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롯 - “예수는 정치적 혁명가였다” 20년간의 연구로 복원한 인간 예수를 만나다
레자 아슬란 지음, 민경식 옮김 / 와이즈베리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어쩌다가 한낱 실패한 메시아가, 그것도 수치스럽게 죽은 범죄자가 불과 수년 만에 하늘과 땅의 창조자가 되었다는 말인가?"(본문중)


저자 아슬란은 15세에 기독청소년캠프 참석하였다가 하느님의 음성을 들었다고 말한다.
울창한 수목, 끝없이 펼쳐진 푸른 하늘, 고요함과 여유로움, 게다가 친절한 상담과 격려는 하느님의 음성을 듣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시 가족종교인 이슬람교로 개종을 하였고 종교학 교수로서 기독교를 연구하여 이 책 '젤롯'을 집필하게 된다.


"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마태복음 7장 21절 중)


교회를 출석하면서도 예수를 알지 못하는 이들이 의외로 상당히 많다. 분명 종교인과 신앙인은 구별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실제로 신앙인으로서 예배드리는 '성도'는 극소수일수도 있다.
단순히 가족같은 분위기나 여러 사람들과의 교제 또는 영업적인 목적이나 정치적 야망을 위해서 교회에 출석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스스로는 신앙인이라고 생각하지만 기독교에서 제시하는 구원의 과정인 '거듭남'을 경험하지 못한 경우도 상당히 많다.
찬양 중에 혹은 예배 중에 순간적인 감정의 복받침으로 눈물을 흘린다던지,
삶 속에 소소한 죄에 대한 심한 도덕적 죄책감을 느낀다던지,
등등 진정한 구원의 경험이 아닌 스스로 만들어낸 감정 등에 현혹되어 구원의 기회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자주 이러한 개인적인 감정의 경험들은 교만의 씨앗이 되기도 한다.
참회의 눈물이 교만의 눈물로 변질되는 것이다.


아슬란은 하느님의 음성을 멋진 풍경과 좋은 사람들의 분위기 속에서 들었다.
하지만 하느님이 예수님을 멋진 풍경 속에서 인간세상에 보내신 것이 아니다.
기독교의 본질은 인간이 죄인이라는 것과 죄의 대가는 죽음이며, 그 죄를 스스로는 해결할 수 없어 예수께서 대속하시고 그 대속의 은혜로 인해 믿는 자는 구원받아 천국에 갈 수 있다는 것이다.
'믿는다'는 의미는 '죄의 노예'였던 이전의 나는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혀 죽었고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내가 예수가 부활시 새생명을 받았다는 의미이다. 이것이 '거듭남'이고 구원의 필연적인 과정이다.


아슬란은 종교인이었을지는 몰라도 신앙인은 아니었음에 틀림없다.
좀더 기독교를 허구라고 주장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참된 신앙인이었던 것처럼 주장하는 것이 필요했을 것이다.


아슬란은 기독교의 그리스도 예수가 아닌 나사렛의 인간 예수가 더욱 뛰어난 매력적인 사람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의 예수에 대한 표현은 그렇지 않다.


"복음서에는 예수의 선포를 들은 사람들이 그 가르침에 놀랐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그들을 놀라게 한 것은 가르침의 내용이 아니라, 그가 가르치는 방식이었다. ~ 예수는 제대로 배우지 못한 촌부였다. 그러니 그는 분명히 시골 사람처럼 촌스럽게 말했을 것이다."(본문 중)


아슬란의 목적은 기독교 자체가 허구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예수는 글도 읽지 못하고 쓰지 못하는 시골뜨기였을 뿐이다.
예수의 이야기들은 모두 날조된 것이다.


책 전반적으로 이스라엘과 로마의 역사적 배경을 일부 가미하였으나 전반적인 주장은 역사적 근거에 바탕을 두고 있지 않다.


역사적 근거가 없으니 날조된 것이다.
예수가 그 언어를 읽고 쓸 줄 알았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어떤 학자들은 ~ 위해 만들어낸 이야기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등등의 주장들이 전반적으로 펼쳐진다.
문제는 이러한 추측 혹은 카더라 류의 내용들이 끝으로 가면서 기정사실처럼 내용이 굳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결말은 예수는 로마에 대한 유대의 해방을 위한 많은 실패한 정치적 혁명가 중 한명이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아슬란이 간과한 것이 있다.
만약 예수가 단지 시골뜨기 혁명가였다면 그를 아는 사도들이 왜 순교하였는가이다.
단지 예수에 대한 신앙을 부인하면 살수 있는 것이었음도 불구하고 왜 예수에 대한 신앙을 지킴으로 순교하였는가하는 것이다.


여기에 대한 이야기가 전혀 없다.


예수를 아는 자들이 차례로 순교하였다는 것을 언급하면서도 왜 예수사상이 그러한 결과를 이끌어 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는 것이다.
순교를 이야기 하면서도 시골뜨기라는 언급을 함께 하고 있다.


시골뜨기를 위해서 순교한다는 것이 말이 되는가?


특히 아슬란은 야고보를 중심으로 한 유대파와 바울을 중심으로한 헬라파의 대립을 강조하면서 예수를 직접 만났던 유대파에게 예수는 그리스도가 아닌 것처럼 주장한다.
천상의 존재로서 그리스도는 바울에 의해 만들어진 존재라고 말한다.


하지만 유대파 사도들도 순교하지 않았는가?
바울은 자신이 만든 신때문에 순교하였는가?


바울의 신앙이 허구라는 이유를 바울이 예수를 만난 적이 없다는 것과 바울이 '십자가'와 '최후의 만찬'이외에 다른 예수 이야기는 하지 않는다는 것을 들고 있다.


아슬란은 이슬람의 '알라'를 직접 육적인 눈으로 만나고 믿고 있는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은 '십자가 구원'과 '성만찬'이다.
바울이 십자가만 자랑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 책이 왜 종교계의 베스트셀러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저자의 목적은 '인간 예수'를 찾아 소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기독교가 싫은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