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보면 소설의 뒷면이 되게 궁금할때가 많았다
그 사람은 어떻게 되었을까~로 시작하는 의문들 그리고 풀리지 않는 생각들
아마도 현실에 대입이 되어서 아니면 감성을 자극해서 그럴수도 있지 않을까
이번엔 창비에서 그 소설의 외전이라 할수 있는 두 번째 엔딩이 나왔다
그중 8편의 이야기를 다뤘다
제일 궁금했던게 콧등을 시큰시큰거리게 만들었던 <<아몬드>> 작품의 외전과 그리고 부모에게 선택이 아닌 내가 가족을 고를수 있다는 <<페인트>> 작품의 외전이었다
솔직히 외전은 주인공일수도 다른 사람일수도 있긴하지만 그 작품속에서 이뤄지는 외전인줄 알았는데
손원평의 <<상자속의 남자>>는 아몬드의 주인공과 스쳐 지나가는 인물이었다
자기가 늘 마음 아파했고 후회를 했었던 문제를 아몬드를 통해서 그리고 그 속의 다른인물을 통해서 풀어내는 이야기였다
나도 가끔은 상자속의 남자처럼 그런 후회와 같은 마음을 가지고 질문을 되짚어볼때가 있었지만 속시원한 답을 구했던 적은 없었다 그래도 상자속의 남자는 답과 가까이 갈수 있어서 부러웠던 사람이었다
그리고 눈물이 많이 나던 작품은 이현의 "보통의 꿈"이었다
앞선 첫번째 엔딩작을 읽어보진 않아서 누구의 두번째 엔딩인지 모르겠으나 그 작품 그대로 또한 괜찮았다
세상에서 제일 힘든건 특별한것 보다 보통의삶이 더 어렵다는 이야기. 살아보니 더 공감이 가는 작품일수도 있는거 같았다.
김려령의 "언니의 꿈" 우아한 거짓말 또한 읽어보진 않았지만 확실히 앞선 작품이 어떤 내용인지 알거 같은 내용이었다 따돌림으로 인해 동생이 죽었고 그 언니의 무덤덤한 말투와 행동들 동생을 죽게 만든 동생의 친구들에게 아무렇지 않게 대하는 행동들 그리고 꾹꾹~ 눌린듯한 말들은 아무도 없는 곳에서 곧 터져버릴듯 아슬아슬하게 들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