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자들의 죽음 - 소크라테스에서 붓다까지 EBS CLASS ⓔ
고미숙 지음 / EBS BOOKS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자들은 “죽음”을 자연스런 것으로 관념 

 

고전평론가 고미숙이 쓴 이 책은 꽤 흥미롭다. 서양철학의 시발점이라 일컫는 소크라테스에서 장자, 붓다(석가모니)와 그의 수제자 사리뿟따, 연암 박지원, 다산 정약용, 간디와 아인슈타인에 이르기까지, 이들의 “죽음”에 관한 생각은 무엇이었을까, 

지은이는 죽는 법을 배우라, 그러면 사는 법을 알게 되리라고…. 죽음은 포르노보다 더 ‘센 터부’다 이른바 산 사람 앞에서 죽음을 입에 올리는 것을 금기하는 것이다. 

 

이들에게 ‘죽음’은 새로운 삶으로 혹은 해탈(윤회의 고리에서 완전히 벗어남을 의미)로, 이와는 정반대로 죽음을 해석한 근대 권력은 눈앞에서 ‘죽음’을 치워버린다. 자살에 관한 부정적인 생각, 미디어에서는 ‘죽음’을 극단적인 선택으로 반려동물의 죽음을 ‘무지개다리’로 가족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은밀한 ‘개인 정보’로 삶과 죽음이 하나가 아니라, 죽음에 오만가지 부정적인 색깔을 덧칠하는데….

 

소크라테스에게 철학이란 죽음의 연습

 

죽음의 변론이라는 유명이야기, ‘악법도 법이다.’라는 가짜뉴스는 “다른 사람에게서 해악을 입었다고 해서 그것을 갚아 주려고 해서도 안 된다.”라는 말의 와전이다. 마치 너 자신을 알라는 델포이 신전에 새겨진 구절이 소크라테스가 한 말처럼 전해지듯.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소멸 혹은 옮겨감이라고 생각했다. 죽음에서 새로운 생명이 태어난다는 윤회설, 이 힘든 세상에서 죽음만큼 평온함이 어디 있겠느냐는 것이다. 철학이란 죽음을

 

소크라테스의 생각은 이렇다. 철학자는 영혼만을 탐구하고 영혼만으로 존재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다. 한데 죽음은 영혼을 괴롭히는 몸의 결박에서 해방하는 것으로 온전히 지혜만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니, 이를 기뻐하며 맞이하는 게 마땅하지 않은가, 그가 최후에 남긴 말, 의사 아스클레피오스에게 진 빚, 수탉 한 마리를 갚아 달라고.

 

장자는 아내가 죽자 장구를 치고 즐거워한다

 

장자에게 죽음은 삶의 고통에서 해방되는 순간이다. 아내가 죽으면 화장실에 가서 몰래 웃는다는 시쳇말이 있듯, 당대에도 그랬을까, 장자는 생각은 전혀 다르다. 아내의 죽음은 슬프다. 하지만 인간, 그리고 삶이란 본디 생명도 형체도 기(氣)도 없었던 것이 저절로 혼합되어 기로, 형제로, 생명으로 됐다가 다시 본래대로 돌아간 거야. 그래 아내는 생의 고단한 여행을 마치고 천지라는 큰 집에서 푹 쉬게 되니 이 어찌 기뻐지 않을 것인가, 

 

생로병사는 생명의 순환이다. 봄에서 겨울까지의 변화처럼, 생리와 심리, 물리의 화합이다. 당연한 질서를 왜 애써 외면하려는 것인지라 생각하면 죽음을 슬퍼할 이유가 없다. “자연은 나에게 몸을 주어 태어나게 하고 삶을 주어 애쓰며 살게 하고 늙음을 주어 편안하게 하고, 죽음을 주어 쉬게 합니다”라는 말로, 자, 이 대목 역시, 하루 새벽에 깨어나 아침에 활동을 시작하고 오후에 잠시 쉬고 저녁에 잠들다. 여기서 오후의 일정이 사람마다 제각각이다. 힘들어 몸져눕거나, 약을 먹거나, 수술을 받거나, 여전히 활기차게 활동하거나, 그러나 잠(죽음)시간은 꼭 찾아오니, 그래서 하루를 1년처럼 살자는 말도 나오는 게 아닌가, 현자들의 생각은 접근법과 주장점은 조금씩 달라도 결론은 하나다. 죽음을 슬퍼할 이유가 없다고...

 

간디와 아인슈타인과 연암 박지원, 다산 정약용

 

이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태도는 그저 그럼, 평범함이었다. 불안에 떨지도, 삶에 집착하려는 흔적도 없다. 그저 돌아오는 저녁을 맞이하듯, 그렇게.

 

간디, 사티하그라하는 “비폭력투쟁” 혹은 “불복종”으로 불리나 “진실을 찾는 길”이라 해석한 [박홍규 <간디 평전>(들녘, 2024)에서는 그의 죽음에 관한 태도를 엿 볼 수 있다. 그의 일생은 순탄한 삶이 아니었다. 영국이 벌인 전쟁에 군인으로 참전했고, 인도에서는 그저 그런 삼류변호사로, 남아프리카에서 그는 인도인의 차별 현장을 목격, 인권을 위한 투쟁, 그는 늘 죽음과 함께하는 나날이었다. 1948년 총격에 쓰러졌을 때, 비로소 평온함을 찾았다. 나는 우아하게 떠나겠다는 아인슈타인, 죽음은 곳곳에 있다는 연암 박지원, 역사는 알리라는 다산 정약용 

 

삶과 죽음은 동전의 양면이다. 지은이는 인생의 또 다른 면을 현대인은 애써 외면하려 한다. 이 가치에 대한 해석은 탁월하다. 자주 등장하는 동의보감, 역시 조미료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가 못내 하지 못한 이야기는 현대 사회의 물신과 돈으로 상징되는 것들에 관한 것, 의료과학 기술발달이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차이만큼이나 죽음에 이르는 과정에서도 불평등하다. 이런 맥락에서 나온 의료조력사망(MAiD), 심폐소생술거부(DNR)역시, “죽음” 평범한 일상이라 생각할 만큼 간격을 좁히고 있다. 존엄하게, 품위 있게, 우아하게 죽음의 맞이할 방법과 그 선택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우리 시대 “죽음”이란 화두를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시의적절한 담론제안이지 않을까 싶다.

 

<출판사에서 보내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