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레스테이아 열린책들 세계문학 197
아이스킬로스 지음, 두행숙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레스테이아는 이 책의 주인공인 오레스테스의 이야기라는 말이다. 지금 존재하는 수많은 나라가 서기라는 숫자매김을 시작하고도 한참뒤에 생겨났다. 그렇지만 만약 오레스테이아가 쓰여진 연도나 글쓴이가 누구인지 모르고 읽어보면 시간의 흐름이 무색하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을 것이다. 이 책을 보면서 셰익스피어의 햄릿이 떠오른건 누구나 그렇게 결론으로 갈 만큼 이야기 소재와 풀어나가는 데 있어 공통점이 보인다. 그렇다면, 적어도 서양의 위대한 이야기의 근원은 그리스 로마로 올라간다고 환원지을 수도 있을까? 마치 서양의 철학을 플라톤으로 귀결시키는 의견이 있는 것처럼 말이다.


전에 움베르토 에코가 책 이야기를 하면서, 지금까지 전해지는 이야기가 과연 그 시대의 가장 대표할만한 것들이었나를 놓고서 공동으로 쓴 다른 글쓴이와 잠시 이야기 나눈 대목이 생각난다. 그점이라면 이 책은, '맞다'고 말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년부터 읽어왔던 그리스 로마의 고전에 나오는 많은 이야기를 관통한다. 제우스를 비롯한 그 형제들과 다른 신, 그리고 그 윗대의 크로노스와 탄탈로스 무리들, 그리고 아테네와 전쟁에서 막판에 허무하게 무너져버린 트로이까지


비극, 그것도 가족간 비극. 가족이지만 왕과 그 가족들의 이야기. 내 한몸 가누려고 해도 정말 많은 욕심과 무례, 관습의 어긋남, 때로는 지어야 하는 철면피같은 표정. 이 모든 것은 왕의 가족들에게서 충분히 나올 만한 정황이나 이야깃거리라고 본다. 오늘날로 보면 기업의 역사, 그걸 둘러싼 기업주와 그 가족들의 역사를 투영해보면 비슷하지 않을까?


이 책이 아닌, 트로이 전쟁사나 다른 이야기책을 보면 나오는 아가멤논은, 무뢰한이자 야심과 욕심이 철철 흘러내리는 인간이다. 그런 사람이 이 책에서는 문득 나왔다 사라져버림이 조금은 어색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이 책의 이야기 흐름이 어색하다는 말은 아니다.


문득 그리스의 비극이 유행하던 시대로 돌아가, 배우와 코러스가 장엄하게 연기하는 그 광경을 보았으면 얼마나 가슴이 뛸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이 책을 보다가 드는 의문은, 이 책의 결말을 보면서 이게 과연 비극일까 싶은 물음이 떠올랐다. 며칠 되새김질해보니 그럴 듯도 싶긴 하지만, 그동안 익숙하게 생각했던 비극과는 그 뜻이 조금은 다르지 않나 싶다. 그리고 그리스 신은 과연 신일까 아니면 사람과 신의 중간단계쯤에 있는, 사람보다 뛰어난 존재지만 신으로 부르기에는 사람과 닮은 슈퍼 히어로 정도일까? 하는 궁금함이다. 아마도 민주주의의 발전은 신에게 조차 그 영험함을 다 주기에는 인간의 위대함을 양보하기 싶어하지 않는 초기 인문주의자들이 아니었을까?

 

문체가 분명 오늘날과는 다른데 , 그 다름 속에서 참신함이라는 모순의 감정이 느껴진다.

1. 아가멤논

[노인이라도 배움에 있어서는 항상 젊은 법이지요예부터 인간 세상에 잘 알려진 속담이 있으니, <사람의 행복이 커지고 부유해지면 자식을 낳게 되니, 자식 없이 죽는 일은 결코 없으리라. 그러나 행복의 뜰 안에는 만족할 줄 모르는 불행이 싹터 자란다!>…해묵은 죄악은 계속해서 죄악을 낳고 새로운 죄악으로 더욱 번성하게 되니, 오늘이든 내일이든 때가 되면 그 열매의 저주는 또다시 죄악을 낳는다네. 결코 피할 수도 견딜 수도 없으며, 그렇다고 없앨 수도 없는 일. 어두은 저주의 불경하기 그지없는 오만함은 그 집안의 아비를 닮았구나...커다란 행운을 누리는 친구를 시기하지 않고 존중해줄 수 있는 기질을 타고난 사람은 드물다. 악한 마음의 독기는 사람의 마음에 파고들어 시기로 병든 자를 이중의 원한으로 괴롭히는 법이다. 자신의 불쾌함으로 마음이 무겁게 짓눌리는 데다 또 남이 잘되는 것을 바라보며 한숨을 내쉬는 것이다. 내가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수많은 사람과의 교류란 거울에 스쳐가는 그림자처럼 허황된 것에 불과한 것을 과거에 보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운명이여! 행복할 때는 그림자처럼 뒤집히기 쉽고, 불행할 때는 젖은 해면으로 한번 훔치면 지워져버리는 그림과 같구나!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처럼 지워지는 운명이 나에게는 더욱 슬프구나.]

 

2. 제주(祭酒)를 바치는 여인들

[나를 지배하는 자의 행위가 옳든 그르든 강요에 못 이겨 그 행위를 찬양해야 하고, 마음속의 증오를 잊어야만 하네!...위대한 힘을 지닌 운명의 여신들이여, 제우스의 힘으로 정의가 나에게 다가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모ㄱㅈㅓㄱㅇㅡㄹ 이루도록 해주소서. <네가 소리치면 그 메아리가 되돌아온다! 증오는 증오를 낳는다> 이렇게 정의하는 죄지은 자의 죗값을 거두어들일 때 소리 높여 호통을 친다! <피 묻은 칼에는 피 묻은 칼로 보답하라! 행한 자는 그대로 당해야 한다!>...그러나 인간의 파렴치하고 대담한 교만과 비길 것이 무엇이며, 인간들에게 고통을 수반하는 뻔뻔하고 욕정에 빠진 여인의분별없는 욕망과 비길 것이 무엇이랴? 여인의 강력하고 제어할 수 없는 욕정은 심지어 짐승의 욕정마저도 능가하는 것을...]

 

3. 자비로운 여신들

[무서운 것도 적절한 곳에서는 이롭게 작용하느 stn가 있다. 그리고 사람의 마음속에는 감시자가 늘 지키고 있어야 한다. 고통의 눈물을 통해 엄한 훈련을 하는 것도 이로울지니. 인간이든, 백성이든, 한 나라든 만약 마음 속에 정의를 맞는 두려움이 자리하지 않는다면 어찌 스스로 정의를 존중하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