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리사전 - 내게 위안을 주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소리들
윤혜선 지음 / 마음의숲 / 2019년 7월
평점 :

오래 전, 책에서 한 도시에서 길가에서 들리는 귀뚜라미 소리에도 무감각하던 사람들이 동전 떨어지는 소리에 모두 걸음을 멈추고 소리가 나는 방향을 향해 돌아보았다는 이야기를 읽은 적이 있다.
우리의 관심이 있는 곳에는 조그마한 소리도 들을 수 있지만 무관심한 것에 아무리 큰 소리를 낸다 할지라도 듣지 못한다는 이야기였다.
저자 윤혜선님의 에세이 『소리 사전』은 바로 그 옛 이야기를 떠올리게 하는 책이다.
우리가 흔히 잊고 지냈던 일상의 소리들을 저자는 일상을 조심히 관찰하며 일상이 내는 소리에 의미를 부여하며 소리사전을 만들어나간다.
일상의 소리라고 말한 만큼 이 책에 수록된 소리들은 모두 우리가 흔히 들을 수 있는 소리들이다.
까치의 웃음소리를 표현한 "땍땍땍"
종이와 연필이 만날 때 나는 소리를 표현한 "사락, 사락"
첫 아이의 걸음마 소리 "콩콩콩"
찻물 따르는 소리 "쪼르르르"
저자의 일상과 만나는 여러 소리들을 듣노라면 과연 내 주변에서 나는 소리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떠올리게 된다. 너무 당연하게 느껴져서 의식하지 못했던 내 아이의 웃음소리, 설거지소리, 컴퓨터 자판기 소리 , 세탁기 소리 등등.. 내 주변은 모든 사람들과 사물들이 소리를 내고 있는데 이 소리의 존재들을 깨닫지 못하고 살아왔음을 저자는 이 소리들을 통하여 알려준다.
우리가 바쁜 일상에 쫓겨 우리 주변의 소리들을 무시하고 살아왔음을...
옛날,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고 하며 까치의 울음소리에 이제 더 이상 반기지 않고,
온갖 스팸 전화 및 보이스피싱, 대출 권유 등 자신의 이기적 욕심을 채우기 위해 내는 소음에 무방비로 노출된 우리 시대의 모습을 저자는 이야기해준다.

소리를 듣는다는 건 바로 관심을 가지고 귀기울인다는 의미이다.
도시 사람들이 작은 동전 하나에도 그 소리를 들었던 것처럼 우리의 관심이 있을 때 소리가 들을 수 있다. 내 아이의 먹는 소리도, 책장 넘기는 소리도, 모두 우리의 하루를 채워 가는 일상에 조금씩 멈춰 서서 소리를 기울일 때 우리는 비로소 들을 수 있다.
시간에 쫓겨 우리가 만들어낸 우리 몸이 내는 이상 신호도 듣지 못하지만 우리 몸에 관심을 기울일 때 우리의 심장 소리, 관절 소리 등의 아픔을 빨리 알 수 있다.
내가 만들어서 내 입안에서 나는 소리,
내가 만들어서 내 관절에서 나는 소리,
내가 만들어서 내 심장이 내는 소리, 내가 만들어서 내보내는 목소리들,
내가 내뱉고 들이마시는 숨이 내는 소리들,
내 온몸의 세포와 달팽이관이 직접적으로 듣는 그 소리들.
다른 이가 자기 소리만 크게 듣는다고, 내 이야기에는 관심 없다고 서운해하지 말자.
다만, 가끔 내게 귀기울여주는 이가 있다면 감사하자. 귀하게 여기자.
우리가 잊고 지냈던 일상들이 바로 우리의 하루를 만들어가고 우리를 위로해 준다.
너무 당연하게 여겨서 느끼지 못했던 소리들.. 그 소리들이 저자의 관찰 아래 소리사전이 만들어져 일상 소리를 깨우쳐준다. 아이를 씻기면서 이 소리는 어떤 소리일까 귀기울이게 된다. 내 일상이 자신에게도 귀 기울여달라고 말하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