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
문은강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비스 직종의 사람들에게는 요구되는 첫번째 덕목은 친절함이다.

낯선 사람들에게 항상 미소를 띠며 그들의 요구에 언제든지 응대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만약 친절은 커녕 원칙을 지키지 않는 손님에게 일말의 여지도 주지 않는 호텔 주인이라면

아무리 호텔 규칙이라고 하더라도 방문객들에게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한다.

문은강 작가의 소설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의 주인공 고복희 사장이 바로 그 매정한 호텔 원더랜드 사장이다.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에서 홀로 원더랜드를 운영하는 고복희 사장의 원더랜드는 고복희의 엄격한 호텔 규칙으로 인하여 손님이 거의 없는 적자 상태이다.

호텔 재정 상황을 걱정한 직원 린의 제안으로 한국인을 겨냥한 한달 살기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이 첫 번째 손님으로 한국에서 온 박지우가 호텔에 체류하며 프놈펜에서의 한 달간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 원더랜드와 프놈펜 한인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그려진다.

무뚝뚝한 고복희, 한국어에 능한 현지 직원 린, 한인교회 목사 이영식,

간사한 김인식 사장의 직원 안대용, 그리고 기타 많은 한인 사람들..

이들에게 자신의 원칙만을 고수하는 고복희는 달갑지 않은 존재이다. 그리고 앙코르와트를 보지 못해 좌절한 투숙객 박지우 또한 고복희를 매정하다고 여긴다.

하지만 이 매정하게 느껴지는 고복희의 원칙은 고복희의 과거 이야기를 거슬러 오가며 고복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 일에는 다른 시선에 개의치 않고 옳지 않은 일임에도 행동하며 정면 돌파해 나간다. 그리고 자신이 세워 놓은 원칙 하에 모든 사람들을 대해 나간다.

어떤 일에 자신의 감정이나 편견을 배제하고 원칙을 가지고 대함으로 타인의 평가에 지친 사람들에게 위로를 제공해 준다.

어떤 순간에서도 피하지 않고 살아가는 고복희에게서 타인을 향한 배려를 배운다.

투숙객 박지우와 현지 직원 린의 모습을 통해 누군가의 삶을 그저 그대로 바라만 봐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때론 외롭더라도 자신만의 삶을 뚜벅뚜벅 걸어가는 고복희의 존재는 그가 고집스럽게 고수한 그 원칙이 바로 고복희란 존재를 지켜주고 만들어냈음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고복희의 사별한 남편 장영수가 없었다면 고복희는 지금의 자신일 수 있을까?

조개를 먹으며 프로포즈를 받았지만 고복희의 특이한 모습 그대로 사랑해 주며 응원해주던 장영수의 존재는 고복희가 고복희일 수 있게 해 주는 원동력이었다.

우리들은 살아가면서 누군가를 필요로 한다. 혼자이지만 어쩔 수 없이 함께 살아가야 하는 사회이다.

고복희에겐 장영수가, 린에겐 고복희가, 박지우에겐 이 원더랜드의 여행에서으 만남이 새로운 희망이 되어 준다. 그리고 그 사람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봐 줄 수 있을 때 서로의 존재가 빛이 될 수 있다.

내가 본 고복희는 바로 그런 사람이었다. 오히려 그대로 인정해주기 때문에 박지우는 박지우대로 인생을 살아갈 수 있었고 린 또한 새로운 인생을 찾아 걸어갈 수 있었다.

그리고 사람의 시선에서 조금 부족한 안대용마저도 고복희의 눈에는 동등한 존재일 뿐이었다.

고복희에겐 자신의 원칙대로 해 나갔고 그의 행동은 한인교회 목사마저 부끄럽게 했다.

읽고 난 후 고복희의 매력에 빠지게 되는 소설이다. 디스코텍에서 꼿꼿이 앉아 있는 고복희와 호텔 프런트에서 홀로 서 있는 고복희의 모습이 대비되며 웃음을 자아내게 해 준다.

고복희처럼 나만의 방식으로 굳건하게 이 세상을 살아가고 싶다.

누가 뭐래도 흔들리지 않는 나 자신으로 그렇게 당당하게 살아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