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인간인가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의 기록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프리모 레비'의 체험을 담고 있다.
실제 저자의 수용기간은 1년 조금 더되는 것이었지만 그는 거기서 인간과 동물의 경계선에서 쉼없는 줄타기를 하게 된다.

세상과의 격리, 인간과의 격리, 인간이기를 거부당한 그들, 그들은 인간이기 위해 자신들을 격리한 그들에게 동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바로 눈앞 배고픔과 절망감은 너무나 구체적이었고 나머지 생각들은 너무나 비현실적이었다. 나머지 것들을 위한 생각의 여백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아우슈비츠의 이야기는 결코 먼나라 옛이야기가 아니다. 이것은 인간들의 이야기고, 바로 우리들의 이야기이다.
비록 이미지화된 아우슈비츠의 참상을 목격하고 피해자들에 대한 무한한 연민을 느끼고 가해자들에 대한 분노를 폭발시킨다고 할지라도 결코 우리는 그것에서 구별되어질 수 없다. 

한나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는 유태인 학살의 주범 중 한명이 아이히만을 조명하면서 '악의 평범성', 즉 지극히 평범한 사람 속에 내재한 '악'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루시퍼 이펙트>라는 책으로도 출간된 '스텐퍼드 교도소 실험'에서도 평범한 대학생들이 가학적인 교도관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통해 선과 악, 그리고 인간의 본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우리네 인간들의 역사 속에서 아우슈비츠는 결코 특별한 일이 아니었다는 울림을 들을 수 있다.
우리네 삶 주변에 그리고 우리 맘 깊은 곳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인간삶의 어두운 면인 것이다.

아우슈비츠의 인간과 동물의 줄타기는 가해자에게서도 피해자에게서도 모두 나타난다.
인간으로서의 이성의 범위를 넘어서 가해자도, 결국 고통에 굴복해 인간의 이성을 무너뜨린 피해자도 모두 줄에서 떨어진 것이다. 우리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현대사회 속에서 눈앞에 있는 내가 가야할 줄을 바라보서면서 레비의 말을 생각해 본다.
"수용소는 우리를 동물로 격하시키는 거대한 장치이기 때문에, 바로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동물이 되어서는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