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그레이트북스 81
한나 아렌트 지음, 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대인을 죽이는 일에 나(아이히만)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 나는 유대인이나 비유대인을 결코 죽인 적이 없다. 이 문제에 대해 말하자면 나는 어떤 인간도 죽인 적이 없다. 나는 유대인이든 비유대인이든 죽이라는 명령을 내린 적이 없다. 하여튼 난 그런 일을 하지 않았다." .... "그 일은 그냥 일어났던 일이다. ... 나는 단 한 번도 그 일을 해야 한 적이 없었다."


예루살렘 법정에서 독일의 유대인 학살에 대해 재판받고 있던 아이히만의 주장이다.


아이히만에게는 어떠한 '특별한' 것도 존재하지 않았다. 그는 지극히 '정상적'이었거나 '평범'했다. 유대인에 대한 광적인 증오나, 열광적인 반유대주의나 세뇌교육도 없었다.


우리의 도덕적 관점에서 보면 아이히만의 이러한 정상적인 모습은 충격적인 일이다. 사실상 인류의 적인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범죄자는 자기가 잘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거나 느끼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드는 상황에서 범죄를 저질렀기 때문이다.


아이히만은 입장에서는 당시 존재하던 나치 법률 체계 하에서는 아무런 잘못도 하지 않았고, 그가 기소당한 내용은 범죄가 아니라 '국가적 공식 행위'이므로 여기에 대해서는 어떤 다른 나라도 재판권을 행사할 수 없으며, 복종을 하는 것이 그의 의무였다. 아이히만은 언제나 법률을 준수하는 시민이었다고 할 것이다.


아이히만은 그의 행위가 수많은 유대인의 죽음이라는 결과를 잉태했지만 그는 결코 사악한 동기에서 행동한 것도, 누구를 죽일 어떠한 의도를 가졌던 것도 아니며, 결코 유대인을 증오하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당시 다르게 행동할 수도 없었다고 말했다.


최종 해결책(유대인 말살)에서 자신이 맡은 역할은 우연적인 것이었으며, 어느 누구라도 자신의 역할을 떠맡았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의 주장의 사실 여부를 떠나서 이 재판은 복수의 권리를 만족시키고자 하는 승전국의 법정에서 이루어졌고 때문에 여러가지 논란을 낳았다.
특히 생각할 볼 것은 '너도 마찬가지'라는 관점이다.
2차대전에서 많은 민간인 유대인이 죽은 것도 사실이지만 연합군의 원폭으로 인해 또다른 수십만명의 민간인들이 죽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전쟁의 승자와 패자가 갈리듯 영웅과 악당도 갈렸다. 이뿐 아니라 베트남전이나 다른 세계각국의 전쟁에서 민간인에 대한 불필요한 잔인함이 자주 발생하였고 우리나라도 가해자로서 자유롭지 못하다.
최근에는 아이히만 재판의 당사자인 이스라엘조차도 팔레스타인 민간인 학살 문제로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유여하를 불문하고 아이히만의 범죄는 마땅히 처벌받아야 한다. 그것만은 변함이 없다.


혹자는 삶이 전쟁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 전쟁터 어디엔가에 또다른 유대인들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단지 법제도안에서 살고 있는 것이지만 누군가에게 잔인한 굴레를 씌고 있을지 모른다.
비밀이 아닌 비밀이 되어버린 상위 1%의 그들은 각종 사회제도와 법으로써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하고 대다수의 일반대중은 아이히만처럼 생각없이 그냥 주어진 법제도안에서 그들이 정해준 목표만을 향해서 열심히 달려가고 있다. 그리고 어딘가에서는 이런 비상식적인 제도에서 발생한 부작용의 굴레를 쓰고 허덕되고 있는 누군가가 있을지도 모른다.


샤르트르가 지식인은 태생상 지배층의 제도안에서 탄생했기 때문에 지배층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면서도 피지배층을 위해서 목소리를 내야만 하는 갈등상황에 있다고 했다. 지식인이 지배층에 붙어 피지배층을 도외시 하는 것은 어찌보면 직무유기이다.


얼마전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라는 책을 읽었다.
풍요의 시대, 넘쳐나는 곡물이 일부 지배층의 식탁에 오를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현실을 고발했다. 너무나도 아이러니한 이야기이지만 일부 지식인의 고발로서는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이다. 법제도 속에서 생각없이 살아가고 있는 누군가들의 관심이 필요한 것이다.


어쩌면 우리도 이 시대의 아이히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