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생일대의 거래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1월
평점 :

이 세상에는 수많은 거래가 이루어진다. 물물교환에서부터 회사를 인수하기 위한 거래 등 먹고 먹히는 관계 속에 치열한 싸움이 전개된다.
프레드릭 베크만의 신작 《일생일대의 거래》는 죽음을 앞둔 한 남자가 세상에서 무엇보다 가장 큰 거래인 자신의 생명을 내건 거래에 대한 짧은 소설이다.
주인공 나는 암환자이며 옆 병실에는 불치병에 걸린 소녀가 있다.
소녀는 점점 가까워져 오는 마지막에 대한 두려움을 빨간색으로 색칠한다. 그 의자에 있으면 죽음의 사신으로부터 피할 수 있다는 듯이.
앞만 보고 살아왔던 나는 가족도 자신의 곁을 떠났지만 아랑곳하지 않는 삶을 살아왔다.
성공을 위해서 앞만 보고 달려오고 수많은 재산을 축적했지만 결국 마지막에 남은 건 옆에 아무도 없는 외로움과 아들과 함께 하지 못한 후회뿐이다.
그 후회를 아들이 바텐더로 일하는 바의 바깥에 서서 창문으로 아들의 모습을 그저 물끄러미 바라만 볼 뿐이다.
.
행복,만족, 충분히 등의 추상적인 개념을 싫어하고 수량과 계산에 능숙했지만 행복에 대해서는 잊고 살았던 나는 암 판정을 받은 후 바닷가에서 뛰어 노는 개 두마리로부터 비로소 자신의 삶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된다.
나는 로오 옆의 바닷가를 걷다가 개 두 마리가 바닷 속으로 뛰어 들어가
파도와 장난을 치며 노는 걸 보았다.
그리고 나는 궁금해졌다.
내가 그 개들처럼 행복한 적이 있었는지.
그 정도로 행복해질 수 있었는지.
행복해지는게 그럴 말한 가치가 있는 일인지.
마지막에서야 비로소 찾아오는 행복에 대한 질문, 그리고 함께 시간 보내주지 못한 후회 속에서 나는 소중한 것을 찾아나간다. 헤어지기 전 아내가 그에게 그토록 강조했던 말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
"아이의 관심은 절대 되찾을 수 없어."
"예의를 갖추기 위해서가 아니라 진심으로 부모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시기, 그 시기가 지나면.
그 시기가 맨 먼저 지나가 버리거든."
《일생일대의 거래》에서 죽음의 사신은 언제나 나의 주위 곁을 맴돈다. 그리고 죽음이 결코 먼 훗날의 이야기가 아닌 바로 지금 우리 곁에 항상 함께 있음을 말해준다. 지금은 영원히 사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바로 지금이 마지막이 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이미 지나간 시간을 되찾을 수 없기에 그저 물끄러미 아들의 모습을 창문 너머로 살펴보는 아버지.
그 아버지의 모습을 내 모습에 대입해 나의 가족을 바라본다. 그리고 혹시 내가 놓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지금 내 옆의 사람들에게 소중히 대하고 있는지 자문해본다.
"우리가 뭘 아쉬워하는데요?"
"시간."
시간.. 과연 우리에게, 나에게 시간이 많이 남아 있을까?
아이들과 함께 있는 시간이 충분할까? 지금의 시간은 지금일 뿐인 것을 우리는 자주 놓친다.
내일은 결코 오늘이 될 수 없음을 잊곤 한다.
마지막에 가서 중요한 걸 찾으며 위대한 선택을 하는 아버지를 통해 사람을 위한다는 게 어떤 것인지, 그리고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 아렬준다. 생명보다 더한 걸 요구하는 이 일생일대의 거래를 통해 과연 나는 이 거래에 응할 수 있게 되는지 생각하게 된다. 사람을 위한다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하게 해 준다.
이 짧은 소설 안의 이야기가 결코 가볍지 않기에 천천히 읽게 된다. 천천히 읽어나가며 각 문장마다 진지해진다. 읽으면서 지금에 감사하게 되고 나와 함께 있는 사람들을 돌아보게 한다.
읽고 난 후 그 깊은 여운이 남는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