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시의 숲에서 인간을 발견하다 - 성장하고 기뻐하고 상상하라 ㅣ 김진애의 도시 3부작 2
김진애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알쓸신잡>에 유일한 여성 게스트로 출연해 대중들에게 친숙한 도시 건축가 김진애 씨의 도시 3부작 중 2부작 『도시의 숲에서 인간을 발견하다』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도시1부작인 『김진애의 도시이야기』가 도시의 12가지 '도시적' 콘셉트를 중점으로 설명한 책이라면
도시2부작은 '도시를 읽으면 인간의 본성이 보인다' 라는 콘셉트로 도시를 설명해 줍니다.
표지 부제작처럼 '도시'는 사람의 건축물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도시는 사람들의 숨겨진 욕망 그리고 본성에 설계되어졌습니다. 그 도시의 이야기 속에 숨겨진 인간의 삶 이야기를 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자 김진애씨는 도시를 딱딱한 건축물로 설명하지 않습니다. 인간이 그 안에 살고 있는 한 도시는 언제나 살아 숨쉬는 하나의 공간으로 간주하며 이 도시를 성장하고 기뻐하고 상상할 수 있도록 설명해 줍니다.
1부 호기심을 깨우라 부분에서는 우리 인간이 지금까지 문명을 이루어 온 배경에는 인간의 호기심이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었음을 말해 줍니다. 그 호기심으로 도시를 탐험하고 즐기는 법을 가르쳐 줍니다.
김진애 작가는 자신의 전공분야답게 도시에 담긴 구조적 특징과 함께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해 줍니다.
저자가 학창 시절에 강렬한 지적 감동을 받았던 파리와 런던에 대한 강의부터 밀라노와 베르셀로나의 성장 배경 그리고 도시를 탐험하기 위해 일부러 길을 잃고 탐구하는 이야기는 흥미진진합니다.

그리스 신전 판테온을 찾아가는 여정을 설명해 주며 그 길을 찾아가는 여정 속에 정신을 집중하며 몰입하는 과정을 즐기도록 말합니다. 네비게이션이 없던 시절, 많은 사람들은 지도책을 들고 다니거나 길 여기저기를 헤메며 목적지를 찾곤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사람들은 다른 길을 찾기도 하고 또 주변을 상세히 알기도 하죠.
하지만 네비게이션으로 목적지만 입력하면 기계가 정해주는 목적지로 앞만 보고 달려가는 시대이다 보니 주변에 무엇이 있는지, 가는 길에 어떤 건물이 있는지 우리는 보지 못합니다. 갈수록 호기심이 사라지는 시대를 살고 있죠.
네비게이션이나 핸드폰이 미처 알려주지 못한 보물은 우리가 호기심을 가지고 도시 곳곳을 탐험할 때 주어지는 것입니다.
2부 성찰하며 선택하라 에서는 도시 속에 숨겨진 인간의 본성을 더 파헤쳐 줍니다.
가령 자본주의의 끝판왕이라 부를 수 있는 뉴욕, 마천루와 온갖 초고층 빌딩으로 그 명성을 떨치던 뉴욕의 탐욕과 그 뒷이야기, 9.11 테러 뒤에 도시를 재건축하면서 거대한 건물보다 거리 친화형, 활력이 있는 거리로 탈바꿈을 시작한 뉴욕의 모습을 설명해줍니다. 우리가 도시를 대하는 방식이 바로 인간을 대하는 방식과 동일함을 저자는 말해줍니다. 부와 개발에 집착하면 우리는 도시를 탐욕의 도구로 만들게 됩니다. 하지만 함께 살아가고 타인과 아울러 살아가게 된다면 건물의 설계방향도 달라지게 됩니다. 바로 이 인간의 모습이 뉴욕의 9.11 테러 전과 후로 구분하게 됩니다.



싱가폴, 홍콩, 상하이등 도시의 위치 조건을 분수라고 비유한 저자의 설명이 흥미롭습니다.
인간이 분수에 맞게 살아야 한다는 비유처럼 각자 제한을 가지고 있는 이 세 도시가 분수에 맞춰 살고있는지 아니면 분수에 맞지 않게 너무 욕심부리고 있는 건 아닌지 설명하는 글을 읽노라면 저자가 도시를 인간과 같이 살아있는 생명체로 대하며 이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결국 도시는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는 공간이므로 사람이 있는 한 도시 또한 살아있는 생명체입니다.
3부에서는 몸을 닫고 기쁨에 빠져라에서는 도시를 즐기는 법을 설명해 줍니다. 걷기에 특화화 된 제주 올레길, 북촌 한옥마을 그리고 먹거리 여행 등 그 도시의 삶에 푹 빠질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단지 유명한 관광지 순례가 아닌 사람 구경, 길 구경 등 순간 순간을 즐길 수 있는 방법 등을 통해 우리가 잊고 있었던 기쁨을 설명해 줍니다.
도시 이야기인데 읽노라면 그 안에 숨겨진 인간의 본성과 삶을 이야기합니다.
결국 도시를 대하는 방식이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 방식임을 알게 됩니다. 내가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 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재정립해야 함을 말해 줍니다.
이는 도시를 살아있는 생명체로 대하는 저자의 태도 덕분에 배울 수 있는 가르침입니다.
그 도시 이야기 속에 나는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는가를 진지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알쓸신잡에서의 저자의 해박한 지식이 이 한 권에 쏟아넣은 듯 흥미진진하면서도 우리의 삶에 대해 묻는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