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팔로우 미 백
A.V. 가이거 지음, 김주희 옮김 / 파피펍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트위터,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 SNS의 활성화로 인해 자신의 일상을 공개하며 타인의 일상을 보게 된다.
일반인들부터 유명 연예인과 정치인들 모두 자신의 이미지 관리를 위해 SNS에 글을 올리며 대중의 관심을 얻고자 한다. 팔로워와 좋아요의 횟수에 희열을 느끼며 더 많은 팔로워를 모집하기 위해 많은 이들이 공들여 사진을 찍어 올리며 익명의 다수에게 나를 봐줘, 나를 알아줘, 나를 사랑해주길 호소한다.
『팔로우 미 백 Follow Me back 』은 온라인 팬 문화에 관한 미스터리 스릴러 소설이다.
이 소설은 유명 가수 에릭 쏜과 온라인상에서 그를 추종하는 팬들이 트위터 SNS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그린다.
타고난 재능으로 음반 기획사에 섭외되어 빡빡한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에릭 쏜에게는 SNS 트윗을 작성하는 일 또한 팬 서비스의 일종이다. 매일 꽉 짜인 일정에 지친 에릭 쏜은 며칠 전 일어난 연예인 도리안 크롬웰이 극성 팬에 의해 살인을 당한 일로 극히 불안감을 느낀다.
이 책의 또 다른 주인공인 테사는 광장공포증으로 대학도 자퇴한 채 심리치료 이외에는 집에서 두문불출하는 에릭 쏜의 열렬한 팬이다. 트위터에서 #에릭쏜중독 으로 30만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테사는 에릭 쏜의 트윗 맨션 하나 하나에 열광한다.
소설은 연예인의 살인 사건으로 인해 광적인 팬들의 사랑에 혐오를 느낀 에릭 쏜이 익명의 계정을 만들어 테사와 온라인 상에서 관계를 맺게 되며 서로의 상처를 알아봐 주며 마음을 나누게 되는 부분이 주로 그려진다.
처음엔 생각 없는 팬인 것으로 오해하던 에릭 쏜이 자신을 상업적으로만 이용하려는 기획사와 자신을 상품으로만 아는 일부 팬들과 달리 자신의 이야기에 진지하게 귀를 기울여 주며 마음을 알아주는 테사의 모습에 호감을 느낀다. 테사 또한 광장공포증으로 인해 사회 생활 및 대인 관계가 전무한 상태에서 자신을 알아주는 친구가 생기면서 둘의 우정 및 쌈이 시작된다.
온라인 공간에서 서로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에 언제쯤 에릭 쏜이 테사에게 자신의 정체를 밝힐 지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기대하게 되는 설레임 또한 남기지만 반면 팬들의 광적인 사랑으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연예인들의 안전과 그들의 두려움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그려낸다.
에릭 쏜과 테사의 트윗, 그리고 경찰 조사 장면 등이 매 장마다 교차되어 보여짐으로 과연 이 둘의 관계가 파국으로 끝날지 아니면 해피앤딩으로 끝날지 긴장감을 자아내게 한다. 다만 아쉬운 점은 테사의 광장공포증에 대해 뭔가 이유가 있다는 떡밥을 던지지만 그 떡밥이 너무 마지막에 나옴으로서 개연성에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
트위터 상에서 벌어지는 소리 없는 전쟁, 끊임없는 관심을 요구하며 팔로워를 더 모으기 위한 그들의 치열한 전쟁,
연예인의 트윗 하나에 열광하는 온라인 상의 만남, 익명이기에 온갖 범죄들에 취약할 수 있는 SNS의 위험성 등이
이 소설의 에릭 쏜 팬들의 이야기 속에 그려져 있다.
그리고 그 보이지 않는 전쟁을 작가는 테사가 자신에게 악담을 퍼붓는 트위터 상의 에릭 쏜에게 남기는 메세지를 통해 우리가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 것임을 보여준다. 그 가상의 공간에서도 타인을 향해 예의를 갖출 것을 이야기한다.

SNS세대 맞춤 스릴러답게 SNS을 적극 활용한 소설이다. SNS의 장점과 단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하나의 영리한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이 소설이 텍스트 중심인 페이스북이나 사진 중심인 인스타그램보다는 단문 위주인 트위터의 특징을 잘 살렸다.
연애 소설과 미스터리를 절묘하게 결합한 『팔로우 미 백 Follow Me back 』
무겁지 않고 가볍게 읽을 수 있을 듯하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