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힘 - 독서를 하는 부모는 무엇이 다른가?
김애란 지음 / 프로방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제일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아이러니하게도 생각하는 힘인 것 같다. 단순 노동의 반복이나 힘이 필요한 일, 정보를 활용한 일은 컴퓨터, 기계가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그것들이 할 수 없는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다가오는 새로운시대에 적응 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는 그 힘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독서라고 말한다.

십년전, 한 책을 계기로 책읽기에 빠져 살며 삶의 고비마다 책으로 이겨낼 수 있었다는 작가는 지금 두 아이의 엄마이자 아이들과 독서로 함께 공부하며 새로운 내일을 준비하고 있다. 그럼 독서가 어떻게 좋은 것일까? 독서는 창의력을 길러주고 이해력, 표현력 등을 길러준다는 것은 익히 알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의식의 확장을 이루어준다고말한다. 의식의 확장이라는 것은 첫번째로 자신의 한계를 정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무언가를 하려할 때 에이.. ~~인데 뭐. 지금은시간이 없어서... 이래서 안되고 저래서 안되는게 아니라 독서를 통해 더 넓은 관점으로 세상을바라보고 선택, 집중하여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할 수 있다는 긍정의 용기를 주는 느낌이랄까.

두번째는 내 안에 잠자고 있는 잠재의식을 깨운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쳇바퀴돌듯 반복되는 일상에서 정체되어 있다는 느낌'에 완전 공감했다. 여기에서 아침, 잠자리 독서를 통해 하루에 활기를 주고 긍정의 힘을 넣어주자는 것이다. 나의 의식을 확장하고 우물안개구리에서 벗어나면 더넓고 행복한 세계를 만날 수 있다는 것.

이런 변화를 얻기 위해 어떤 독서를 해야할까. 나도 뭔가변하고 싶어 열심히 책을 읽지만 그 이상 무엇을 해야할지 고민한다. 하지만 그뿐 변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았었는데 이 책의 마지막에 구체적으로 방법을 알려준다. 의미없는 독서는 남는게 없다. 100권을 읽겠다 목표하면 숫자에 연연하게 되고 쉬운 책만 골라읽는듯 부작용이 있다. 100권을 읽되다양한 분야의 책을, 내가 정한 목표에 따라(가고픈 방향) 읽어야 하며 읽고 나면 그것을 기록하여야 한다 책에 밑줄을 긋거나 필사(강추) 하는 것, 아니면 중요한 부분이라도 책을 다 읽은 후 다시 적어보는 것이다.

책읽기 습관화를 위해 15분 읽기를 기록하거나 어디든 책을 들고 다니길 추천한다. 이 두가지는 실천하고 있는 중이다 ㅎㅎ 독서의 방향성을 잘 생각해보고 정해보아야겠다.

독서가 중요하고 꼭 해야 하는 것을 다시 상기시켜주고 어떤 방향으로 해야할지, 삶에 어떻게 독서를 활용할 수 있는지 알려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