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엔딩 (양장)
김려령 외 지음 / 창비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혹보면 소설의 뒷면이 되게 궁금할때가 많았다

그 사람은 어떻게 되었을까~로 시작하는 의문들 그리고 풀리지 않는 생각들

아마도 현실에 대입이 되어서 아니면 감성을 자극해서 그럴수도 있지 않을까

이번엔 창비에서 그 소설의 외전이라 할수 있는 두 번째 엔딩이 나왔다

그중 8편의 이야기를 다뤘다

제일 궁금했던게 콧등을 시큰시큰거리게 만들었던 <<아몬드>> 작품의 외전과 그리고 부모에게 선택이 아닌 내가 가족을 고를수 있다는 <<페인트>> 작품의 외전이었다

솔직히 외전은 주인공일수도 다른 사람일수도 있긴하지만 그 작품속에서 이뤄지는 외전인줄 알았는데

손원평의 <<상자속의 남자>>는 아몬드의 주인공과 스쳐 지나가는 인물이었다

자기가 늘 마음 아파했고 후회를 했었던 문제를 아몬드를 통해서 그리고 그 속의 다른인물을 통해서 풀어내는 이야기였다

나도 가끔은 상자속의 남자처럼 그런 후회와 같은 마음을 가지고 질문을 되짚어볼때가 있었지만 속시원한 답을 구했던 적은 없었다 그래도 상자속의 남자는 답과 가까이 갈수 있어서 부러웠던 사람이었다

그리고 눈물이 많이 나던 작품은 이현의 "보통의 꿈"이었다

앞선 첫번째 엔딩작을 읽어보진 않아서 누구의 두번째 엔딩인지 모르겠으나 그 작품 그대로 또한 괜찮았다

세상에서 제일 힘든건 특별한것 보다 보통의삶이 더 어렵다는 이야기. 살아보니 더 공감이 가는 작품일수도 있는거 같았다.

김려령의 "언니의 꿈" 우아한 거짓말 또한 읽어보진 않았지만 확실히 앞선 작품이 어떤 내용인지 알거 같은 내용이었다 따돌림으로 인해 동생이 죽었고 그 언니의 무덤덤한 말투와 행동들 동생을 죽게 만든 동생의 친구들에게 아무렇지 않게 대하는 행동들 그리고 꾹꾹~ 눌린듯한 말들은 아무도 없는 곳에서 곧 터져버릴듯 아슬아슬하게 들리기도 했다

사람들이 세상에 일어나는 일들에 반응하는 방식이요,

거기에 어떤 이유가 있는지.

<<우아한 거짓말>><<싱커>><<1945,철원>><<그 여름의 서울>><<모두깜언>><<아몬드>><<페인트>><<버드 스트라이크>><<유원>>

이 책들은 우리에게 무언가 묵직한 울림을 안겨주는 책들이다 그렇지만 그들에게도 진심을 전하지 못한 무언가가 있을지도 모른다 외전이라고는 하나 하나의 또다른 단편이라고 봐도 좋은 이야기들이었다.

두번째 엔딩을 보니 미처 보지 못했던 책들의 첫번째 엔딩 이야기가 보고싶어졌다.

외전인듯 외전 아닌 단편같은 이야기들이 가슴을 참 먹먹하게 만드는거 같다

정말 궁금한 게 있어요.

그날로 다시 돌아간다면 무언가 달라졌을까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메리칸 더트
제닌 커민스 지음, 노진선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ambien de este lado hay suenos

장벽 이쪽에도 꿈이 있다.

성인식 파티를 하는 주택가에서 총성이 울리고 친인척이 모인 자리에서 엄마 리디아와 아들 루카를 제외한 모두가 죽었다 여기는 멕시코의 아카풀코이다

책을 좋아 하는 리디아는 책방을 운영하고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책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책들을 파는 곳

그곳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책을 사가는 하비에르라는 남자를 만나고 책에 관한 이야기로 둘은 둘만의 관계에 빠져든다 리디아는 하비에르가 뭐하는 사람인지는 몰랐다 그리고 관심도 없었다 그저 책이 좋아서 하비에르와 그에 관해 이야기하는 그 자체를 너무 사랑하기 때문에 ...

리디아의 남편 세바스티안은 기자다 카르텔에 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르는척 모든걸 덮어 두지만 그는 모르는게 없을 정도로 카르텔에 관해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카르텔에서 누누히 세바스티안에게 협박을 했었다 카르텔에 관한 기사를 쓰지 말라고 그는 그 경고를 무시하고 오늘 성인식 파티가 있는날 리디아의 가족은 몰살되었다

경찰에 신고를 하긴 했지만 무용지물이다 그들도 대부분 카르텔에 돈을 받아 먹고 사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이곳을 떠나야 한다 그리고 살아야 한다 나의 아이 루카를 위해서라도

목숨을 걸고 세바스티안의 친구를 찾아가 무사히 검문소를 피했지만 루카의 등록증이 없어 비행기를 탈수 없게 된다 이제 그들이 이끔찍한 곳을 벗어날 길은 하나뿐이다. 무사히 국경을 건널수 있을지 피말리는 시간들의 연속이다

특파원 뉴스같은 곳에서 가끔 나오는 마약 카르텔에 대한 이야기가 아메리칸 더트에 있다

멕시코 어느 곳이든 카르텔에 돈을 받고 사람들의 감시 아닌 감시를 하는 사람들

첫장부터 눈을 떼지 못하고 빠져들었던 이야기 아메리칸 더트 이다

작가의 남편도 이민자 중의 하나라고 한다 결혼을 하면 미국인이 될수 있지만 미국인이 되고 나서 청혼을 하고 싶어했다고 한다 이민자가 미국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불법적인 상황이 끼지 않고는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는걸 느꼈다고 한다 북한사람들이 목숨걸고 탈북하는 상황과는 또다른 느낌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굿모닝 미드나이트
릴리 브룩스돌턴 지음, 이수영 옮김 / 시공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모두 뭔가 기다리는 게 있어야 해

어거스틴은 78세다 북극 천문기지에서 별을 관측하고 있다

지금 자신이 살고 있는 지구 어딘가에서 무슨일이 벌어지는지 북극 천문기지에 있는 사람들을 모두 옮겨가고 기지를 폐쇄하기에 이르지만 어거스틴은 고집스레 남겠다고 한다

어짜피 돌아가봤자 뾰족한 수도 없을 것이고 자신이 평생을 바쳐온 천문을 관측하는게 유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남겠다고 한다 그렇게 그의 나이 80이 가까운 나이에 홀로 북극에 남았다 그리고 그런줄만 알았지만 어두운 침대 한가운데 아이가 남았다 누구의 자식인지 어지럽게 떠나간 자리에서 홀로 남겨두고 간 아이는 아닐까 싶어 물어도 답이 없고 무신을 시도해도 답조차 없다 답답함을 느끼지만 이젠 어쩔수가 없어 남아 있던 음식을 아이에게 주고 천문기지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리저리 자리를 바꾼다

한달이 지난 어느날 그 꼬마 아이리스가 말을 꺼낸다 "아침은 언제와?"

우주비행사 설리는 목성 탐사를 시작도 전에 지구와 통신이 끊어져 버렸다.

도대체 지구에선 무슨일이 벌어졌을까? 지구와의 단절 자체가 대원들과 설리의 마음을 불안하고 초조하게 만들기 시작한다

지구에 있지만 지구에서 무슨일이 벌어졌는지 알수도 없고 관심도 없는 광활한 북극에 있는 사람

정말 지구와 동떨어진 우주에서 초조하게 무선을 기다리는 사람

나의 삶을 온통 지구와의 교신을 위해서만 촉각이 곤두서 있다보니 삶이 점점더 초조하게 느껴지는거 같다

사람들은 시간이 많게 되면 자신이 살아왔던 삶을 돌아보게 된다 그건 세월이 무수히 많이 흐른 미래인들에게도 같지 않을까 싶다

요즘같은 일상에도 사람들은 과거를 돌이켜보는 이들이 참 많다 과거와 지금의 현실을 비교하면서 다시 예전으로 돌아간다면 후회없이 삶을 살거라는 이야기는 만나는 이들마다 입에 달고 사는 이야기가 됐다.

스마트한 세상이 되어 가지만 정작 사람과 사람사이의 온기는 사라지는 세상이 되었다

정말 지구의 종말이 와서 나만 남아있다면 어떤 느낌일까 제목그대로 지구를 환하게 비춰주던 굿모닝에서 암흑으로 이르는 미드나이트까지의 인간들의 내면을 아주 잘 쓰여진 이야기 같았다.

지구의 미드나이트는 영원히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를 뒤바꾼 가짜뉴스 - 거짓으로 대중을 현혹시킨 36가지 이야기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장하나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랑비에 옷젖는줄 모른다고 했다

가짜라는걸 안다면 속을일이없겠지만 진짜인듯 아닌듯 사람들의 마음속에 들어와서 불신을 키워놓고 간다면 그건 이제 팩트가 되지 않을까 싶다

그런문제가 오늘날에 들어선 이야기인줄 알았는데 역사속에 깃들었다는게 그리고 그 가짜뉴스로 인해 거짓이 진실로 둔갑했다는 사실이 엄청 크게 다가오는거 같다

기원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가짜뉴스란 상대에게 피해를 줄 의도를 갖고 교모히 퍼트리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진실이 퍼져나가는 속도보다 가짜가 퍼져나가는 속도가 아마 빠를지도 모르겠다

때론 역사속에서 그런 소문을 진실처럼 퍼트려서 나의 이익과 패권을 손에 쥔 사람들이 있었던거 같다

지금 생각하면 예전 선화공주의 이야기에서도 그렇고 오늘 뉴스에서도 나온 일본인들 우물에 독을 넣었다고 하는 소문조차도 가짜뉴스이다 파고들면 참 여기저기 곳곳에 많다

역사는 승자의 이야기라고 하니 가짜뉴스를 퍼트려서 이겼다면 역사가 될것이고 졌다고 하면 역모가 되는 이야기 같다

세계사를 뒤바꾼 가짜뉴스는 역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볼수 있는 발판이 되는거 같다

이런 거짓뉴스들은 실제 사건에서 조금씩 살을 더하기만 하면 된다 내가 필요한 부분만을 오려서 내가 하고자 하는 곳에 붙이면 소문이란 자연스레 부풀려지며 퍼져나가게 된다

'아랍의 봄'에서 더욱 자세히 드러나게 된다 튀니지의 청년의 분신사건이 유럽전역을 퍼져나가게 되는 이유

때가 되면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사건이 재조명 되는 이유와 같을거라고 본다

우리가 배웠던 역사의 이야기는 좋은 점들만 나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알려지지 않은 역사를 배우는 것 자체가 지금 세상을 배우는 지혜일수도 있을거 같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를 뒤바꾼 가짜뉴스 - 거짓으로 대중을 현혹시킨 36가지 이야기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장하나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각도에서 세계사의 새로운 진실을 알려주는 책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