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로 생긴 모습은 달라도 우리는 모두 친구 - 서툰 어른이 된 우리에게, 추억의 포켓몬 에세이
안가연 지음, 포켓몬코리아 감수 / 마시멜로 / 2020년 5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3/pimg_7523331152563982.jpg)
벌써 몇년전일까? 피카츄빵을 엄청 먹으면서 스티커를 모았던 것이.. 여러가지 맛의 빵과 스티커를 모으면서 이게 뭐라고 모으나.. 싶다가도 또
사먹게 되었는데 지금은 아이가 포켓몬스터 만화를 보고, 게임으로도 한다. 참으로 신기하다 아직도 이렇게 인기있다는 것이.
이 책은 웹툰으로 즐겨보던 '자취로운 생활'의 추카피님이 쓴 책이었다. 아이가 먼저
그림에 관심을 보이고 쭉 본다. 글을 읽을거라 기대했는데 내가 읽어보니 이 이야기는 어른들을 위한 피카츄 책이었다. 그래도 내가 읽을 때
아이들이 어 이거 000다 하며 이름을 다 알려주었다. 맨 뒤의 피카추 도감을 보니 정말 맞는 이름이었다!
아무튼 이 책을 쭉 보며 그래 나도 힘들었구나 토닥토닥 해주고 싶었다. 그래 잘하고
있어 이렇게 말이다. 알면서도 이 책들을 보는것은 그래도 이런 위로가 필요해서가 아닐까?
기억에 남았던 것은 마음먹기 기술과 감정의 부피와 질량 부분이었다. 내가 마음먹기에
따라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능력. 모든 사람의 마음에 이 기술이 있으니 우리는 모두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의 마음에 한번에 담을 수
있는 감정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어서 그 공간을 욕심이란 감정으로 가득 채우고 나면 다른 종류의 감정이 들어갈 자리가 없다고 한다. 욕심은
자석처럼 초조함, 예민함, 불안과 같은 감정들을 불러온다고 한다. 그러니 욕심을 덜어내고 그 빈자리에 따뜻함과 여유로움을 채워보자. 나에게 꼭
필요한 마음..
그리고 항시 조마조마하고 뭘 해야할 것 같은데 그러지 말자 싶다. 브레이크를 걸고
잠시 쉼. 그러면서 커피 한잔에 이 책 두쪽 정도 보면서 음미하기 하고 싶어진다.
이야기에 맞는 포켓몬들을 보는 재미도 있고 예쁜 캐릭터들이라 귀여워서 좋다.
작가분도 좋고 표지도 마음에 든다. 그래서 옆에 두고 한번씩 펼치고 싶은 책이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603/pimg_752333115256398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