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번역어의 성립 - 서구어가 일본 근대를 만나 새로운 언어가 되기까지
야나부 아키라 지음, 김옥희 옮김 / 마음산책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말은 우리의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일 뿐 아니라, 우리의 생각을 잘
끌어모아서 나타내는 결과로 자리매김하기도 한다. 아직도 한국에서 정말 언제 어떻게 자리잡고 이 사회를
움직이고 있는지 애매한 근대라는 단어를, 그 중에서 중요한 몇 개를 통해서 일본의 대표 사례로 분석한
소중한 내용이 이 책이다. 오늘날 한국인이 쓰는 말중에서 번역없이 대놓고 사용하는 영어, 한자스러운 일본어(주로 식민지 때 흘러들어온 말)가 아주 많이 쓰여진다. 영어는 말하면서도 우리 말이 아니라는게 느껴지지만, 이제 일본식 한자는 아무런 거리낌이나 불편함없이 입에서 자연스럽게 튀어나온다.
말과 글은 ‘그 나라의 얼’이라는
표현도 있는데, 우리가 쓰는 말을 들여다보면 근대 이전 중국을 통해 들어온 것,
근대 이후에는 일본을 통해서 들어온 것이 우리를 거의 사로잡고 있다. 이렇게 시간이 가면서
우리는 그러함에 길들여져가는건가 싶은 마음이 더욱 굳어진다.
크게 와닿을지 모르지만, 일본처럼 우리도 ‘당시의 대세’인 서양 문물을 우리 말로 나타내는 싸움을 우리 스스로
했다면 오늘날의 우리 말과 글은 많이 달라졌을거란 아쉬움이 든다.
바쁘고, 급하고, 빨리
커서 앞서 가는 나라를 따라잡아야 한다는 정치 구호하에, 우리는 스스로를 사회로 아무 생각없이 뜻매김하고, 왜 우리 하나하나가 개인으로 써지는지 곱씹음없이 어하고 받아들였다. 근대는
서구 문물에서 왔음을 알고 있던 때도 있지만, 어느 순간 근대는 일본이라는 나라로 터잡고 가져와서 그
다음은 현대에게 자리를 주고, 어느 대기업은 스스로를 그렇게 부르고 있다. 미라는 말은, 우리 조상도 써왔지만, art에 맞는 그 말은 아니지 싶다. 연애는 1900년 이전의 우리에게는 정말 그런게 있는지 모를 말이다. 좀더
아쉬운건, 존재와 자연,권리, 자유와 같은 말이다. 멀리 거슬러가지 않더라도, 조선의 성리학이라는 철학 사유체계는 충분히 이런 말의 짝이 있을 터인데 놓치다 보니 이제 지나간 버스처럼 보인다.
‘우리말로 학문하기’를
정말 하는 그 때를 기다리기에 앞서, 이 문구가 우리 입에서 지금보다 조금 더 자주 오르내리는 때가
얼른 왔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