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역사를 경계하여 미래를 대비하라, 오늘에 되새기는 임진왜란 통한의 기록 한국고전 기록문학 시리즈 1
류성룡 지음, 오세진 외 역해 / 홍익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순신 장군이 직접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썼던 난중일기를 여러번 읽고서 그 당시의 상황이 얼마나 드라마틱 했는지 실감이 날 정도로 흥미진진하게 읽었던 기억에 이순신 장군과 함께 했던 유성룡의 입장에서의 글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그런지 <징비록>이라는 제목의 도서를 보자마자 어떻게 이순신 장군의 입장과는 다르게 문관으로써 또 어떤 사실들을 인 것 처럼 생생하게 임진왜란 당시의 류성룡님이 보고 느꼈던 그 당시를 어떻게 그려내고 있을지 너무나 궁금했습니다.

이러한 역사 도서를 읽을 때마다 역사에 기반한 소설들을 읽는것 보다 사실에 입각하여 주관적인 사실을 배제하고 지은이의 본 사실을 바탕으로 마치 내가 직접 그 상황을 겪고 있다고 생각하면 너무나 생생한 역사 현장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 더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이순신 장군이 직접 쓴 임진록으로 임진왜란당시에 생생히 관찰할 수 있었는데 서애 유성룡의 모습과 선비로써 바라본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을 살펴 볼 수 있어 임진왜란의 새로운 측면에 대해 알게되는 좋은 기회를 갖게되었습니다. 읽으면서 가장 많이 느낀 점은 조선의 정치인이나 현재의 정치인들이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자기 밥그릇 싸움에 기를 올리고 싸운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그것을 구하는 것은 이름없는 수많은 백성들이라는 것입니다. 왕과 문관들이 전란의 위기에 처했음에도 당파싸움이나 하면서 하릴없이 시간을 보내다가 결국에는 도성을 버리고 피난가서 자기들 살 길만 찾으려는 동안 왜군과 맞서 싸운 것은 수많은 백성들과 의병들이었습니다. 나라를 이끄는 지도자가 무능하다면 백성들이 얼마나 고통받게 되는지도 다시 한번 실감했습니다.

 

왜군이 부산 동래부터해서 치고 한양까지 물밀듯이 올라오는 여러 경로들을 사실적으로 지도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 뿐만이 아니라 그 당시의 해군들의 현 상황들을 지도위에 잘 표현도 해주고 있어서 그 당시 류성용의 직위가 군사적인 기밀들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기록으로 남길 수 있을 정도의 최고의 문관이었음을 짐작하면서 조선의 안위를 앞장서면서 얼마나 상심이 컷고, 걱정이 나날이 발전했었는지 그의 남겨진 기록들로 잘 알수 있었습니다. 그 동안 임진록에서 알지 못햇던 역사적인 사실들을 너무나 사실적으로 잘 알수 있어서 해상에 치우쳤던 임진록의 그 당시상황과는 다르게 육군들이 얼마나 고전했는지 잘 알수 있었습니다. 예전에 불멸의 이순신을 모 방송사에서 제작했을 때 육로에 대한 정보들은 이 징비록을 통해 다뤄졋음을 짐작할 수 있을 정도로 너무나 자세하게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이 패배는 원균의 죄입니다. 이순신을 다시 기용하여 통제사로 삼으셔야만 합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얼마나 신하들과 임금이 얄미운지 임진록을 읽으나 이 징비록을 읽으나 그 당시의 신하들은 나라의 안위에는 관심이 없고 그저 밥그릇 싸움에만 열을내는 밥버러지로 밖에 않보이는 것이 너무나 분하고 화가 났습니다. 홀로 싸우는 이순신 장군의 모습을 애처롭게 쓸쓸히 지켜보고 서애는 자신의 위치에 대해 힘이 되어 줄 수없는 친구로써 미안해하면서 이순신만을 바라보는 모습에서 그 당시의 조선이 얼마나 썩었는지 잘 알수 있게 자신의 모습을 잘 표현해 주고 있습니다.  

서애 유성룡이 이 책을 남기며 그 이름을 '징비록' 즉,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이름으로 남긴 것 역시 우리에게 교훈을 남겨주려 한 측면이 크다고 봅니다. 과연 우리는 이러한 교훈을 잊어버리고 살아가는 건 아닌지 반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나라를 위해 싸우다 돌아가신 분들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어서 더욱 의미를 더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 분들의 희생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의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하니 마음이 뭉클해지고 따뜻하게 느껴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