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자꾸 나만 따라와 - 십대와 반려동물 서로의 다정과 온기를 나누다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78
최영희 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천만이 넘었다고 한다. 강아지, 고양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들과 함께 생활을 하고 있다. 애완동물이라는 표현은 이제 하지 않는다. 그 용어가 사라지며 이제는 주종이 아나란 동반자의 개념으로 함께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동물들은 선택되고 있으며 버려지는 일이 많다. 이 책을 보면서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려면 책임감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절실히 하게 된다. '자격'이라는 것도 주어져야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왜 자꾸 나만 따라와>에서는 일곱 편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반려동물들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면서 소통이 얼마나 중요하고 책임감 없이 좋아한다는 감정만으로 그들과 함께 지내려는 것은 욕심이라는 생각이 든다. 일곱 명의 작가가 들려주는 이야기 속에서 만나는 반려동물들은 특별하다. 지금은 특별하다고 생각하지만 언젠가 만날 수도 있다. 누구에게나 소중한 존재로 살아가야 할 반려동물들의 이야기가 우리들에게 온기를 전하고 있다.

 

 

첫 번째로 만나는 이야기는 한낙원 과학소설상 수상작인 <너만 모르는 엔딩>의 최영희 작가의 작품이다. 우리들이 알고 있는 친근한 반려동물이 아닌 공생동물이 등장한다. 공생동물은 유전자 설계로 인간이랑 짝을 지어서 태어난 반려동물이다. 세상을 떠난 엄마가 재하에게 '퍼슬'이라는 공생동물을 입양했다. 인기있는 공생동물은 유니콘인데 엄마는 왜 재하에게 퍼슬을 입양했는지 모른다. 다른 사람들에게 외면당하는 퍼슬과 친구가 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우리들이 반려동물과 만나는 태도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인기 있는 반려동물이 있는 반면 외면받는 동물들도 있다. 그런 동물들은 버려지는 일이 많다. 

 

두 번째 이야기에서는 '피라온'을 만난다. 피라온은 인간의 복제품이다. 미르는 자신이 피라온인줄 몰랐다, 부모님이 한 번도 그런 이야기를 해준 적이 없고 그런 것을 느낄 수 없도록 늘 사랑을 주었기 때문이다.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고 있을때 버려진 강아지 '송이'를 만난다. 미르는 어쩌면 자신도 송이처럼 버려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있어서일까, 송이가 남다르게 다가온다. 송이가 미르의 가족이 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버려지는 존재의 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다.  

 

"너도 나도 인간이 아니야. 그렇지?"
(중략)

"하지만 너도 나도 감정이 있어. 안 그래? 우리 가족이 누구인지도 알아. 그들이 언제 기뻐하고 슬퍼하는지도 속속들이 잘 알고 있어. 나는 있잖아……." - p.74~75

 

반려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이유를 묻는 것은 어리석은 것일까. 단순히 예쁘고 귀여운 존재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사람과 동물을 별개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지 않을까. 일곱 편의 이야기를 만나면서 웃을 수만은 없다. 그들이 행복해지기까지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사람과 반려동물은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서로의 감정을 나누는 쌍방향으로 통하는 관계이다. 인간의 부속품이 아닌 감정이 있는 존재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