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3 : 세종·문종·단종 - 백성을 사랑한 사대부의 임금 조선왕조실록 3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왕조 500년의 역사를 그린 이덕일 사학자님의 《조선왕조실록 3》편에서는 세종, 문종, 단종 이 조선의 세 왕조에 대한 역사를 다룬다.





첫 장의 시작은 태종이 세종에게 왕위를 양위하고 세종이 즉위하는 부분에서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아직 상왕이 살아계시고 세자였던 장자 양녕대군이 물러나고 임금으로 즉위한 세종이 즉위 초기에 얼마나 아슬아슬한 입장에 처해 있는지를 그려나간다.

자신에게 왕위를 양위했지만 군사권은 여전히 상왕 태종의 지휘하에 있으며 자신보다 상왕을 더 두려워하는 신하들, 장자가 아닌 위치에서 왕위를 물려 받음으로 겪을 수 밖에 없는 세종의 좁은 입지 등은 왕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뜻대로 뜻을 펼쳐나가기 힘들었음을 알 수 있다.



저자는 우리에게 세종의 역사에 대해 많은 의문점을 제시한다.

과연 우리가 알고 있는대로 세종은 백성을 사랑하며 백성이 살기 좋은 국가를 만들었는가?

읽지 못하고 쓰지 못하는 백성들을 위해 훈민정음을 창조한 세종대왕의 통치 동안에 온 백성이 그를 찬양했는가?

저자는 이 질문에 한 편으로는 맞고 또 다른 한 편으로는 틀리다고 말한다.



세종의 통치의 기틀은 사대부를 위한 나라였다.

사대부가 우선시 되며 사대부의 권위를 보호해 주는 철저한 신분제의 나라.

아무리 관리들이 불의를 일으켜도 아랫 사람인 하인이나 일반 백성이 그들을 고발하거나 탄원할 수 없도록 법령으로 정함으로 밑에서부터의 울부짖음이 전혀 들리지 않았음을 지적한다.

비록 암행어사라는 감찰기관을 두었지만 불의로 인한 많은 원성을 다 확인하기엔 역부족이었던 시스템이였음을 말하며 백성들이 세종을 두고 원망하였다.


또한 태종은 양인 아버지와 천민, 노비 어머니 사이에 자식이 태어났을 경우 아버지의 신분을 따르도록 했지만 세종은 노비인 어머니의 신분을 따라 자녀를 노비로 만들어버리는 폐단을 행함으로 일어난 역효과를 보며 과연 내가 이제까지 천하태평의 세종의 시대로만 알고 있던 내게 매우 큰 충격이었다.



비록 사대부에 기초한 통치였고 그로 인해 많은 폐단이 있었지만 세종이 이룬 업적은 매우 대단하다.

많은 신하들의 반대에도 훈민정음을 창조하고 중국의 약재에 의존하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조선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를 연구해 펴낸 『향약집성방」은 세종의 애민정신이 아니고서는 결코 설명할 수 없다.

무인보다는 문인에 훨씬 가깝지만 국방의 중요성을 알고 있기에 압록강, 두만강 북쪽을 지킴으로 국방을 다스렸다.



세종의 시대는 즉 모순의 시대라고 말한다.

"임금은 임금답게, 사대부는 사대부답게, 백성은 백성답게"라는 토대 위에

사대부를 위한 나라를 만들어 백성의 원성이 자자했던 시대

반면 백성을 위해 문자를 만들고 향약집성방 등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고민하였던 세종.

이 모순은 세종의 고위 신분의 한계도 한계지만 세종의 즉위 초기에 불안했던 그의 입지에서 신하들의 뜻을 거역하기가 쉽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저자는 세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문종을 "준비 된 임금"이라고 정의한다.

오랜 왕세자 신분으로 문무에 모두 뛰어나고 세종 아래 다양한 국사를 경험한 준비 된 임금이라고 말한다.

무기에도 능해 화차를 만들고 군사력 확충에 전력을 기울였던 문종은 안타깝게도 종기로 인해 끝내 서른아홉의 나이에 세상을 떠난다.

문종의 종기를 처방대로 하지 않고 임의로 치료한 어의 전순의의 이상한 행동,

수양대군의 지시하에 움직였던 도승지 강맹경의 행동을 제기하며 문종의 죽음에 의문점을 남긴다.



마지막, 비운의 왕 단종은 아버지 문종의 이른 죽음으로 너무 어린 나이인 12세에 왕에 책봉된다.

저자는 만약 단종의 어머니가 있어 수렴청정이라도 할 수 있었더라면 수양대군이 이 난을 일으킬 수 있었을까라는 의문을 한다. 어느 보호막도 없는 연약한 단종은 수양대군에게 너무 쉬운 먹이거리였다.

삼촌에게 죽임을 당한 어린 단종. 그 불우했던 역사는 권력을 향한 수양대군의 야망이 얼마나 크고 오랫동안 준비되어 왔는지를 보여준다.




이덕일 사학자의 《조선왕조실록》은 이 3편에서도 내가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역사에 신선한 의문점을 남긴다.

세종의 공적만이 치하되고 있는 이 때 백성들의 원망 또한 컸음을 말해주고

문종의 죽음 뒤에 숨겨져 있는 미스테리함을 하나씩 설명해주며 우리로 그 죽음의 행적을 함께 추적하게 만든다.

이제 근간에 출간될 세조로 시작될 조선왕조실록에 어떤 이야기로 우리를 놀라게 할 지 매우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