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익환 평전 - 문익환 탄생 100주년 기념 특별판 문익환 평전
김형수 지음 / 다산책방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익환 탄생 100주년이다. 한국 현대사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신학자 문익환 목사님에 대하여 방송과 출판사에서 문익환 목사의 인생과 작품에 대한 조명을 쉽게 볼 수 있다. 
이 책 <문익환 평전>은 예전 2004년에 출간된 책을 100주년에 맞추어 새롭게 개정 보완된 평전이다. 
 
사실 내가 문익환 목사님에 대하여 아는 내용은 많지 않다. 배우 문성근씨의 아버지이자 목사로서 독재정치에 항거하며 민중들 틈에서 활동한 분이라는 것 그 정도밖에 알지 못한다. 
이 책 <문익환 평전>은 일제시기와 6.25전쟁으로 인한 남북 분단, 그리고 박정희, 전두환의 어두웠던 유신시대 등 격동의 시대를 온 몸으로 살아낸 문익환 목사의 일생을 조명한 만큼 한반도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조명한다. 

 문익환 목사는 1918년 6월 1일 만주 북간도에서 태어났다.  일제시기 북간도에 터를 닦고 그들만의 터를 지은 공동체에 학교가 세워지고 성경을 정식 과목으로 채택해야만 선생직을 받아들이겠다는 조건 하에 세워진 학교의 영향 아래 문익환 목사의 아버지 뿐만 아니라 공동체 전체에 그리스도를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문익환 목사가 자라났고 그의 생애는 기독교적이 될 수 밖에 없었다. 

문익환 목사의 일생의 초반은 찬란하고 눈부시던 학창 시절이 그려진다. 
만주의 명동학교 재학 시절, "서시"로 유명한 윤동주와 독립 운동가 송몽규와 함께 수학하며 꿈꾸고 자유로웠던 시절. 일제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웠던 그 시절 한국사와 애국심을 배우고 동무들과 함께 문학을 논의했던 그 시절은 문익환 목사의 인생에 가장 찬란했던 시절일 것이다. 

 한 마음으로 단결되었던 북간도 공동체는 사회주의 열풍으로 인해 이념의 차이로 분열되기 시작하며 공산당의 잦은 압박으로 인해 그들의 자랑스러운 명동학교가 인민학교로 바뀌고 곧 다른 학교에 강제 편입되어 버린다. 그 때부터 문익환 목사는 공산당에 대한 반항이 시작되었다. 

성정이 부드럽고 여리며 나약했던 문익환의 인생 초반은 그다지 감동적이지 않다. 
인생의 눈부신 시절을 함께 했던 윤동주나 송몽규가 일제 시대에서 글과 독립운동가로 저항의 길을 선택했다면 문익환은 현실 도피라고 할 수 있었다. 학병으로 끌러 갈 위기에서도 저항이나 순응보다는 만주 봉천으로의 도피를 택했고 윤동주의 석연치 않는 죽음에서도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해방의 순간을 맞게 되었지만 한반도의 현실은 지극히 혼란스러웠다. 문익환은 자유로운 신학 공부를 위해 미국 유학을 떠나게 되고 머나 먼 타국에서 6.25 전쟁 소식을 듣게 된다. 가족을 만나기 위해 그는 판문점 통역사로 자원해서 한국에 들어온다. 한반도의 운명이 강대국들의 뜻대로 마음대로 좌지우지 당하며 강제로 분단되어지는 이 서글픈 비극의 역사가 우리 민족의 뜻이 아닌 미국과 소련의 결정만으로 한 순간에 그어져버렸음을 이 책에는 자세히 조명한다. 

신학과 성서번역에만 열중하던 문익환을 깨우게 된 것은 바로 4.19 혁명과 전태열 열사의 죽음이었다. 이승만 독재정치를 보다 못한 학생과 시민이 하나가 되어 이승만을 권좌에서 끌어 내린 이 역사적 혁명에 문익환은 큰 충격을 받는다. 그리고 구원과 교회에서 기득권 세력에 집중하는 기독교를 강하게 비판하고 민중과 함께 하는 교회가 되야 할 것을 주장하며 민중신학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빈약하고 형편없던 노동환경의 개선을 촉구하며 자신을 불에 투신한 전태일 열사의 죽음은 많은 사람들의 가슴에 불을 지폈으며 문익환 목사 또한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를 위로하며 그의 본격적인 운동이 전개된다. 

늦봄. 문익환의 호이다. 늦은 봄처럼 문익환 생애 역시 그의 본격적인 민중 운동은 50이 넘은 해에 시작되었다. 하지만 부드럽고 연약했던 그가 피어나자 활화산 같은 열정과 신념으로 그는 한국의 현대사 속에서 독재에 저항하는 세력들을 인도하며 역사의 한 획을 이어나갔다. 
휴전의 현장을 직접 목격하고 그리운 고향 북간도가 중국에 종속되고 고구려의 기상을 잃어버린 조국의 현실을 마음 아파하며 통일을 위해 방북을 감행하였던 문익환. 그가 가진 생애는 일제시대부터 별세한 1994년까지 한국의 산 역사이자 증인이었다. 

신학자로서 편하고 안락한 생활을 할 수도 있었지만 민중의 편에서 함께 하기를 택한 문익환.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문익환의 생애를 읽는 것보다 한국의 현대사 책을 공부하는 것 같다. 그리고 왜 그가 진정 이 한국의 현대사의 위대한 거장으로 지금까지 남아 있을 수 있는지 아름다운 문어체와 함께 설명해 준다.  
애굽에서 고통받던 이스라엘 민족의 출애굽한 이스라엘, 히브리 민중에 대입하였던 문익환 목사가 쓴 책 <히브리 민중사>와 함께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