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이 되는 글쓰기의 모든 것 - 지금 배워 100살까지 써먹는 일과 삶의 진짜 무기
송숙희 지음 / 책밥 / 2020년 2월
평점 :

SNS의 발달로 많은 이들이 글을 쓴다. 블로그,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등 많은 SNS에 글과 이미지가 넘쳐나고 많은 회사들 또한 SNS 마케팅 전담이 있을만큼 적극적이다.
파워블로거, XX 팔로워 돌파 등 SNS 유명 인사들이 새로운 대세로 떠올랐으며 그들이 쓰는 글은 순식간에 온갖 포털의 검색어 및 제품이 단시간에 소진되는 현상을 낳기도 한다.
이 현상에 힘입어 글쓰기 교실이 넘쳐나고 이제는 마케팅을 위한 글쓰기 등의 주제가 각광을 받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파워 블로거 또는 많은 팔로워를 보유하기 원한다. 나 역시 그렇다.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인지도를 올리기 위해 열심히 글을 올리고 사진을 찍어 글을 올린다.
하지만 이건 확실히 하자.
정보는 넘쳐난다. 하루에도 몇 백, 몇 천건의 글이 올라온다.
그 홍수같이 쏟아지는 글 속에 나의 글이 단 한 명이라도 읽힐 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나의 글이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어야 더 많은 사람에게 읽힐 수 있을까?
글쓰기 코치로 유명한 《돈이 되는 글쓰기의 모든 것》의 저자 송숙희씨는 글쓰기의 기본 바로 분명한 메시지 전달이 기본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광고를 보았는데 이게 무슨 내용인지 알지 못한다면 그 광고는 무용지물이다. 헛수고한 것이다.
슬프게도 어떤 메시지인지 알 수 없는 글이 많다. 그 글은 당연히 호응을 받지 못한다.
저자는 그러한 글쓰기를 헤겔짓거리라고 말한다.

돈이 되는 글쓰기를 하기 위해선 독자의 반응을 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독자가 자신의 글을 읽고 시간 낭비하지 않았다고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어떤 글이 반응을 일으키는가?
저자는 OREO 공식을 설명해준다.

어쩌면 이 공식이 너무 당연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진지하게 생각해 보자.
나의 글이 이 OREO 공식을 충분히 따르는가? 아쉽지만 나 역시 Yes라고 자신있게 말하지 못한다.
저자는 이 OREO 공식에 기반하여 글쓰기의 법칙을 설명해준다.
《돈이 되는 글쓰기의 모든 것》이라고 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이 SNS 유명 인사가 되기를 꿈꾼다면 이 책을 읽지 말라고 권하고 싶다.
오히려 저자는 글쓰기의 기본이 잘 되어 있는지 진지하게 묻고 그 기본기를 탄탄히 다질 때 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책을 출간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넘쳐난다. 하지만 저자가 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넘쳐 나는 데 비해 매년 바닥을 치는 책 구매율과 독서인구의 감소 현상은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책을 쓰고자 하면서 읽지 않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진다. 저자는 분명하게 강조한다.
글을 잘 쓰는 유일한 비결은 '읽기'입니다.
인풋이 있어야 아웃풋이 있다는 건 절대진리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 진리를 글쓰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좋은 글을 읽어야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잘 읽기 위해 저자는 필사 및 여러 방법을 소개해 준다.
저자는 또한 생각하는 능력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난 후 글을 쓴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저자는 글을 쓰면서 생각하라고 말한다.
그 강조를 위해 저자는 3F 연습법인 (FOCUS, FEEDBACK, FIX IT)의 공식을 알려준다.

SNS글쓰기, 책이 되는 글쓰기, 대본 글쓰기, 고객 서비스 글쓰기 등 여러 주제에 맞추어 저자는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어 각 분야에 맞추어 독자들은 맞춤형 글쓰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또한 글쓰기의 기술에 대해서도 많은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 모든 것들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태도와 습관임을 저자는 잊지 않는다.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많이 생각하고 많이 읽어야 하고 많이 고쳐야 한다.
단시간에 글을 쓰고 효과를 보려고 한다면 그건 돈이 아닌 독이 되는 글쓰기다.
글잘러가 되기 위해서 쓰는 사람 중심이 아닌 철저히 독자 친화적인 글쓰기가 되어야 하며 독자를 연구해야 한다.
저자는 이를 독자의 머릿속 해킹하기라고 말한다.
글은 하나의 형태화된 말이다. 자신이 글자로 내뱉은 말에 대하여 쓰는 사람은 자신의 글에 대해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많은 정치인들 또는 고위 인사가 자신이 쓴 글로 반대편의 공격을 받고 물러나는 경우를 많이 봐 왔다.
단 한 명의 독자라도 내 글을 읽었다면 그 사람에 대해 우리는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책임 있는 글쓰기가 바로 돈이 되는 글쓰기의 완성이 될 수 있다.
이 글을 쓰면서도 과연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까라는 생각에 조심스러워진다.
과연 내 글은 독자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나? 아니면 사람들은 내 글이 시간낭비라고 생각하진 않을까?
이 책을 읽은 후 글쓰는 삶을 꿈꾸는 사람으로서 어깨가 더욱 무겁다.
글을 쓸 때 옆에 두면서 읽고 써야 하는 책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