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온도 - 얼어붙은 일상을 깨우는 매혹적인 일침
이덕무 지음, 한정주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덕무는 북학파 실학자로 조선 최고의 시인이자 에세이스트였습니다. 그러나 서자 출신이라는 출생 꼬리표는 그의 출세에 큰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책만 읽는 바보'로 알려졌던 이덕무의 문장에 흠뻑 빠진 고전연구가 한정주씨가 <문장의 온도>에 이은 후속편 <시의 온도>가 출간되었습니다.

시는 어렵습니다. 하물며 조선 시대의 한시는 더욱 어렵습니다.

저자 한정주 고전연구가는 이덕무 시의 풀이와 함께 이덕무의 시와 세계관 등을 자세하게 설명해줍니다.

이덕무의 무엇이 저자를 그토록 매료하게 했는지 왜 그의 시가 후세에까지 극찬을 받는지 저자는 하나 하나 알려줍니다.

먼저 이덕무의 시를 이해하기 앞서 저자는 18세기 조선의 '진경시대'를 설명해줍니다.

진경산수화, 진경시문등 산천과 강호의 실경을 그림과 언어로 표현한 조선 시대를 설명해주며 그 대표적인 주자인 겸재 정선과 이덕무 그리고 그의 절친한 벗들 '백탑파' 시인임을 말합니다.

특별한 물건이나 일상이 아닌 자신 주변의 모든 것들을 소품으로 활용했던 이덕무는 자신의 모든 것이 문장의 소재가 되었습니다. 매미, 귤, 하늘, 구름, 가을바람 등등 이덕무의 모든 소재는 일상의 소소한 것들이였습니다.

이덕무는 또한 자국 중심의 세계관을 가진 문학가로 설명합니다.

알다시피 조선은 중국을 섬기는 사대주의 국가입니다. 많은 문인들이 청나라의 시와 글을 모방하였습니다.

이덕무는 청나라의 시를 모방하기보다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합니다. 자신의 일상을 소재로 삼아 진솔하고 담담하게 써내려갑니다. 누구도 흉내내지 않는 자신의 세계를 창작하는 것이 이덕무의 방법입니다.

《시의 온도》는 비록 200여 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이덕무의 글이 어떻게 우리에게 여전히 적용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많은 글쓰기 선생님들이 말하듯 일상의 소재, 진솔한 글, 자신만의 문장 등을 구축해 나가는 글쓰기의 원칙을 이덕무는 알고 실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사실 그대로의 자연 묘사, 절친한 벗들과의 우정, 출세를 벗어나 글과 동고동락하는 그의 마음을 담은 글들은 오랜 시간이 지났어도 전혀 어렵지 않게 느껴집니다.

이덕무의 창작관과 함께 저자는 시를 이해하고 비평하는 방법 등을 함께 설명해 줍니다. 따라서 저와 같이 시에 문외한인 초보자들에게도 시를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설명해 줍니다. 좋은 글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글의 명성이 달라질 수 없음을 이덕무의 시를 통해 알려줍니다.

시를 이해하기 어렵다면 저자의 설명만을 읽고 다시 읽어보기 권합니다.

분명 이덕무의 시가 왜 저자를 덕후의 길로 빠지게 했는지 조금이라도 알 수 있으니까요.

시가 아닌 글쓰기로도 충분히 참고할 수 있는 책입니다.

글쓰기를 어렵게 생각하는 이들에게도 일상의 소재가 어떻게 시가 되고 글이 될 수 있는지 알려주는 이 <시의 온도> 는 분명 좋은 글쓰기 선생님이 되어 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