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작은 것을 기다리는 시간 - 한 시골교사의 희망을 읽어내는 불편한 진실
황주환 지음 / 생각의나무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살다보면, 아주 당연시 생각했던, 그래서 전혀 그것에 대해서 진지하게 뭔가를 비춰서 생각해 볼 수 없었던 여러 가지 것들이 우리에겐 있다. 우리 삶에서 우리 몸처럼 너무 녹아져내린 생각들... 그래서 그것들을 다시 분리해서 생각할 때, 왠지 우리 자신의 현실에 대해서 너무 까칠하게 구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생각의 폭과 깊이의 관계를 생각해 볼 때, 내 자신의 묵은 생각들, 그저 묵묵히 순응하기만 했던 것들을 뒤집어보는 것에 대해서 두려움에 배타적으로 생활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한 것에 대해서 의미있게 다가온 책 한 권 '아주 작은 것을 기다리는 시간'이라는 책을 말하고 싶다.
 
  학교라는 사회는 누구나 태어나면 당연히 거치게 되는 기관이다. 그곳에서 우리는 몸과 마음이 성장하며 현재 우리의 모습에 많은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인 황주환님은 현직 국어선생님이다. 그가 학교에서 겪었던 일들을 되돌아보면서 자기 나름대로 고민하고, 갈등했던 것들을 솔직담백하게 써내려갔다. 우리 사회 안에서 보이는 부조리함들과 학교 안에서 보이는 것들에 대해서 연관지어 생각해보면서 사회와 교육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많은 화두를 끄집어내주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게 다가온 몇 가지 꼭지들을 써보면서 나는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정립하고자 한다.
 
  학교라는 사회를 바라보다.
 
  사회의 작은 축소판인 이곳... 아이들의 꿈을 키워가는 곳이라지만, 아주 치열한 경쟁 구도 속에서 인간미가 상실되어 가는 곳... 교육받는 아이들보다는 쇼맨쉽에 가까운 행정정책들과 불안에 떨며 아이들을 학원가에 내모는 학부모들... 그 가운데 마음을 털어놓고 인간답게 살아가는 도리를 배우기보다, 외로움과 자기를 더 통제하며 경쟁해야 살아남는다는 것을 주입시키는 교육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계급재생산이라는 갈등론적 관점으로 바라봐야 할 것인지, 국가에서 필요한 인력을 만들기 위한 곳으로 존재한다는 기능론적인 관점에 한 표 넣어야 하는 것일까...
 
  현실을 바라볼 때, 학교에서는 일점이라도 더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교사, 학부모 모두가 총력질주하여 아이들을 몰아가고 있다. 아이들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들이 좋은 점수를 받아 원하는 대학에 들어가고 난 다음에 해도 된다는 식의 생각이 있지 않은가... 성적으로 사람이 매김당하고, 자신의 학벌이 자신을 평가하는 사회에서 진정 숨쉴 수 있는 여유란 언제 찾을 수 있을까... 황주환님의 날카로운 지적을 보면서, 내 아이들에게 나는 과연 어떤 엄마였던가... 난 이 아이들을 위해 어떤 청사진을 그려내고 있었던가에 대해 되돌아보게 되었다.
 
  사회제도와 엮어진 교육의 총체적인 문제를 볼 때, 어떻게 개선될 수 있을까라는 물음을 던지기가 참 답답했다. 왠지 무너지지 않을 것 같은 기득권층, 그리고 그것을 위해서 새벽부터 열심히 도서관에 앉아서 청춘을 불사르는 영혼들의 구원 사다리... 이러한 것들이 당연히 여겨져 사회적으로 떠받치고 있는 기타 여러 시스템들... 모두의 의식이 바뀌지 않으면 절대 개선될 수 없는 것이기에 소망을 품어보고자 하는 마음이 산 하나를 혼자서 옮기겠다는 욕심으로 보여서 답답하기도 하고 책을 덮어버리고 싶다는 생각도 했다.
 
  책을 한 번 손에 잡으면 쭉 읽어내려가는 내가 이 책은 읽으면 읽을 수록 왜 그렇게 불편해졌었는지 모르겠다. 그냥 쉽게 쭉 읽어갈 수 없이, 자꾸 나 자신의 생각을 걸고 넘어졌던 시간이 많아서 서평쓰는 데 있어서 더 힘들었는지도 모르겠다. 아마도 그 섬세한 비판과 내가 속해있는, 내 안에 녹아져내린 생각들이 저자와 맞서서 더 힘들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생각에 힘들면서 난 이 저자가 왜 이런 말을 하는 걸까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뭘 바라기에 자신이 몸담는 조직의 치부를 드러내면서까지, 역사의 이곳 저곳을 들쑤시면서까지 읽는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것일까 궁금했다.
 
  불행한 현실을, 학교라는 조직을, 우리의 소시민적인 모습을... 그토록 성토하게 만든 것은, 그 안에 희망을, 소망을 품고 있기에 가능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같이 그렇게 살아보자고 말하고 있었다. 배움과 가르침이 있어야 할 학교의 진정성을 누구보다도 열렬히 소망하기에 그는 어두운 현실을 이리 저리 조명해보고, 그렇게 바뀌기를 소망하자고 독자들에게 말하고 있었다. 제발 우리 자유롭게, 서로 사랑하며 살아가자고 그의 글 속에서 보이는... 행간에서 느껴지는 그 애절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세상을 향해 부르짖는 용기를 가진 황주환님의 '아주 작은 것을 기다리는 시간'은 우리에게 어떤 것이 먼저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그저 일상적으로 비판없이, 여과없이 받아들인 것들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수용하기를 이야기하고 있다. 하루 아침에 세상이 바뀌기를 기도하는 마술지팡이가 아니라, 아주 조그마한 것이라도 변하기를 기다리며 세상을 향해 문 두드리는 그의 신념에 박수를 보내며 나 또한 그 작은 기다림에 동참할 것을 약속하며 이 글을 맺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