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문양 빛깔있는책들 - 민속 165
허균 글, 유남해 사진 / 대원사 / 199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호와 상징체계로 해석되어지는 동양의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 중고 서점을 검색해가며 찾아본 책이다.

책을 사두고 한참을 묵혀두다 꺼내어 읽을 무렵 표지의 저자가 낯설지가 않다. 궁궐장식의 저자 허균 선생님이다.

오주석, 조용진, 허균 선생님의 책들을 신뢰하기에 반갑기 그지 없었다.

책은 우리나라 전통문양과 장식에 대한 백과사전식의 해설 풀이집이다. 출판사가 기획한 시리즈의 특성인지 저자의 지식적인 완숙미가 덜 했는지는 판단 할 수 없다.

이 책을 발판으로 저자의 발간기회가 이어져 더 발전된 책들이 세상에 빛을 본것으로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옥의 조형 빛깔있는책들 - 고미술 20
신영훈 글/사진 / 대원사 / 198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통문화에 관심이 더해갈 무렵 한국의 건축물인 한옥에 대해서도 조금 공부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천원지방(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 내원외방(안은 둥글고, 밖은 네모) 등의 동양적 우주관과 길상과 벽사의 기원, 자연과 합일되어 조화하는 멋과 운치가 있는 한국적 조형의 미를 알아가며, 우리나라 대표 건축물들을 탐방하며 아들에게 멋드러지게 설명해주고 싶은 개인적인 욕심이 있다.

식민사관의 잔재속에 유교의 참된가치와 숭고한 무리문화유산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길러준다면 좀더 풍요한 삶을 누릴 수 있을것 같은 생각이 계속 일렁이고 있다.

짧고 불충분한 책이지만, 두가지 포인트에서 만족한다.

건축 조형 자체만을 바라봤던 시각에서 뒷산의 능선까지 고려한 용마루의 선과 같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한국적 특성과,

일주문의 생각하는 돌사자상과 같이 정좌하여 삼라만상의 이치와 명운을 꿰고, 사유속에서 삼매경을 느끼는 동양철학의 발현까지...

우리 문화는 알게될수록 더욱 눈부시다. 그리고 그 자유로움에 신명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민족문화 상징 100 2 - 반가사유상에서 인삼까지
김찬곤 지음, 문화관광부 기획 / 한솔수북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38년정도동안 즐거움 없이 의무감으로 읽었던 책에서 진중권 교수님의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이란 책을 접하게 되며 새로운 세상에 눈을 뜨게 되었다.

미술사와 미학 과학 철학 역사 문학 등등 다양한 분야로 관심사가 확대되어져 갔고, 막연함이 아닌 호기심을 해결하고 지식의 즐거움이 있는 책읽기의 틀이 잡히기 시작했다. 선형적인 역사라는 한 줄기의 뼈대에 미술, 철학, 과학, 문학 등의 살을 붙여가기 시작했다.

책은 또 다른 책으로 이어져 오주석 선생님의 한국의 미 특강을 접하게 된 후 유교의 올바른 가치와 우리문화에 대한 창의성과 우수성을 깨닫게 되었고 그로 말미암아 엽전 의식을 털어낼 수 있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던가! 책은 세상을 바라보는 풍성하고 풍요로운 시각을 선물해주었고 스스로의 고독감과 무기력감을 조금씩 떨쳐내어 주었다.

순서 없이 빠져들었던 서양 미술사와 미학, 철학과 과학 들을 한 줄로 꿰기 위해 세계사를 읽어 그 흐름을 짚어내기 바빴다면,

이제 유홍준의 한국 미술사를 읽기위해 한국사, 삼국유사, 조선왕조실록, 동양화 읽는 법, 궁궐장식, 한국의 전통문화, 우리민족문화 상징 등의 책을 읽었고,

이제 목표했던 독서계획속에 한옥의 조형과 한국의 전통문양이라는 두권의 책만을 남겨 두었다.

축구경기를 뛰기 위해서는 90분동안 뛸수 있는 기초 체력을 만드는것이 우선이듯이, 우리 미술사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준비운동을 마쳐가는 것 같다.

두권의 책을 읽은 후에 만나게 될 새로운 책에 설레인다.

독서는 즐겁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민족문화 상징 100 1 - 강릉단오제에서 미륵까지
김찬곤 지음, 문화관광부 기획 / 한솔수북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초등학생들을 위한 우리문화 지침서

우리문화의 황금기였던 2006년에 출간된 책으로 다양한 문화계 종사자들 및 학자간의 토의와 토론을 거쳐 종합한 우리 민족문화를 대표하는 상징 100가지를 소개하는 제 1권이다.

2006년은 토론과 합의를 통해 결론을 도출했던 비폭력성의 시대임이 한 권의 책을 통해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야기로 풀어쓴 조선왕조실록 - 조선왕조 500년 역사 바로읽기
유종문 엮음 / 아이템북스(홍진미디어)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일때문에 더디게 읽어갔던 조선왕조실록 완독

한권으로 축약된 실록이지만 그동안 보아왔던 역사 드라마들이 한줄로 꿰어지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