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유죽음 - 살아가면서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것에 대하여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7월
평점 :
"자살에 대한 사유와 통찰 "
장 아메리의 <자유 죽음>을 읽고

"자살은 죽음이 아닌 죽음을 선택할 자유인가 "
-장 아메리가 묻는 자유죽음의 의미-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죽음을 향해 가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 죽는 존재이고 이런 죽음은 자연발생적이며 피할 수 없다. 그런데 인간의 죽음의 형태는 다양하다. 가장 자연스러운 죽음의 형태인 노화로 인한 죽음, 질병으로 인한 죽음, 각종 사고로 인한 죽음 등 우리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죽음을 맞게 된다. 그런데 여기에 '자살'도 포함할 수 있을까. 외부 상황에 의한 죽음이 아닌 자신의 자유 의지에 의한 선택에 따른 죽음 말이다. 스스로 자신의 삶을 중단시키는 행위를 우리는 '자살(自殺, 영어: suicide)이라고 부른다. 스스로 자신을 죽인다는 뜻인 자살이라는 단어에는 부정적 함의가 있어서 이 책 『자유죽음』의 저자인 장 아메리는 니체를 인용하여 자살을 '자유죽음'이라고 명명한다.
"죽음이란 경멸받아 마땅한 조건 아래서 벌어진 경우에만 자유롭지 못한 죽음이다. 아직 때가 무르익지 않았음에도 찾아온 죽음, 이는 겁쟁이의 죽음이다. 인생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택한 죽음은 다르다. 아무런 사고 없이 똑똑한 의식을 가지고 택한 죽음, 이것은 자유죽음이다."
p.61-62
이 책 『자유죽음』의 저자 장 아메리는 자살을 '자유죽음'으로 대체해서 사용하겠다고 말하며 논리적 질문과 철학적 사유를 통해 이 '자유죽음'의 의미를 설명해준다. 자유죽음이란 무엇인가? 자살을 하기 위해 뛰어내리기 직전 자살 기도자는 어떤 상황에 처하는가? 자살은 자연죽음과 어떻게 다른가?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자유가 있는가? 죽음에 있어서도 인간의 존엄은 지켜져야 하는가? 등 저자는 끊임없이 우리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대한 해답을 치열한 사유를 통해 찾고 있다.
우리 사회 속에서 자살 행위는 비난의 대상이 되고 금기시되고 있다. 자살 위기에 있는 사람은 결손 가정에서 자란 사람이거나, 사회부적응자,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 등 뭔가 문제가 잇는 사람을 지칭하고 그들은 사회적으로 비난을 받고 부적응자, 낙오자, 실패자 라는 낙인이 찍혀왔다. 여전히 지금까지 '자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하고 자살은 사회적으로 금기시되어 왔는데, 정말 자살은 비난받아야 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 이 책의 저자 장 아메리는 자살 즉 자유죽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사유를 보여준다.
죽음이란 무엇일까. 우리가 알고 있는 죽음은 자연적인 죽음일 경우가 많다. 이 죽음은 자연을 통해 일어나는 죽음 즉, 시간, 공간적인 인과관계에 따라 누구나 알고 있는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죽음을 말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자연적으로 죽음을 맞이하는가? 그렇지 않다. 인간은 다양한 이유로 죽게 된다. 죽음이라는 결과는 같지만, 이유는 각각 다 다르다. 그러면 어떤 형태의 죽음은 옳고, 어떤 죽음은 옳지 못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죽음에도 착한 죽음, 나쁜 죽음이 있을 수 있을까. 또한 자신의 인생과 마찬가지로 죽음 또한 선택하고 스스로 결정할 수는 없을까? 그렇게 죽음의 선택과 결정은 잘못된 것일까?
"죽음은 우리와 전혀 상관없는 것이다. 우리가 존재하는 한, 죽음은 없으며, 죽음이 들어서자마자 우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p. 49
이에 대해 저자 장 아메리는 자유죽음에 '에세크'(echec)라는 개념을 가지고 온다. 에세크는 '실패한다, 좌절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자살기도자가 자살을 하게 되는 상황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인간은 '에세크'한 상황을 참아낼 수 없다. '에세크'로 추락하고 나면 인간은 죽음을 자신에게도 끌어당긴다. 이런 의미로 '자살은 자유와 존엄성 그리고 행복 추구권을 확실하게 증명하는 행위'라는 점이다.
인간은 누구에게 속하는 존재인가? 사회가, 종교가 자살을 금기시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인간은 주님에게 속한 존재인가? 인간은 사회에 속한 존재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저자는 'No'라고 말한다. 인간은 사회에게도, 주님에게도 속한 존재가 아닌, 바로 나 자신에게 속한 존재인 것이다. 인간은 오직 자기 자신만이 책일질 수 있는 존재이다. 그래서 자유죽음은 살아야만 하는 편견으로부터 자유롭다. 왜냐하면 그런 사회적 편견, 종교적 판단이 아닌 오직 나 자신의 결단으로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삶과 죽음, 자살에 대한 우리의 생각은 우리의 판단에 따른 것이 아닌 사회적인 편견과 선입견에서 비롯된 것이다. 심리학에서 자살의 원인을 '나르시시시트의 위기'라는 관점에서 찾고 있지만, 그것은 잘못된 이해이다. 우리는 자살하는 사람을 보고 '죽을 용기를 가지고 살아야 해' 라고 말하는데 자살자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대한 몰이해적인 행동이 아닌가. 그런 몰이해와 행동이 우리로 하여금 존엄성을 잃어버린 채 살아야 하도록 강요해온 것은 아닐까.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된 채 계속 사는 것만이 정말 옳은 것일까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개인의 고유한 내면, 좀체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 그 내면에서 우리는 자살자와 만나야 하는 게 아닐까. (p.186)
저자에 따르면 자유죽음이란 우리가 도달할 수 있는 가장 극단적이며 최후에 누릴 특권으로서의 자유이다. 그러나 존재와 실존적 측면에서 '자유죽음'은 무의미하다. 우리가 존재와 실존함의 무게로부터 해방된 다음에는 뒤따르는 자유를 체험할 수 없다.
존재와 실존함의 무게로부터 해방된 다음에 뒤따르는 자유는 체험될 수 없다. 결국 자유죽음이라는 행위는 무의미하다. 자살이라는 행위 자체가 문제인 것은 아니다.
자유죽음은 순전하고 지극한 부정이다. 여기에 어떤 긍정적인 것이라고는 전혀 없다. 이 부정 앞에서는 변증법도 아무 소용이 없다. 아무리 발달한 논리도 이 부정 앞에서는 할 말을 잃는다. 자유죽음은 실제로 '무의미'하다.
-p. 229-
자살자는 인생은 살 만한 것이라고 최면을 거는 거짓말에 속아 살아온 사람일지도 모른다. 아마 자살자만큼 자기 자신의 근원적인 진정성을 온전히 살아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제 우리는 그들을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지켜보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하겠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하고 원하는 것은 자유로운 선택으로 우리는 떠나간 사람 앞에 차분하고 침착한 태도를 보이는 일일 것이다.
'삶이 탄생의 순간부터 죽어감이었던 것처럼 죽기로 각오한 당당함은 삶의 길을 열어준다.
-장 아메리-
이 책은 50년 간 문제작으로 꼽혔고 논의가 끊이지 않았다. 마치 자살에 대한 옹호로 오인되어 많은 사회적 비난을 받았다고 한다. 50년이 지난 지금, 자살에 대해 보는 시각도 달라졌다. 그리고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와 인간의 존엄성이 중시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인 변화 속에서 이 책 『자유죽음』을 읽으면서 자살에 대한 새로운 사유와 통찰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정말 추천사를 쓰신 유진목 시인의 말처럼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읽고 다시 첫 페이지로 돌아가서 읽어보면서 장 아메리 작가의 자유죽음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기회를 가져보기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