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준 평전 - 성육신 신앙과 대승 기독교
김경재 지음 / 삼인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전 우주적 사랑의 공동체와 대승 기독교론  

   지성인과 지도자들이 '예'할 때와 '아니오'할 때를 놓치지 않고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지혜와 용기, 결단력, 모험이 더욱 절실히 요청되는 것이다.(P.127)

   소승적 기독교는 구원이란 개인 영혼의 구원이라고 보는 데 반하여, 대승적 기독교는 몸으로서의 전인적 개인이요 개인 구원과 사회 구원은 분리할 수 없다고 본다. 소승적 기독교는 구원을 '역사로부터의 구원'개념으로 이해하지만, 대승적 기독교는 '역사의 구원'을 궁극적으로 추구한다. 소승적 기독교는 종말에 현존한는 우주 대자연이 파국으로 끝날 것이라고 믿지만, 대승적 기독교는 영광스럽게 변화할 것으로 믿는다. 소승적 기독교는 타종교와 한국 전통 문화가 하나님과 관련 없이 이교적인 것이라고 배타하지만, 대승적 기독교는 그것들이 모두 하나님의 경륜과 손 안에서 일어난 것이라고 포용한다. (P.204) 

   그분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접하여 구만 리 창공을 날아오른 자유인이 되고, 하늘 씨앗을 땅 속에 심은 성육신적 영성으로 영글어져, 한국에 그리스도교가 전래된 지 200년 만에 대승적 기독교 시대를 연 선구자라고. (P.229)  

   종교란 쉽게 얻을 수 없는 것이다. 요즘은 종교를 너무 쉽게 갖게 되는 사회가 된 것같다. 하지만, 종교인은 많으나, 종교에 대해서 고민하고 실천한는 종교인들은 그리 많아 보이지 않는다. 특히, 개인의 삶이 영역을 넘어서는 지역과 국가와 세계, 그리고 우주적 문제에 대해서 결단을 회피하는 모습은 엿볼 수 있다.  

   내가 이분을 존경하는 이유는 2가지이다. 내가 본받고 싶은 점도 당연히 2가지이다. 그 하나는 종교의 다원성을 인정함으로써 기독교가 포괄하고 대화할 수 있는 지평을 넓혀 주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역사적 예수 그리스도를 존경하고 흠모하는 신자로써 이 사회를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 귀중한 모범이 되었다는 점이다. 감히 말히 한 민족의 대제사장다운 면모를 보여준 분이라고 생각한다. 기장교인 뿐만 아니라, 민족, 역사, 그리고 세상과의 소통을 원하는 기독교라면 꼭 한번 읽어 바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선지자로서 그 분이 역사속에서 밝힌 횃불은 내 마음 속에 촛불만큼 연약한 하나님에 대한 신앙심에 불을 지피는 나에게 큰 격려와 용기가 되었다. 아무리 종교가 세속화되고, 세상이 각박해져도 한 시대에 자신을 태워 세상을 밝히는 분들이 있기에 세상은 희망스럽다. 그리고 나는 지금 어디에 서있나 자문해 보게 된다.  

   '크리스천'은 김재준의 '영'이고, '한국 민족'은 그의 '혼'이며, '민주인'은 그의 '사회적 몸'이라는 자의식이었다.(P.1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