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충돌
새뮤얼 헌팅턴 지음, 이희재 옮김 / 김영사 / 199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질서의 재편 핵심변수는 문명이다.'

'문명과 문명의 충돌은 세계 평화에 가장 큰 위협이 되며, 문명에 바탕을 둔 국제 질서만이 세계 대전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어 수단이다.'

'진정한 적수가 없으면 진정한 동지도 있을 수 없다. 우리 아닌 것을 미워하지 않는다면 우리 것을 사랑할 수 없다.'(딥딘의 소설 '죽은 못')

'미래의 가장 위험한 충돌은 서구의 오만함, 이슬람의 편협함, 중화의 자존심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것이다.'

서구열강의 문명이 발달하기 시작한 것은 한참 후의 일이었다. 이전에는 지금의 비서구 문명이 더욱 발달하였다.

하지만 크리스트교, 다원주의, 개인주의, 법치주의로 이루어진 서구 문명의 남다른 가치관과 제도는 비서구 문명을 앞지르도록 견인하면서 전 세계로 팽창하고 다른 문명들의 부러움을 사게 된다. 특히 이러한 팽창이 군사력의 확대와 이를 통한 식민지 개척으로 이어지면서 아시아나 아프리카 등의 우수한 문명지는 서구의 식민지화 또는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된다. 과거 번영했던 문명은 서구열강의 무력을 통한 식민지화로 인해 강제적으로 혹은 자의에 의해서 서구화를 시도함에 따라 쇠퇴하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냉전시대를 마감하면서 잠시 서구의 세계통일의 이미지와 자유민주주의가 보편 문명화되는 환상을 낳는다.

하지만 탈냉전과 탈식민화의 시기 이후 비서구의 경제성장(특히 동아시아)과 이를 토대로한 사회, 정치, 문화적 독립화는 이러한 서구에 의한 통일을 거부하게 되고 쇠퇴하였던 개개의 문명이 부활하는 계기가 된다. 이러한 각 문명의 재도약은 냉전시대 이후 새로운 국제정세를 형성하게 된다. 즉 서구, 중국, 이슬람, 일본, 정교 등 대표적인 문명 핵심국과 그 영향아래 있는 국가들로 국제정세가 재편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주목할 것은 아시아 문명의 경제력, 군사력, 정치력 확대와 이슬람권 인구의 폭발적 증가로 인한 이슬람 국가들과 그 인접 국가들간의 세력 균형 위협이다.

먼저 아시아, 특히 동아시아 경제의 변화는 20세기 후반의 세계사에서 가장 의미 있는 발전 가운데 하나다. 경제 발전은 아시아 국가들로 하여금 군사력 강화를 가능케 했고 이는 서구 특히 미국의 갈등을 증폭시켰다. 특히 아시아 최대의 강국인 중국의 경제 성장은 동아시아에 대하여 전통적 헤게모니를 재주장하게 한다.

문명과 문명간의 단층선에서 발생하는 전쟁의 압도적 다수는 유라시아와 아프리카를 아우르는 지역에서 이슬람 교도와 비이슬람 교도를 가르는 경계선을 따라 일어났다. 이는 '이슬람의 피묻은 경계선'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문명을 통한 세계질서 재편성과 서구와 비서구의 갈등은 제3차 대전은 문명간의 갈등에서 발생할 것이라는 예측을 낳게 된다.
예를 들어 걸프전은 이라크와 쿠웨이트의 전쟁으로 시작되었다가 이라크와 서구의 전쟁이 되었고 다시 이슬람과 서구의 전쟁으로 변모되더니 종국에 가서는 많은 비서구인들에게 동양과 서양의 전쟁, '백인의 전쟁, 해묵은 제국주의의 새로운 분출'로 간주되기에 이르렀다.

때문에 대규모 문명 전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2가지 원칙이 있다.
1. 핵심국이 다른 문명의 분쟁에 개입하지 않는다(자제의 원칙)
2. 핵심국들끼리 상이한 문명에 속한 집단이나 국가간의 단층선 전쟁을 억제하거나 종식시키기 위하여 타협을 해야 한다(공동 중재의 원칙)

최근 해변에 밀려온 3세의 시리아 난민 소년의 죽음을 모두가 보았다.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 등에서는 지속적인 이슬람과 그리스정교, 크리스트교 등의 종교 갈등으로 난민이 발생하고 있다. 서구는 이전과 같이 제3세계에 대한 영향력과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고 구시대적인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우리나라 주변만 보더라도 중국과 일본의 팽창으로 인한 영토분쟁이 발생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그 틈바구니에 끼여 있다. 
냉전시대에 공산주의의 팽창을 막는 하나의 목적아래 함께 했던 모든 국가들이 이제 자기의 목소리를 내면서 새로운 질서를 형성하고 있는 과도기인 것이다.

최근 발표되고 있는 논문이나 책들에서는 이러한 모든 움직임의 이면에는 결국 서구의 개입이 있음을 시사하는 내용들이 많다. 서구의 막강한 금융자본과 군사력을 통한 보이지 않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슬람과 그리스정교 등 종교이념간의 갈등이나 중국이라는 전통적인 아시아 강호의 부활은 결코 이러한 것만으로는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즉 전자는 아직도 여전히 서구 문명의 보편성과 우월성의 관점에서만 세계정세를 파악한 것이다.

변화의 시기는 또다른 측면에서는 기회의 시기이다. 우리나라가 이러한 시기에 어떤 모습으로 국제사회에 설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관건이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주변강국의 모두의 영향력 아래에서 특별한 색깔없이 있는 우리나라의 색깔을 어서 찾아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