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들 - Noodl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크리스마스용 선물이었다. 의도하지 않은 선택이었지만 또 이스라엘 영화였고, '밴드비지트'와 마찬가지로 다른언어를 사용하는 사람과의 소통불가능성을 극복하는 것이 영화의 골격이다. 게다가 상처와 갈등, 치유에 이르는 이야기가 심하게 공감간다 했더니, 역시나 여성감독이었다.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기술이 제법 세련됐다 했는데, 의외로 감독의 전공은 다큐멘터리다.  

 강제추방등으로 이주노동자 문제가 이슈화된 2000년대 초의 사회적 분위기와, 중국을 여행하면서 느꼈던 강렬한 소외감이 영화의 계기가 되었단다. 남편과 두번이나 사별을 하고 새로운 인연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주인공도 실제 지인이란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꿋꿋히 히브리어를 사용하고, 바오치 첸은 당당히 중국어를 사용한다. 중간에 등장하는 여행작가가 실질적인 통역을 도와주기는 했지만, 그들은 각자의 언어로 사용하되, 마음을 열고 대화한다. 누들을 잘 먹는 다는 이유로 누들로 불리는 아이는 삐걱거리는 자매사이를 회복하는데 일조하고, 캐리어에 실린 아이는 언니의 재치로 보안검색대를 무사히 통과한다.

 '믿거나 말거나 찬드라의 경우'가 생각났다. 어설픈 한국어를 구사하는 네팔노동자가 행려병자로 오해를 받고 6년 4개월동안 정신병원에 수감된 이야기. 몇몇 주요 언어가 아닌 다음에야 소수언어 대부분은 외계어로 통칭된다. 누들이 중국인이었기 때문에, 누들의 엄마가 순발력을 발휘해 흔적을 남겨놓은 덕분에, 다행히도 해피엔딩이다. 그런데도 나는 자꾸만 돌아갈 땅을 잃고, 혼자서 소통장애에 신음할 누들이 보인다. 영화는 그렇게 힘줘서 소통과 치유의 가능성을 말하고 있었는데도 말이다.

 다시 선의를 가지고 이야기하자. 'Noodle'의 어원은 라틴어 'Nodus', 매듭에서 왔다고 한다. 얼키고 설켜있는 누들이 흡사 꼬일대로 꼬여서 날카로운 우리의 관계를 닮았다면, 그 매듭을 푸는 열쇠는 뭘까. 혹자는 성급하게 끊어 먹으려던 미라의 가족에게 젓가락을 사용해 훌훌 마시는 방법을 알려주는 장면을 통해 메타포적으로 드러냈다고 했다. 두개의 젓가락을 조화롭게 움직이면서 음식물을 들어올리는 과정이 관계의 미학을 담고 있다는 거다.

 일면 타당성 있는 분석이다. 하지만, 내게는 관계 역시 '의지'와 '배려'의 문제라고 생각된다. 포크를 사용하든, 젓가락을 사용하든, 그들이 함께 누들을 먹을 수 있다는 사실. 표정과 눈짓과 몸짓맘으로 얼마든지 아픈 마음을 전할 수 있다는 사실. 소통 가능의 실마리는 역지사지의 자세가 아니겠는가 말인가. 언제나, 어디서나.

 ---------------------------------------------------------------------------------

 물론, 홀로코스트 산업이라는 썩 상관있어 보이진 않는다만.

 중국말도 모르면서, 중국여행을 한다는건, 소외를 너무 작정한거 아니냐구. 때문에 별은 네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