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 승효상의 건축여행
승효상 지음 / 안그라픽스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은 삶이다.
부엌을 어디에 놓느냐, 거실의 위치나 크기는, 창문의 높이는 등등 건축의 양식에 따라 우리네 삶을 달라진다.

삶이 없는 외관상의 멋은 건축이 아니다.
진정한 건축을 보려면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삶을 보아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은 찾아보기 힘들지만 '달동네'는 좋은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달동네 골목 또는 작은 공터는 아이들의 정겨운 웃음 소리로 채워졌다가도 어느 순간에 동네 아줌마들의 바쁜 일손에 서두름으로 가득하게 된다. 그런 중에 가까운 곳 어디선가 할아버지들의 진중한 장기판 소리가 울려온다.
그리고 북적이던 골목은 어느 순간엔가 긴 적막만 남기고 비워져 버린다. 침묵은 골목에 또다른 주장이다. 모든 것을 포용할 수 있는 푸근함을 품고 있는.

서양건축은 자연을 지배하려고 한다. 이는 '세상을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기독교를 근간으로 하는 서양사상의 영향으로 보인다.
반면 동양건축은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한다. 건축은 자연과 인간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로서의 역할만 수행한다.

개인적으로 산책을 좋아한다. 혼자하는 산책.
무작정 걷다가 보면 맘 속의 복잡한 것들이 길바닥에 다 떨어져나가 버리고 없다. 머리가 텅 비워진다.
하지만 내 앞에 문득문득 나타나는 의미모를 조형물들은 비워진 내 머리를 다시금 가득 채우곤 한다.

아무리 유명한 작가의 조형물도 우리네는 알지 못한다. 수억의 조형물일지라도 삶의 공간에서는 거추장스러운 짐일 뿐이고 삶으로 채울 수 있는 공간을 지워가는 지우개일 뿐이다. 

가끔 마주치는 들꽃이 길거리 화단을 형형색색 채우고 있는 인공의 꽃들보다 더 아름답다.
인공이 반드시 다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서울의 청계천은 처음에는 나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곳을 걷기 시작하고 자연이 돌아오면서 지금은 좋아졌다. 우리네 삶과 자연이 함께 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다시 달동네로 돌아갈 필요는 없지만 계속해서 회색빛깔의 사각형 건축물로 우리 삶을 채워갈 필요도 없다. 

저자는 서울시 '총괄건축가'로서의 길을 걷고 있다.
그를 통해 서울의 600년 역사나 더욱 살아나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