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혁명 - 인간적인 기술을 위하여
에리히 프롬 지음, 김성훈 옮김 / 문예출판사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리히 프롬의 미래 희망 이야기

 

이 책<희망의 혁명>-인간적인 기술을 위하여- 는 지은이 프롬이 1968년에 쓴 책의 개정판이다. 놀랍게도 지금의 현실을 정확히 짚어내고 있다. 기술개발은 자연히 진행되는 게 아니라 인간의 의식적인 선택과 책임을, 가치관과 규범을 바탕으로 발전 방향을 지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신프로이트학파의 정신분석학자이자 사회심리학자다. 프랑크프루트학파에 프로이트 이론을 도입하여 사회경제적 조건과 이데올로기 사이에 사회적 성격이라는 개념을 설정하고 이 3자의 역학에 따라 사회나 문화 변동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기했다.

 

내가 접한 그의 책은 <자유로부터의 도피>(1941)였고 당시에는 실존주의 철학자로 소개됐다. <건전한 사회>(1955) <인간의 마음>(1964) <소유냐, 존재냐>과 등, 종교, 인간 본성, 윤리학까지, 그리고, 제2성의 저자 시몬느 드 보부아르와 계약결혼으로 결혼이란 어떤 것인가에 관한 것까지(보부아르와 결혼하게 된 에피소드 또한 흥미롭다)

 

 

 

이 책은 미국 사회 문제를 심리학에서 사회학으로 그리고 다시 정치학으로 융합해낸 것이다. 그리고 미국인의 인간화를 위해서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나온 매카시를 지원하기 위해서 다듬은 것인데, 그는 무엇보다도 생명에 대한 사랑, 즉 생명애를 호소할 목적으로 썼다고 밝히고 있다. 구성은 7장이며, 교차로, 희망,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고, 어디를 향하고 있나?, 인간이 된다는 것의 의미는, 기술사회의 인간화를 위한 단계, 우리가 할 수 있을까?, 그리고 해설이 실려있다.

 

교차로에 선 인간들

 

인간의 생산 수단과 생활양식이 근본적 변화의 갈림길에 섰다는 뜻이다. 교차하는 지점이니, 60년대 말, 미국도 일본도 급속한 고도성장기를 구가하던 시대, 새로운 노동방식, 일자리와 자본 분배에서 불평등의 문제를 낳고, 인간의 역량과 능력을 대체할 기술사회로 진입, 인간중심의 가치관 충돌문제를 다루면서 기술과 공존을 모색해야 한다고.

 

희망은 무엇인가?, 산산이 부서진 희망

 

희망이 현실적인 한계(특정한 정치적, 사회적, 인간적 문제)에 직면하여 무력해진 상황은 인간을 고통 속으로 내몬다. 이런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 프롬은 현실적으로 타당한 기준으로 재평가하고,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 통해 현실 문제에 대한 더 나은 이해와 대처 능력을 얻게 되며, 새로운 희망을 찾을 수 있다고,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고,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현대 사회는 자유와 책임, 창의성과 혁신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개인주의와 사회적 분열 등을 문제를 안고 있으며, 프롬은 우리가 문제의식을 느끼고 답을 찾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한다. 3차 산업혁명을 넘어 4차 산업혁명 속으로 AI 시대, 기술발전과 디지털화가 중심이 되는 변화로 인간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인간의 지위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인간은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조직하며, 기술은 인간의 업무를 보조하고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기술을 인간화한다는 것의 의미는 인간다움을 실천하고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배려하며 도덕적으로 선택하고, 그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기술 역시 얼마나 또 고도로 발전한다고 하더라도 말이다. 기술에 먹혀버리면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지금 이 시대에서도 여전히 요구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그냥 자연스럽게 된다는 말은 아니다. 인간적인 기술사회, 기술발전은 우리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반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도덕적 문제가 제기된다. 기술발전이 불러온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 등이 그것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인간성”을 지켜내는 작은 희망의 실현

 

기술이 얼마나 발전하든, 영화 “터미네이터”처럼 기계 세계의 자기방어와 자기 재생산 등으로 인간의 편의를 위한다는 목적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예기치 못했던 결과, 즉 인간을 적으로 돌린 디스토피아적 상상 역시 인간성을 지켜내야 한다는 믿음 때문이지 않을까, 미래의 사회에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프롬은 20년 앞을 내다보며(적어도 90년대 말.) 예측하는 기술사회 즉, AI의 등장과 급속하게 변화할 사회시스템 속에서 어떻게 인간성을 유지할 수 있는가?

 

삶은 변덕스럽고 예측 불가능해서 그 삶을 살아내는 단 한 가지 방법은 가능성이 있는 한 그 삶과 생명을 구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불변의 원칙을 굳건하게 지켜내는 것이다. 이것이 희망의 혁명일까, 프롬은 이제는 무력혁명, 쿠데타 등으로 세상을 뒤집어엎는다는 건 실현 불가능의 희망으로 본다(245쪽 이하). 적어도 미국에서는 말이다. 이 대목 또한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출판사에서 보내 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