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만찬 -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서철원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불문학상 수상작인 <최후의 만찬>이 조선 정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라는 사실에 놀라움과 의아함으로 다가왔다.

전혀 연관되어지지 않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명작과 조선 시대에 무슨 연결고리가 있을까라는 의문 속에 이 소설은 작가의 풍부한 상상력 속에 역사 속 인물들을 불러들여 혼란의 정조 시대로 독자들을 소환해낸다.

<최후의 만찬>은 정조 시기 서학, 즉 천주교를 믿는 교인들을 핍박하던 혼란의 시기이다.

소설은 처음부터 독실한 천주교인인 윤지충과 권상연이 제사를 거부하고 십자가를 섬기었다는 이유만으로 모진 고문을 받고 처형을 당하는 장면으로부터 시작된다. 개인의 믿음이 한 국가를 흔들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죄목이 없음에도 죄목을 만들어서 핍박하던 이 혼란의 시기, 이 종교를 자신의 권력 수단으로 이용하려고 하는 노론의 정치 공세와 이들 사이에서 무기력한 정조의 모습이 그려진다.

그리고 이 모습 속에 지금의 한국 사회의 모습이 겹쳐진다. 촛불 위에 세워졌으며 촛불대통령이라고 명명하고 이상은 높지만 야당과 극우 보수세력에서 무기력한 현 대통령의 모습, 온갖 정치 이슈들을 자신의 권력 수단으로 이용하는 야당의 무자비한 정치 공세, 그들의 모습 속에 힘없이 죽어나가며 고통받는 백성들의 모습...

저자가 그려 놓은 이 소설 속 조선의 모습이 현재의 모습과 데칼코마니처럼 느껴져 씁쓸함을 자아낸다.

처형된 윤지충의 집에서 발견한 <최후의 만찬>그림이 정조에게 전달되며 정조는 이 13명의 인물들에 관한 고민에 빠진다. 그리고 저자는 본격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인물들을 불러들인다.

민속화로 유명한 단원 김홍도, 그리고 역사 속에서 홀연히 사라진 장영실, 조선 최대의 실학자인 정약용과 여령 도향, 박해무와 그 패거리들까지 소설 속에서는 많은 인물들의 이야기가 펼쳐지며 <최후의 만찬>의 연결고리가 하나씩 맞추어진다.

이 소설은 조선 시대, 규율과 한계가 명확하며 그 안에서 자유를 누리라고 강요하는 이 시대의 한계상에 대항한 여러 인물들의 모습이 중점으로 그려진다.

신 앞에 모두 평등하다는 믿음 아래 죽어가면서까지 믿음을 택하며 영생을 택한 천주교인들,

천주를 믿지만 현실에 타협해야 한다며 자신의 믿음을 드러내놓기 두려워했던 정약용,

조선 시대 천민의 신분으로 태어나 뛰어난 지능으로 과학적 업적을 세우지만 추방 되어 홀연히 사라진 장영실..

그리고 평등한 사회를 꿈꾸며 반역을 꿈꾸는 오라비 도몽과 박해무의 패거리들..

이들 모두는 현실 속에서 싸우며 자신의 신념을 지킬 것인지, 아니면 타협할 것인지를 끊임없이 고민한다.

자신이 꿈꾸는 이상과 믿음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이 소설 속에 현재의 우리 모습을 볼 수 있다. 사회는 변하지 않는다며 체념하며 살아가는 사람들, 변화의 희망을 놓지 않으며 개혁을 꿈꾸는 사람들 등을 저자는 심오하게 보여준다. 혼불문학상 심사위원들이 왜 이 작품을 대한민국의 과거,현재, 미래를 보여주는 소설이라고 평을 내렸는지 짐작하게 해 준다.

한국어문학과 교수인 저자의 전공답게 저자는 풍성한 사료를 예로 들며 이 소설을 장식한다. 그래서 다소 읽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역사 속에 맞추어지는 그 고리, 그리고 마지막에 보여지는 최후의 만찬의 모습은 감탄을 자아낸다. 다만 인물을 축소하고 그 인물들의 이야기 폭을 더 넓혀갔다면 더 풍성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은 남는다.

이 아쉬움에도 불구하고 소설은 이 사회에 많은 점을 시사해준다. 조선 시대의 한계와 그 고통이 또 다른 모습으로 변주하여 현재에 반복됨을 보여주며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를 질문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