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만 볼 수 있다면 - 헬렌 켈러 자서전
헬렌 켈러 지음, 이창식.박에스더 옮김 / 산해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헬렌은 들을 수도 볼 수도 없었다고 당연히 처음에는 말도 할 수 없었다.
그녀는 완전한 어둠과 완전한 침묵 속에서 살아야 했다.

잠에서 깨었다. 아직 밤이다.
다시 잠들었다. 아침이 올 때까지.
하지만 얼마나 시간이 흘렸을까 다시 눈을 떴지만 여전히 밤이다. 그리고 그 때부터 내 삶에 아침이란 없었다.
아무리 소리쳐도 아무런 대답이 없다.
내 주위를 오고가는 그들이 있지만 누구도 나의 말에 대답하지 않는다.
경계없는 끝없는 어둠과 침묵만으로 이루어진 세상에 홀로 남겨진 것이다.
숨이 막힌다.

만약 내가 이런 상황에 놓인다면 아마도 스스로 어둠과 침묵을 끝내고 싶을지 모르겠다. 
가만히 눈을 감고 귀를 막아 보았다. 단 몇 분도 견디지 못했다.
세상의 색깔과 소리들로 나는 이미 중독되었다.
그것들 없이는 단 몇 분도 견딜수가 없다.

헬렌에게는 육적인 눈과 귀는 없었지만 마음의 눈과 귀를 가지고 있었다.
물론 그것은 자연스레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것은 아니다.
주위 사람들의 사랑과 헌신이 그녀의 마음 속에서 눈과 귀가 된 것이다. 

"얼마 전, 친한 친구를 만났는데 그 친구는 마침 숲속을 오랫동안 산책하고 돌아 온 참이었습니다. 나는 무엇을 보았느냐고 물었습니다. "별거 없어." (중략) 나는 이미 오래 전부터 눈이 멀쩡한 사람들도 실제로는 보는 게 별로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답니다.
어떻게 한 시간 동안이나 숲속을 거닐면서도 눈에 띄는 것을 하나도 보지 못할 수가 있을까요? 나는 앞을 볼 수 없기에 다만 촉감만으로 흥미로운 일들을 수백 가지나 찾아낼 수 있는데 말입니다."(본문 중)

여러 책을 읽다보면 내가 보지 못하는 많은 것들을 보고 듣고 느끼는 작가들을 자주 만나게 된다.
부럽다. 질투가 난다. 남성작가면 친구가 되어보고 싶고 여성작가면 사귀어보고 싶다.
그들의 삶에서 묻어나는 체취들을 같이 느껴보고 싶다.

<책은 도끼다>의 저자 박웅현씨는 많이 볼 수 있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하고 책읽기가 그 훈련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단순히 많은 책읽기나 좋은 구절들을 정리하고 암기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글 속의 울림을 들을 수 있어야 하고 울림의 훈련이 내 눈, 내 귀, 내 손가락 끝의 떨림이 되어야 한다.

최근 동양적인 시각 즉 세상과 자연과 함께 하는 관계론적인 시각을 찾고자 하는 노력들이 많이 있다.
열성적인 서구따라쟁이가 된 우리들은 언제부터인가 주위에 늘 함께 하고 있는 것들을 잊어버렸다.
느림은 삶을 더 풍성히 한다. 서구를 따라 달려만 갈 것이 아니라 이제 조금 천천히 함께 가는 것도 좋겠다.

"그런데도 볼 수 있는 눈을 가진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을 거의 보지 못하더군요. 세상을 가득 채운 색채와 율동의 파노라마를 그저 당연한 것으로 여기면서 자신이 가진 것에 감사할 줄 모르고 갖지 못한 것만 갈망하는 그런 존재가 아마 인간일 겁니다. 이 빛의 세계에서 '시각'이란 선물이 삶을 풍성하게 하는 수단이 아닌, 단지 편리한 도구로만 사용되고 있다는 건 너무나 유감스러운 일입니다."(본문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