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경제학
밀턴 프리드먼 지음, 김병주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9년 11월
구판절판


화폐현상~연구로부터 얻은 몇가지 경헙적 발견을 요약해보자.
1)장기와 단기를 막론하고, 화폐 수량 증가율과 명목소득 증가율 사이에는 정확하지 않지만 일관된 관계가 존재한다.
2)단기에 있어서는 화폐 증가와 명목소득 증가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는 때때로 곤란하다.~오늘의 소득 증가는 오늘의 통화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 않고, 이는 이제까지 화폐에 일어났던 변화에 달려 있다. 오늘 화폐에 일어나는 일은 미래의 소득에 일어나게 될 일에 영향을 미친다.
3)대부분의 주요 서구 국가들에 있어서 화폐증가율의 변화는 약6~9개월 후에 명목소득 증가율의 변화를 일으킨다.
4)명목소득의 반응은 통화 증가보다 진폭이 더 크다.
5)명목소득 증가율 변화는 전형적으로 처음에는 산출량에 나타나고 물가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6)소득효과나 생산효과와 마찬가지로 물가효과는 시간에 걸쳐서 나타난다. 이는 약12~18개월 뒤에 나타나기 때문에 화폐증가율의 변화와 인플레이션율의 변화 사이에 총 지체기간이 평균적으로 2년 정도가 된다.
-69-71쪽

8)3~10년 정도까지 길어질 수도 있는 단기에는 화폐 변화가 주로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수십년에 걸쳐서 화폐증가율은 주로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9)화폐수량의 대폭적 감소를 포함하는 화폐 위기가 심한 불경기의 필요충분조건이라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
11)"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이다"
12)화폐 증가의 변화가 이자율에 미치는 영향은 처음의 방향과 나중의 방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화폐 증가의 가속화는 처음에는 이자율을 인하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 후 이에 따라 지출이 가속되고, 다시 그 다음 인플레이션이 가속됨에 따라 대출수요가 증대되고, 이것은 이자율을 인상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에 더하여 인플레이션의 고도화는 실질이자율과 명목이자율의 차이를 확대한다. 대출자와 차용자 모두 인플레이션을 예상함에 따라, 예상 인플레이션을 상쇄하기 위해 대부자는 높은 명목이자율을 요구하고 차용자도 이를 기꺼이 받아들이려 할 것이다.
-71-74쪽

14)1971년 브레튼우즈체제의 붕괴 이후에는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율은 평행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명목자산에 대한 명목수익의 가변셩은 커지고 명목자산에 대한 실질수익의 가변성은 작아졌다. -74쪽

1931~36년의 중국의 사태 발전을 ~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1)미국의 은가격 인상이 중국에 급격한 화폐수축을 발생시켰다. 2)정부가 은의 금수조치를 취한 후에는 대량의 은이 법적으로는 또는 밀수를 통해 수출되었다.3)동시대 논평자들은 화폐환상 때문이든지,~ 화폐수축이 심각한 경제불황을 수반한 것으로 보왔다.4)화폐수축은 순전히 명목적인 것이든지 실물 변수들의 감소를 수반하는 것이든지 광범위한 불확실성과 불만을 야기시켰다.5)이러한 현상은 중국으로 하여금 은본위제를 이탈하고 불환지폐제도로 이행하게 했다. 6)화폐개혁은 제도개편을 마련했는데, 이는 초인플레이션에 이바지하는 것이었다. -218-219쪽

과도한 화폐발생의 원인은 무엇인가?
~첫째는 정부지출의 급격한 증가, 둘째는 정부의 완전고용 정책, 섯째는 연준의 잘못된 정책의 추진이다. -23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