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를 행복으로 이끄는 네 가지 : 신뢰, 열정, 활동성, 책임감 - 독일 최고의 뇌과학자 게랄트 휘터가 알려주는 육아법
코르넬리아 니취, 게랄트 휘터 지음, 이기숙 옮김 / 해나무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014/pimg_7497131791505241.jpg)
이 책의 표지에 써있는 <신뢰, 열정, 활동성 책인감>이 가장 눈에 들어옵니다. 어른으로써 사회생활을 하다보니 이 네가지가 함께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가장 필요한 품성이라는 것을 느끼곤 합니다. 그만큼 어른이 되어서도 이 네가지 품성이 잘 성장시켰느냐에 따라서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것 같습니다. 어른이 되어서 이 네가지 품성을 발전 시키기에는 너무 늦었고 또 어려움이 있기에 어려서부터 아이들에게 이 네가지 품성을 키울수 있도록 함께 노력을 한다면 좋을꺼 같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마침 이 도서 <아이를 행복으로 이끄는 네 가지>가 어떻게 아이들이 이 네가지를 키울수 있는지에 대해서 잘 가르쳐 주고 있을꺼 같은 기대감에 읽고 싶은 마음에 읽기를 시작했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014/pimg_7497131791505242.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014/pimg_7497131791505243.jpg)
"아이의 인성 발달을 돕는 교육에는 다섯가지 중요한 특징이 있다. 첫째, 존중. 부모는 아이들의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아이들이에게 인성 발달에 필요한 교육 가섯가지를 통해 나중에 커서도 사회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어떤 공동체에 있던지 간에 스스로 슬기롭게 잘 극복할 수 있는 힘을 키워줄 수 있도록 어려서부터 부모의 역할이 엄청나게 크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 만큼 아이들에게 있어서 부모가 어떻게 교육을 시키느냐에 따라서 커서 고생을 덜 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존중은 어린아이들만 어른들에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어른이 모범이 되어 어린 아이들을 존중하고 사랑하고 있음을 깨닫게 해줌으로써 스스로 존중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해서 실천을 해주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014/pimg_749713179150524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014/pimg_7497131791505245.jpg)
"아이에게는 신체 접촉이 필요하다."
어른들이 말로만 아이들에게 교욱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솔선수범이 되어서 먼저 아이들에게 모범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그 만큼 아이들은 어른들이 하는 행동과 말들을 그대로 따라하는 흡수력이 빠른 스폰지와도 같기 때문에 어렸을 때의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배우게 되었답니다.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직접 내가 너를 사랑하고 지켜보고 있고 돌보고 있음을 직접적으로 와닿게 하는 방법으로 아이들에게 신체적으로 접촉을 할수록 더 유대관계가 끈끈해진 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아이들이 커서도 부모들과의 관계를 깊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머리를 쓰다듬어 준다던가 등을 어루만저주면서 따뜻한 마음을 전해주는 것이 중요하겠다고 느꼈습니다.
아이들이 커서 필요한 신뢰, 열정, 활동성 책인감 이 네가지의 인성을 교육시키고 배울 수 있게 하는데 있어서 부모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이 책 <아이를 행복으로 이끄는 네 가지>는 처음부터 끝까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 아이들이 커서 사회에 나가서 행동과 말 하나하나가 그 부모에 대해 간접적으로 비춘다는 말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부모로써 우리 아이들이 사회에서 잘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린아이 시절에 그 역할이 대단히 중요함을 이 책을 통해서 절실히 느끼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