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미술관에 놀러간다
문희정 지음 / 동녘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관이라고 한다면 다니는 직장 근처에서 하는 미술관에 한 번 가본 것이 전부이다.

윽.. 지난 살아온 세월동안 문화생활이라고는 정말 눈꼽만큼도 안하고 산 나를 부끄러워하면서도 정작 적극적으로 할 생각은 못하던 나에게 이 책은 신선한 마음을 갖게 해주었다.

 

우선 미술관, 갤러리, 대안공간이라는 곳의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모든 미술을 전시하는 곳들은 그것들이 주는 중압감과 들어갔을 때의 조용함, 그리고 작품을 사야할 사람만 들어가야 하는 것이라는 강박관념이 있었는데 그런 것이 아니었다. 작가처럼 당당하게, 우울할 때 찾는 미술관, 생일마다 친구들과 찾아가는 미술관, 소풍가듯 찾아가는 미술관 등 다양한 미술관에 내 기분에 맞게 찾아갈 수 있다. 그들에게 요구하면 천천히 그림에 대해 설명해주기도 하며 운이 좋다면 작가도 만날수가 있다.

흥미로웠던 점은 이너프라는 것이었는데 한 공간에 그때그때 주인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런 아이디어는 어디서 나오는 걸까? 정말 예술가는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테이크 아웃 드로잉이라는 곳에서는 키오스크 중심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작가가 메뉴 개발도 하고 전시할 책이나 음악들을 고르는 것인데 작가를 더 가까이 느낄 수 있을 것 같고 작가의 작품 과정을 지켜보며 이해도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미술관은 이름이 지어진 계기도 가지가지이었다. 재지마스나 리움 같은 경우가 그랬다. 그리고 프랑스의 화랑체인점인 오페라 갤러리도 소개되어 있었는데 정말 능력이 된다면 진짜 명화를 내 손으로 사 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작가는 미술관의 설명 뒤에 지도와 쉬는 날, 문여는 시간을 써 놓았고 그 다음장에 미술관옆 놀이터라고 하여 그 주변의 즐길거리도 적어놓는 센스를 발휘했다. 그 중 가장 가보고 싶었던 곳은 리움 옆에 있는 패션파이브 라는 곳이다. 엄청나게 큰 디저트 카페로 연인들이 많이 간다고 한다. 얼마나 예쁘고 맛있는 디저트 들이 많을지 기대가 된다. ^^

그리고 미술관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짤막한 인터뷰도 읽으며 재미있었다. 마지막에 젊은 아티스트들의 인터뷰가 있는데 그들이 작품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한다는 것을 보았다. 먹고 살기 어렵더라도 자신의 꿈을 갖고 있는 그들이 멋지다!

 

이 책을 읽으며 내 주변에 다양한 볼거리가 많다는 생각이 든다. 전에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를 보았을 때에도 주변에서 보물을 발견한 느낌이었는데 그 책과 함께 보며 인사동 하면 어느 곳을 가자 하고 혼자 로드맵을 만들어보아야겠다.

작가의 실물 사진도 보고 남자친구와 소소한 데이트 이야기도 있고 무엇보다 미술관 이야기를 솔직히 해주어 정말 좋았던 책이다. 아쉬웠던 점은 모두 서울에 국한되어 있어서 지방의 내가 가려면 계획을 세워 가야 한다는 점이다. 300페이지가 넘는 쪽 중에 몇 가지는 지방의 미술관을 소개해줘도 좋았을 것 같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