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봉 로망
로랑스 코세 지음, 이세진 옮김 / 예담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무의미한 책, 개성 없는 책, 한 번 웃고 말 책에 관심이 없다. (생략)
우리를 다시 숨쉬게 하는 책을 원한다. (생략)
우리에는 그 한 권으로 족하다. 다른 책은 원치 않는다.
 - 프란체스카 -

 
표지가 단풍처럼 따뜻한 책이다. 물끄러미 보고만 있어도 긴장된 마음이 누그러진다. '소설'에 대한 소설이라니, 소재도 참신하고 마침 계절도 가을이라 살짝 두근거리며 펼친 책이다. 두께가 상당하지만 의외로 가독성이 높아 술술 읽혔다. 오히려 못다 한 내용이 있을 것 같아 쪽수가 아쉬울 정도다.

<오 봉 로망>은 의문의 테러사건을 수사하는 경찰에게 그간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프란체스카와 이방의 진술로 본론에 진입한다.
작년 프란체스카와 이방은 파리에 특별한 서점을 열었다. 이름하여 '오 봉 로망', 오로지 좋은 소설만 파는 서점이었다. 그건 두 사람의 오래된 꿈이었고 평생 바라온 일이었다. 기쁨에 충만한 그들은 당장 위대한 작가들로부터 판매대에 올릴 '좋은 소설'들을 추천받았다. 그 덕에 서점에는 방금 막 출판되어 따끈한 신간보다 아주 오래전에 쓰인 고전문학으로 즐비했고 아직 진가를 인정 받지 못 한 명작으로 가득했다.
하지만 '오 봉 로망'은 열렬한 지지를 받은 만큼 끔찍할 정도로 질긴 방해에 맞서야 했다. 뻔하지만 반대파는 '좋은 소설'을 선정하는 엘리트주의를 비판했다. 이는 경쟁업체를 꺾으려는 시도이기도 했고, '좋은 소설'로 뽑히지 못 한 출판사나 작가들의 반항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름에는 힘이 실려 있어, '오 봉 로망'이란 간판을 내건 이상 그들의 각오도 만만치 않았다. 그러나 알다시피 오 봉 로망이나 반대파나 누가 옳고 그른 거 그딴 건 없다.
'좋은 소설'의 기준은 애당초 없다고 본다. 개인이 '좋아하는 소설'이 있을 뿐이지.
프란체스카와 이방이 좋아하는 소설, 그리고 반대파가 좋아하는 소설말이다. 문학적으로 완성도가 어떻든 그 책을 펼친 독자와 마음이 맞지 않으면 책은 그 사람에게 있어 몇 그람의 종이묶음에 불과하다.  

그나저나 내가 서점을 연다면 어떤 책들을 구비해놓을까? 단연 추리소설이다. 그래도 아쉬우니깐 한 편에는 패러노멀 로맨스를 두어야지. 주위는 사건현장처럼 출입금지용 노란 테이프로 감싸야겠다. 점원은 형사로 변장하고... 음, 그만.

개인적으로 <오 봉 로망>은 좋은 소설은 무엇인지 고민하는  시간보다 내가 읽지 않은 소설, 즉 좋아하지 않은 소설을 사랑하고 갈망하는 독자에 대해 생각해 볼 시간을 주었다. 어느 책이 어느 책 아래에 있다는 건 유치한 소리이다.  취향의 존중, 그것이 답이다. 쓴 자와 읽는 자가 교집합으로 맞아떨어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15-11-12 13: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쩌면 그래서 서평을 쓰는 것과 평론과 비평을 쓰는 것은
책을 쓰고 읽는 것 만큼이나 -어쩌면 더 - 중요한 일인 것 같습니다.

하루감정 2015-11-18 13:41   좋아요 0 | URL
엇 댓글 감사합니다 ㅎㅎㅎ
알라딘에서는 처름 받은 관심이네요 ㅋㅋㅋ
읽고 서평을 쓰기까지가 독서의 한 바퀴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