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도를 기다리며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읽어본 적은 없지만 어떤 책은 그 이름을 수없이 들어본 적이 있다. ‘고도를
기다리며’도 그런 부류의 하나다. 그 어떤 누군가를 기다리며, 그 며칠 사이에 두 주인공 사이에 일어나는 일, 그리고 대화와 몸짓,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이 일상을 베케트는 아주 담담하게 희곡으로 적어나갔다.
아직 연극의 맛을 몰라서일까? 대본 형태로 적힌 이 작품의 깊은 뜻을
마음에서 흠뻑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마치, 유명한 와인이라고
해서 마시는데, 왜 그런지 그 까닭을 모르는 모양새라고 할까? 아무튼, 이 작품이 나오고 그 당시의 연극계에 아주 큰 울림을 주었고, 그러한
효과 중 하나는 두 주인공만으로 계속 이야기를 풀어가야 하는 구조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이 나온 이후, 우리나라만 해도 ‘칠수와 만수’처럼
두 주인공이 나와서 서로가 이상한 얘기를 주고 받는 스타일이나 ‘관객 모독’이라는 일명 부조리 극 등 비슷하게 보이는 작품이 나와서, ‘고도를
기다리며’가 갖고 있었던 자기만의 빛깔이 조금은 빛바래 보이지 않았나 싶다. 그렇게 모방을 만들어 오는 작품이라면, 얼마나 선구자로서 개척을
했는지 조금은 짐작이 간다.
주인공 둘 사이의 관계, 그리고 기껏해야 중간에 튀어나오는 다른 조연
몇 명이라서 여기 나오는 각각의 사람을 살펴보고 고민해볼 수 있는 기회는 아주 많이 주어져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두 주인공의 지난 날과 앞으로 올 날에 대해서도 나만의 버전으로 이야기를 생각해보고 싶은 충동이 올라온다. 정말 고도는 있는 건지? 아니면 지나간 다른 두명? 세명? 이었는지. 다시
생각해보면 그들은 정말 고도가 있고, 그가 올거라고 믿는걸까? 배고픔과
외로움, 지침 속에서 그들은 스스로에게 있지도 않은 그 누구(또는
무엇)인가를 주문처럼 스스로의 머릿속에 불어넣고는 요술 램프 속 지니처럼 나와줄꺼라 생각하는걸까? 가만 생각해보면, 나 자신도 때로는 나만의 고도가 있어 왔다. 많이 힘들고 지칠 때, 고도와 같은 누군가가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고 오직 선의 만으로 나로부터 이 무겁고 힘든 껍질을 벗겨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 말이다. 세상의 삶이란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그 둘에게만 힘든 곳은 아니니까…
그럼에도, (동서양) 문화/ 위치/ 시대 중 그 어떤 차이에서 나오는 건지 모르겠지만, 이야기의 풀어나감에 선뜻 와닿지 못하는 내 마음은 무엇때문일지 설명이 잘 안된다. 그럼에도 세계 명작이니 노벨상 수상작이니 하는 수식 어구에 마음이 끌려 이 책을 읽은 나 자신 또한 내 스스로가
상당히 부조리의 연속체라는 생각을 다시 한번 들게 만들게 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