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가 ㅣ 스토리콜렉터 79
미쓰다 신조 지음, 현정수 옮김 / 북로드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마가》는 한자로 [魔邸]로 쓰이며 풀이하면 "귀신 들린 집"을 뜻하는 단어로 일본 추리소설 작가 미쓰다 신조의 '무서운 집'시리즈의 완결판이다.
《마가》의 주인공인 유마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어머니가 돈 많은 아버지와 재혼을 하며 그동안 살던 간사이 지방을 떠나 도쿄로 이사온다. 부유한 아버지로 인해 생활의 어려움은 없지만 유마에게는 새아버지의 존재는 여전히 어렵기만 하다. 넓지만 삭막한 집에서 예전의 생활을 그리워하던 유마에게 새아버지의 이복동생인 도모노리 삼촌은 답답한 도쿄 생활에서 유일한 숨 쉴 수 있는 탈출구였다.
엄마의 임신과 새아버지의 해외 주재원으로 파견으로 인해 가족들은 유마의 거취를 논의한다. 함께 떠나고 싶지만 사정상 먼저 부모님이 출국해야 하는 상황에서 유마는 부모님이 적당한 학교를 마련할 때까지 일본에서 머물게 된다. 학교를 파한 후 집에 돌아가던 유마는 자신을 기다리고 있던 도모노리 삼촌이 여름방학동안 자신을 맡게 되었다며 간단히 짐을 꾸려 삼촌이 소유하고 있는 고무로 별장으로 향하게 된다.
유마가 삼촌과 머물게 된 고무로 저택은 삼촌이 별장 관리인으로 근무할 당시 유괴당한 별장 주인의 손자 히사시를 찾아주어 그 답례로 받은 저택이다. 으리으리한 저택과 달리 이 저택의 뒤에는 어린아이가 갑자기 사라지는 '가마카쿠시'현상이 벌어지는 무서운 '사사숲'이 있어 삼촌은 절대 혼자서 사사숲에 들어가지 말 것을 경고한다.
소설은 고무로 저택의 모습에 상당 부분 할애한다. 조리실, 부엌, 3층 다락방, 동익동, 서익동등을 세부적으로 묘사하며 읽는 독자에게 이 저택이 단순한 별장이 아닌 뭔가 비밀이 도사리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밤마다 들리는 이상한 소리, 바깥을 바라보는 자신에게 손짓을 하며 오게 한 후 사사숲의 사라진 아이들에 대해 이야기해주는 다른 별장의 관리인인 요시마타씨의 등장으로 인해 공포를 더욱 극대화한다.
보호자 없이 돌아다니지 못하는 십대 소년인 유마가 인적도 드문 도움도 요청할 수 없는 이 한정된 공간인 고무라 저택을 저자는 글 속에서 공포의 장소로 적극 활용한다.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과연 어떻게 그려질까 궁금할 정도로 저택의 장소 설명은 왜 저자가 앞에 그렇게 공을 들여 설명했는지 감탄할 정도이다.
저자 미쓰다 신조는 이 소설에서 많은 사건을 전개시키지 않는다. 다만 이 조용한 공간인 집에서 점점 밀려오는 유마의 공포를 최대한 부각시킨다. 사사숲의 공포로 인하여 집 안에서밖에 지낼 수 없는 유마가 이 공간에서 조금씩 밀려오는 공포를 아주 천천히 그려낸다. 서서히 그려지는 공포의 모습은 유마 뿐 아니라 읽는 이까지 숨막히게 한다.
정말 이 집은 제목 그대로 귀신이 쓰인 집일까? 과연 유마는 이 집에서 무사히 살아남을 수 있을까 애타게 기다리지만 저자는 극한의 공포까지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마지막에 밝혀진 반전은 망치로 머리를 맞은 것 만큼 강력한 충격을 선사하며 저자가 글 곳곳에 뿌려놓은 떡밥이 막판에서야 알게 되며 다시 한 번 저자의 기발한 상상력에 감탄하게 된다. 다만 아쉬운 것이 있다면 일본 소설인만큼 일본 한자어에 대해 알았다면 조금 더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한 점을 감안한 번역자가 한자어를 설명하는데 왜 그토록 자세하게 설명해 주었는지도 마지막에 가서야 알게 된다.
그동안 읽은 추리소설 중 내가 가장 재미있게 본 추리 소설은 사와무라 이치의 <보기왕이 온다>였다.
하지만 이 《마가》 또한 결코 뒤지지 않는 공포 소설로 <보기왕이 온다> 만큼 사사숲의 괴담을 공포의 장치로 적극 활용한 작품으로 이 《마가》에 점수를 더 높게 주고 싶다.
서서히 조여오는 공포가 압권인 추리소설 《마가》 절대 혼자 있는 밤에 읽지 마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