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스 여자는 80세에도 사랑을 한다 - 존재감 넘치는 그녀들의 생각과 관계의 방식
노구치 마사코 지음, 장은주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예전부터 궁금했던 질문이 있었다. 프랑스 여인들이 얼마나 특별하기에 프랑스 여자들에 관하여 이야기하는지. 뉴욕의 화려한 여성들도 아니고 도대체 그들의 무엇이 많은 작가들로 하여금 그들에 관해 글을 쓰게 만드는 것일까. <프랑스 여인처럼 먹어라>라는 다큐멘터리도, <프랑스 여자는 늙지 않는다>는 책도 그리고 이제 <프랑스 여자는 80세에도 사랑을 한다>라는 책까지! 과연 그들의 매력은 무엇일까?
<프랑스 여자는 80세에도 사랑을 한다>는 일본인이자 프랑스 예술가와 결혼해 프랑스에서 20년 넘게 살면서 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관찰해 온 노구치 마사코의 에세이다.
프랑스 여자들의 가장 큰 매력이 무엇일까? 저자 노구치 마사코는 자신감을 첫 번째로 꼽는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 또한 나이에 굉장히 민감하다. 텔레비젼 뉴스에서 인터뷰를 할 때에도 인터뷰이의 나이를 기재할 정도이다.
젊음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당당했던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자신을 초라하게 여기고 자신의 나이를 남 앞에서 말하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한다. 특히 여자의 나이는 종종 사람들의 놀이감이 되곤 한다. 30세는 계란 한 판이라고 하거나 노처녀라며 주위의 동정어린 시선을 견뎌야 하고 40세로 들어서서는 꺾인 마흔, 일명 노땅의 취급을 받게 된다. 유명한 연예인들조차 노인들을 위한 배역은 엄마나 할머니역 밖에 없다고 하소연한다. 프랑스는 다르다. 그들은 결코 남에게 나이를 묻지 않는다. 그들도 우리처럼 나이가 들고 주름이 생기지만 세월의 흐름에 따라 자신을 아름답게 가꾸어 갈 줄 안다. 70,80세에도 뭔가 새로운 일을 기대하며 항상 집에 있어도 단정하고 자신을 가꾼다.
결코 나이에 자신을 한정하지 않는다. 살아있는 한 그들에게는 하루 하루가 즐거운 날로 만들 줄 안다.
프랑스는 명품 브랜드로 유명하다. 루이비통, 디올, 샤넬,에르메스 등등. 프랑스 명품샵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등으로 붐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렇다면 프랑스 여자들 또한 명품을 선호할까? 그들은 명품보다 자신의 스타일을 더욱 선호한다. 아무리 비싸고 화려한 명품이다 하더라도 그들에게 어울리지 않는다면 그들은 굳이 비싼 브랜드를 착용할 필요가 없다.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어울리느냐이다.
그렇기에 일반 보세가게에서 사는 걸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그리고 꼭 자신에게 필요한 것만을 사는 실용주의자들이다. 자신에게 맞는 화장, 스타일링을 통해 자신의 매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저자는 프랑스 여인들이 개인주의적인 점이 그들의 매력이라고 말한다. 자신의 행복을 우선시하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그들의 매력의 비법이라고 말한다. 한국이나 일본처럼 남의 이목을 중요시하고 튀는 것을 금기시하는 동양권 문화에서와 달리 프랑스는 각 개인의 매력은 그 자체로 존중해주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내가 온전히 나일 수 있도록 인정해 주는 문화. 그러하기에 그들은 혼자서도 즐길 수 있고 자신을 사랑할 수 있다.
일본의 문화와 프랑스의 문화를 비교하며 그들의 매력을 분석하는 내용이라서인지 공감도 되었고 그들의 철학이 매우 멋져 보였다.
나의 인생인데 왜 내가 남의 눈치를 봐야 하는지도 곰곰히 생각해 보게 되었다. 자기를 사랑하지 않으면 결코 남들로부터 사랑 받을 수 없다. 무엇보다 자기에 대한 사랑이 우선이다.
성경에도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말씀이 있다. 나 자신을 사랑하는 만큼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다는 말씀이다.
프랑스 여인들은 이 진리를 잘 알고 있었고 삶 속에 실천하고 있었다. 항상 자신에 대하여 함부로 하지 않으며 소중히 가꾸는 프랑스 여자들처럼 나도 내 자신을 소중히 다룰 수 있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