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는 증인의 얼굴을 하고 있었다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미스터리 소설은 사건 전개와 함께 그 사건을 추적해 간다. 이 추적에서 여러 떡밥을 던져놓고 독자들을 혼란케 한 후 이야기 말미에서야 반전과 함께 범인을 드러낸다. 《그녀는 증인의 얼굴을 하고 있었다》는 이 모든 상식을 뒤엎는 듯하다. 살인마의 정체를 밝힌다. 허무하게. 하지만 또 다른 반전을 선사한다. 여자 주인공인이자 증인인 헨리에타가 바로 조울증으로 약을 먹어야 한다는 것. 헨은 경찰과 남편에게 진실을 밝히지만 아무도 증인인 그녀의 말을 믿지 않는다.

《그녀는 증인의 얼굴을 하고 있었다》의 저자 피터 스완슨은 <죽어야 마땅한 사람들>이라는 소설로 이미 국내에 유명한 추리 소설 작가이다. 그는 이번 신작에서는 더 기발한 이야기로 찾아왔다. 이 책의 주인공 부부는 헨과 로이드 그리고 매슈와 미라 부부이다. 헨에게는 대학 시절 다른 친구를 스토킹한 전력이 있다. 조증환자인 그녀는 약을 먹어야 하고 로이드와의 사이에서 약으로 인해 아이를 포기했다. 새로 이사한 이 마을에서 유일하게 아이가 없는 부부인 옆집 매슈와 미라 부부를 알게 되고 매슈의 집에서 저녁 초대를 받게 된다.

집안 구경을 하던 중 헨은 서재에서 펜싱 트로피를 알게 되고 이 트로피가 전에 온 나라를 들썩이게 한 더스틴 밀러와 관련 있음을 직감한다. 이 직감을 매슈 또한 알아차리고 헨은 매슈가 또 다른 살인을 할 것을 예감하던 중 매슈가 동료 교사 미셸의 남자 친구인 스콧을 죽이는 걸 목격하게 된다. 경찰에게 매슈가 범인임을 알리지만 증거 부족과 헨의 과거 전력으로 인해 사람들은 헨의 말을 믿지 않고 오히려 매슈로부터 접근 금지 신청을 받게 된다. 범인이 증인의 말보다 더 신빙성있게 되는 이 현실 속에서 매슈는 자신에게 유리함을 알고 헨에게 접근하며 특벽한 관계를 제시한다.

증인의 말을 믿어주는 유일한 사람이 범인밖에 없다.

신뢰성 없는 증인에게 범인은 자신의 이야기를 마음 놓고 털어놓는다.

이 믿기지 않는 상황에서부터 매슈의 동생 리처드가 나오고 그들의 충격적인 과거사가 나온다. 헨과 매슈의 심리 싸움에서 리처드가 개입되면서 저자 피터 스완슨은 이 이야기를 반전에 반전을 가져다 준다.

불우한 가정 환경에서 자란 매슈가 자신의 살인 이유를 밝히는 부분은 섬뜩하지만 공감을 일으킨다.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 나쁜 인간들은 변하지 않으므로 이 사회에 없애주는 게 더 훌륭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당당히 밝히는 매슈. 그리고 헨의 작품 세계와 자신의 살인을 비교하는 이 담대함은 정말 허를 찌른다.

살인으로 나쁜 자들을 처단하는 건 아니지만 우리는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음을 어느 누구보다 많이 말하고 있지 않은가.

가정사와 함께 드러나는 동생 리처드의 이야기 속에 작가의 반전은 그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놀라움을 선사한다. 뒤통수를 맞는 듯한 이 반전은 앞의 매슈와 헨의 심리 싸움 대신 오싹한 공포를 느끼게 해 준다. 자신은 절대 여자를 죽이지 않는다고 말하는 매슈와 여자를 창녀 취급하며 하대하는 동생 리처드, 같은 가정환경에서 극명하게 다른 이 두 인물의 성격으로 인해 피터 스완슨은 인물들을 극한의 상황까지 밀어붙인다.

폭력, 살인, 광기, 데이트 폭력, 여성 표현 등 소재들이 불편하게 하는 면도 있음을 인정한다. 하지만 이런 폭력을 응징하는 방법과 과연 제대로 처벌받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를 자문하게 된다. 처음부터 매슈가 범인이라는 걸 밝힌 이 소설은 독자들에게 이미 답을 내린 만큼 더 담대한 작전을 펼쳐간다. 독자를 설득하는 게 아닌 증인의 말을 믿지 않는 책의 인물들을 설득하고 그들에게 범인이 바로 매슈입니다를 알려야 한다. 이 어려운 작업을 피터 스완슨은 해낸다. 440페이지의 두꺼운 분량도 쉽게 넘기게 하는 가독성과 전혀 군더더기 없는 사건의 전개는 읽는 내내 자리를 뜨지 못하게 한다.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된 이 때, 추리소설의 시작을 이 책으로 해 보는 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