점점 중심에 다가갈수록 한 생명을 품고 그 강간의 흔적인 한 생명을 축복으로 받아들이며 끝까지 아이를 품은 은희를 보여준다. 인간이 인간일 수 없는 곳, 희망도, 왜라는 질문도 없는 곳, 살아남기만을 바라는 곳, 그 곳에서 어린 나이에 성폭행을 당한 흔적을 어떻게 품을 수 있을까. 아무리 엄마인 나이지만 은희의 결정은 놀라웠다.
하지만 작가는 은희의 죽음을 통해 그 이유를 말해주는 듯하다. 사랑이 없는, 인간이길 포기해야 하는 형제의집에서 자신에게 찾아온 아이를 사랑하는 한 인간으로 살아남고자 했던 하나의 몸부림이였음이 느껴졌다. 절망과 원망보다는 끝까지 보호하고 인간이길 포기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였다. 그 의지로 구타 속에서도 아이를 지켜냈고 아이가 입양되는 날까지 젖을 물리며 사랑을 주었다.
이 소설 속에서 자신이 성폭행범에 의해 태어난 존재라는 걸 안 '준'이 올바르게 살아갈 수 있을까 걱정이 되었다. 하지만 소설 마지막 끝까지 사랑하기를 선택한 은희의 기억으로 '준'이 예전처럼 마음의 벽을 쌓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양부모님과의 거리나 타인과의 거리가 갑자기 좁혀지지 않겠지만 자신의 존재가 끝까지 희망을 선택한 엄마의 존재라면 준 또한 사랑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마지막에 살기를 선택한 미연과 같이...
고통스러운 이름 《은희》는 그렇게 고통의 존재에서 희망의 존재로 느껴졌다. 인간임을 잊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처럼 남겨졌다. 그리고 이 형제의집 사건이 피해자들의 시계 단추를 여전히 멈추고 있는 한 이 일이 결코 끝난 것이 아님을 《은희》를 통해 더욱 드러낸다. 소설 속 미연에게 부모님이 다 지나간 거라고, 다 잊을 거라고 말하며 봉인해 버리지만 이 봉인 된 시간 속에 여전히 고통이 진행 중임을 미연과 준의 삶을 통해 작가는 말하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한 문장, 한 문장 쉽게 읽어나갈 수 없었다. 문장마다 이 인물들의 고통과 감정이 물이 스폰지에 흡수되듯 내게도 그들의 고통이 내게 전염되는 듯했다. 이 형제의집 사건의 피해자들의 현재 속에 함께 하려고 노력하는 작가의 노고가 문장에서 느껴져 몇 번이나 곱씹듯 천천히 읽어야했다. 가해자는 없고 피해자만 고통받는 이 끔찍한 사건들이 더 이상 없길,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직도 음지에서 힘들어 할 많은 은희들에게 나 또한 작가의 마음처럼 그들을 위해 기도하며 응원을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